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폐기물처리기술사 해설집을 2024년도 134회까지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광학선별(Optical Sorting) 1
2. LCA(Life Cycle Analysis, 전과정 평가) 1
3. 준호기성 매립지 1
4. 흡착등온식(Adsorption isotherm) 2
5. DRE(Destruction and Removal Efficiency, 분해 및 제거효율) 2
6. 최대 탄산가스율()max % 3
7. 퇴비의 C/N비 3
8. Thermal 3
9. 슬러지의 기계적 탈수방법 4가지 4
10. 소각에 있어서 연소효율을 높여 강열잔사(Unburned Carbon)의 양을 적게 하는 영향 인자 6
11. 용출시험의 목적과 시험방법을 설명하고, 폐기물 용출시험시 용출특성에 영향인자 8
12. Extendaed Producer Responsibility 9
13. MRF 9
14. CEC 10
15. 화격자 연소부하 10
16. SCR 11
17. Plasma 소각로 11
18. HTC(Hydrothermal Carbonization)과 Biochar에 대하여 설명 12
19. Trommal Screen 13
20. 열적감량 14
21. 용적부하율(율) 14
22. 토양 오염의 교정방법을 5가지 14
23. 쓰레기 매립지 선정시의 배제기준과 고려사항 16
24. 불량매립지 굴착공사(일반적인 목적과 타당성 조사/환경영향 및 대처방안/처리 및 재이용방법) 18
25. 풍력선별, 스크린 및 자력선별의 기술적 이론 및 기술적 한계와 동력비를 비교 20
26.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공정중 호기성 퇴비화와 혐기성 소화조를 비교 22
27. Q=CIA를 이용하여 침출수량 계산(인구, 면적, 강수량제시) 24
28. Trommel Screen 한계속도 공식인 00의 공식유도 25
29. 음식물 수거․운반 방법과 퇴비화하는 방법을 도식화하고 설명 26
30. 어떤 폐기물의 처리시 부피감율이 90%이고 무게감소율이 85%일 때 전처리후의 폐기물 밀도를 계산 (단, 처리전의 폐기물 밀도는 700㎏/㎥이다.) 28
31. 인구 20만명, 1.2㎏/일․일, 발생일이 연간 300일 일때 수거차의 수거능력 4ton, 쓰레기의 밀도 0.5ton/㎥일 때 일주일간에 필요항s 수거차량 대수 28
32. 건축폐기물 처리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인 처리절차와 재활용 방안 28
33. 치수재로써의 점토와 합성수지 비교 30
34. 퇴비화의 주요 영향인자, 안정화, 안전화 32
35. 하루 100ton의 하수슬러지를 발생시키는 도시에서 스토커식 소각로, 회전식 소각로, FBC,플라즈마 소각로중 선택하고 그 운영, 경제성, 처리효율과 방지시설을 비교 34
36. 소각장 건설예정지가 주택지 인근에 지정된 경우(Stoker 200ton/일) 36
37. TEQ 37
38. Buffer Stock System 37
39. FGD Sludge 37
40. Humus 37
41. 지정부산물 38
42. 점토의 소성지수(PI) 38
43. 쓰레기 퇴비화(Compost)의 최적조건 38
44. 소각로 인정검사 38
45. 상부착화 38
46. Cyclone의 Blow-down 효과 38
47. 압축율(Compaction Ratio ; CR)과 체적 감소율(Volume Reduction ; VR)을 설명하고 관계식을 쓰고 상관관계를 Graph로 표시 39
48. 폐기물의 파쇄기술에 대하여 파쇄의 목적, 파쇄기술의 종류와 특징 및 Rosin-Rammlar Model 40
49. 폐기물 매립장의 건설시, 표면차수공법의 설계와 시공과 관련하여 차수시설(Liner System) 선정시 고려사항과 차수재료로서 점토(Clay)와 합성수지계 차수막의 비교평가 및 표면차수막의 시공순서 41
50. 통합 재활용시스템(IWRS)를 설명하고 Flow를 그리고 이 시스템 운영상 문제점과 해결방안 42
.
.
.
100. 열전달과 열역학의 차이점 112
101.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할 때 단독퇴비화와 하수처리슬러지, 분뇨처리슬러지와 혼합퇴비화할 때의 장단점 114
102.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등에 의한 자치단체의 폐기물처리 시설 입지선정 절차 115
103. Stoker식 소각로의 종류와 특징 116
104. 토양오염과 지하수오염의 정화처리 117
105. 침출수에 COD가 많을 경우 처리방법, Flow Sheet, 설계특성 119
106. 침출수량에 대한 발생요인을 5가지 이상 121
107.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원인과 대책 123
108. 폐용제류의 재사용, 재이용에 관하여 3가지 이상 종류와 내용 125
109. 청정기술 126
110.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 중 순환골재의 사용비율 확대방법 127
111. 용출시험시 분석방법과 문제점 127
112. 자동차 폐윤활유의 재활용방법의 변천과정과 각 기술 130
113. 발열량의 종류와 방법 131
114. 연직 차수막의 종류와 차수기능 132
115. 유해물질이 분해될 때 1차 반응으로 분해한다. 반감기는 15시간일 때 133
116. 펜톤산화 135
117. CEC(Cation Exchange Capacity) 135
118. 카네미유증 136
119. Trommel Screen의 한계속도 136
120. 토양의 수분보유능력 136
121. 헨리상수와 VOC의 관계 136
122. 유동상 소각로의 설계인자 138
123. 수도권 매립지의 침출수시스템과 증진방안 139
124. 매립지의 환경감시설비 139
125. 소각시의 유해가스 처리방법중 건식, 습식, 반건식의 원리와 장단점 140
126. 폐기물의 성상조사방법의 모든 것과 분석방법(시료채취방법까지). 144
127. 압출, 부피감소율, 겉보기밀도 변화의 의미와 관례 145
128. 침출수 수량, 매립지 물수지 및 침출수 발생량 측정방법 146
129. 매립지 토지 재이용계획을 위하여 환경인으로서 감안해야할 인자 148
130. 시멘트 고형화 149
131. 순환형소비사회를 정의와 확립하기 위한 제도 및 기술 152
132. RDF 152
133. Compost의 최적온도 152
134. 재활용환경성평가에 대하여 설명하고, 비매체접촉형과 매체접촉형 환경성평가의 대상범위 153
135. 폐기물처리시설의 세부 검사방법에 관한 규정에서, 폐기물 소각시설(일반소각시설, 감염성폐기물 소각시설, 고온소각시설, 열분해시설, 고온용융시설)에 대한 정기검사의 검사항목 중 연소실 출구가스 온도 및 바닥재 강열감량의 세부기준 153
136. 슬러지 최종처리시 슬러지량을 추정방법과 감량방안 154
137. 매립지에서 차수막 선정기준 155
138. 소각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회수방법 158
139. 슬러지에 수분의 결합상태 4가지 158
140. 쓰레기배출에 따른 최소 수거차 대수 159
141. 해안 매립장설계 159
142. Compost의 원리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탈취방법 161
143. 도시 빌딩이 많은 지역에서 굴뚝의 최소높이 설계 162
144. 조대(粗大) 쓰레기의 처리방법 163
145. Plastic의 생분해와 생붕괴/제품의 제조과정 및 종류 164
146. 복합퇴비화시 함수율 98%인 슬러지와 함수율 40%인 톱밥을 1:2로 혼합한 후의 함수율을 구하고 이에 대한 퇴비화의 적정성 여부를 판정하고 적정조건을 위한 조치 166
147. 소각시 탈취방법인 촉매법과 연소법을 비교 166
148. 인구 10만인 중소도시의 폐기물 종합관리체계를 설계 167
149. 침출수 처리를 위한 전기분해방법 168
150. 비젤협약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168
.
.
.
200. 소각로의 Bag Filter(여과속도5㎝/sec)계산 207
201. 매립폐기물의 굴착․자원화공법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매립지의 재사용 및 수명연장을 위한 절차에 대하여 Block Diagram 207
202. 매립방법 중 내륙방법 209
203. 도시폐기물을 열분해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최종 얻어지는 물질을 가지고 열분해시스템을
분류 210
204.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11
205. 국내 쓰레기매립장의 운영관리 실태와 매립시설의 최적운영을 위한 개선점 212
206. 내화벽돌을 정의하고 소각로에 사용되는 내화물의 재질선택에 필요한 항목을 열거하고 내화벽돌 사용재료를 5가지 이상 213
207. 퇴비화의 의의, 퇴비의 이용용도 및 경제성 214
208. 폐기물처리 및 관리차원에서 3P, 3R, 3T 215
209. 바이오 필터(biofilter)를 이용한 악취처리기술의 원리, 주요 공정 및 장·단점 216
210. 생활쓰레기의 배출에서부터 수거, 운반, 중간처리, 자원화 및 최종매립처분 단계를 종류별,공정별로 흐름도 218
211. UNCED 이후 지구 환경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적 현상을 4가지 이상 제시하고, 이들 각각에
대한 폐기물관리의 역할과 대응책 219
212. 유기성 폐기물 및 바이오가스화의 개념/필요성/기존 처리시설에서 유기성폐기물 병합처리의 타당성 여부/음식물류 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주요 공정 220
213.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정도관리(QA/QC) 요소 중에서 기기검출한계(IDL), 방법검출 한계(MDL),정량한계(LOQ), 정밀도 및 정확도에 대하여 각각 설명 222
214. 고온소화와 중온소화 223
215. 함수율과 슬러지 양의 상관성 224
216. Stoker 소각로내에서 쓰레기의 건조와 착화현상 224
217. 쓰레기 단독 퇴비화와 쓰레기+슬러지의 합성퇴비화의 장단점 224
218. 쓰레기의 발생량과 조성성분의 예측방법 225
219. 매립장 침출수의 차단방법 226
220. 아파트단지 밀집지역에서의 쓰레기 발생량, 톤당부피, 콘테이너 대수 계산(쓰레기 성분별 특성제시) 227
221. 소각로 건설계획을 수립할 때, 주요인자의 선정과 분석평가 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소각로 설계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주요 계산항목을 열거하고, 소각로 형식에 따른 설계사양 228
222. 매립장 침출수 특성을 제시하고 설계인자를 제안하면서 침출수처리장을 설계(도시쓰레기 매립장의 경우) 231
223. 퇴비화 공정 설계시 주요인자 232
224. 플라스틱의 특징과 폐플라스틱의 환경적 문제점 평가와 대책방안 233
225. 쓰레기를 운송할 때에는 직송식과 중계수송방식이 있다. 각 방식의 종류와 장․단점을 설명하고,각 방식의 운송비용 산출에 있어서 주요 인자와 경제성 평가방법을 비교 235
226. 매립장내 가스발생상태의 특성과 발생가스 안전처리방안 236
227. 쓰레기를 소각처리하는 경우 배기가스의 처리공정과 운전조건 및 운전방법 237
228. 생 쓰레기의 연소가스량과 이론연소온도 계산(조건제시) 238
229.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처분계획을 수립과 대처방안 240
230. 연속식 스토커 소각로 운전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열거하고 기술적 해결책 241
231. 지구상의 에너지원 고갈과 지구온난화를 극복할 수 있는 재생․신재생 에너지 있는 대로 열거 242
232. 폐기물 이송 컨베이어의 종류를 열거하고 특징 244
233. 관광지가 포함된 지역에서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의 처리용량 결정과정 245
234. 선택적 촉매환원법(SCR)에서 촉매의 눈막힘 현상 245
235. 매립지에서 침수율에 따른 점토층 두께계산 248
236. 입자의 특성 유효 입경과 균등 계수를 정의 249
237. 이론 공기량과 소각가스량 계산 249
238. 이론공기량 Ao(kg) 구하는 식을 유도과정 249
239. MBT(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의 기술개요, 공정, 특성 250
240. 환경성 보장제도와 환경성 자기주장제도 251
241. 소각로 크링커 생성원인과 방지대책 252
242. 소각에너지 회수시설에서 배압터빈과 복수터빈의 비교 252
243. 침출수 중 Free Ammonia(NH3)의 생성원인과 침출수 처리에 미치는 영향 253
244. 벤토나이트 253
245.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기준 및 생산 공정 257
246. 소각기술의 변천과정과 종류 260
247. 유해폐기물의 안정화/고형화 처리기술 263
248. 유기성오니를 이용한 부숙토 생산시 부숙도 측정방법과 공정운영에 필요한 준수사항 265
249. 매립지의 지하수 감시정 265
250. 자동집하시설방식과 인력차량수거방식의 개념과 특징 267
251. 매립지 침출수에서 매립 경과년수에 따른 pH, BOD/CODcr비, NH4+/CODcr비 변화이유 269
252. 지정폐기물 중 폐산과 폐알칼리의 pH 기준을 쓰고, 일반적으로 어떠한 유해성 270
253. 퇴비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류 271
254. 게이지 압력 274
255. 가축 매몰지 주변환경영향의 조사목적 및 조사항목 275
256. Waste to Energy(또는 Energy from Waste) 275
257. 의료폐기물을 환경적으로 건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안 276
258. 지정폐기물의 종류 및 분류방법 277
259. 교토메카니즘의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280
260. 폐기물매립장의 악취측정방법 280
261. Trommel 선별장치 281
262. GWPs(지구온난화지수) 282
263.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283
264. CHP(Combined Heat and Power) 284
265. 폐기물 매립장에서 사용되는 토목합성섬유(Geosynthetics)의 종류 및 기능 285
266. 폐기물관리법규상 에너지 회수기준 286
267. 사용종료 매립지의 실태 및 활용 신기술 287
268. 미생물 반응조로서 폐기물 매립지의 활용 신기술 289
269. 매립가스 재활용의 필요성과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재활용 기술 292
270. 사용종료된 매립지에 주민체육시설을 계획시 조성에 따른 조경시 식물성장에 미치는 제한인자 292
271. 차단형과 관리형과 매립시설의 설치기준 및 검사기준(검사항목 중심으로) 294
272. 1차 자원순환기본계획에서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 297
273. 매립기술의 동향 297
274. 매립가스 처리 및 이용기술 301
275. 침출수 처리기술 302
276. 매립지 정비기술 305
277. 매립기술의 발전방향 307
278. 매립가스 발생량 예측시 사용되는 Kinetic Model 3가지와 특징 308
279. 소각시설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폐기물전처리, 과잉공기율, 폐열보일러 출구온도 310
280.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의 종류와 악취저감방법 및 처리특성 310
281. Waste Zero Emission 314
282. AWCS(Automated Waste Collection System) 314
283. SBR(Sequencing Batch Reactor) 315
284. EIP(Eco industrial Park) 316
285. Passive House 317
286. CCS(Carbon Dioxide Capture & Storage) 318
287. RFS(Renewable Fuel Standards) 320
288. 불화폐기물의 특성 320
289. 폐유를 중력분리방법으로 처리 하려고 할 때 유적의 부상속도 321
290. 화격자(Grate) 형식 및 특징 322
291. 석면 안전 제거의 필요성 324
292. 배출권거래제도(Emission Trading)의 개념과 경제적 효과 325
293. Biomass 에너지기술 327
294. 시안함유 폐기물 처리방법 328
295. 자원순환 특화단지의 개념 및 특성 330
296. 비위생매립지 정비사업의 현장조사 항목과 조사방법 331
297. Ballistic Separator 331
298. RDF의 품질향상을 위한 원재료의 염소(Cl)함량 저감방안 332
299. Ring Dies형 성형기 333
300. RFID와 Allbaro 시스템 334
.
.
.
350. 폐기물 매립단계별 발생되는 매립가스 391
351. 런던협약에 대하여 설명하고, 최근 해양배출금지 대한 현황 392
352. OECD waste lists (green, amber, red) 393
353. 역화 (Flashback) 394
354. 최적가용기법(Best Available Techniques) 394
355. 가축분뇨 고체연료의 수분, 회분, 황분, 길이에 대한 기준 396
356. 소각시설 굴뚝에서 발생하는 세류현상 (Down Wash)과 다운드래프트(Down Draft) 396
357. 쓰레기의 개략분석 (Proximate analysis) 397
358. 폐기물 매립시설 사후관리 이행보증금의 구성 397
359.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명시된 기술작업반(Technical Working Group)구성 및 역할 397
360. SRF(Solid Refuse Fuel)품질기준 398
361.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에서 장외영향평가서 작성시 포함내용 398
362. 고화처리물의 pH, 함수율, 투수계수, 일축압축강도, 유기물함량 기준 399
363. 캐스터블 (Castable) 400
364. ASR(Automobile Shredder Residue) 400
365. 예외적 매립시설의 시설기준과 폐기물처분 400
366. 음식물류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시설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 고질화 정제기술 종류와 원리를 설명하고, 각 종류에 대한 장·단점 401
367.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402
368. 환경오염시설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2017.1.1.시행됨에 따라 적용되는 업종 및 시기와 통합환경관리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403
369. 도시고형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열분해가스화용융공법을 적용할 경우 검토항목 405
370. 폐기물을 재활용할 때 폐기물의 유해특성 검사종류와 기준 406
371.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의 설치타당성 조사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407
372. 신재생에너지의 종류 및 이용기술 409
373. VE(Value Engineering) 409
374. 매립장의 악취 발생원, 악취 구성성분, 저감대책 410
375. 전기집진장치 (Electrostatic precipitator)의 집진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유지관리방법, 장애현상 및 대책 412
376. 폐기물소각시설에 적용되는 통풍방식을 설명하고 통풍력 계산식 414
377. 형광등의 재활용 방법에 관한 법적기준 415
378. 폐기물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대상시설 415
379. 위험성평가(HAZOP: Hazard And Operability Study) 416
380. 건식탈황법과 습식탈황법 417
381. 매립시설의 최종복토 기준 417
382. 호기성퇴비화와 Bio-drying 비교 418
383. 소각과정에서 산성가스 다량 발생 시의 문제점 및 대책 418
384. 전략환경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의 협의대상이 되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대상사업의 종류, 범위 및 협의 요청시기 420
385. 배출량전망치(Business As Usual) 420
386. 살생물제 420
387. 레짐(Regime)과 거버넌스(Governance) 421
388. 폐기물처분 부담금 422
389. 흡착의 원리 및 활성탄 재생방법 422
390. 고형연료제품을 이용하여 소각보일러 설계 시 기포 유동층 보일러 및 순환 유동층 보일러 연소기술의 원리와 특징 423
391. 해양투기가 금지된 이후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의 원리 및 효율향상 방안 425
392. 친환경에너지타운의 목적, 개념, 적용범위, 사업유형 및 기대효과 426
393. 수은에 대한 국제적 공동대응을 위한 미나마타협약에 대해 설명하고, 국내 수은 폐기물의 현황 및 향후 관리대책 427
394. 통합환경관리제도 428
395. 고형연료제품(SRF)을 사용하여 열병합발전 등을 하는 SRF 사용자들이 최근 사용을 기피하는 추세이다. 그 원인과 대책 429
396. 교토의정서 이후의 파리협정(신기후체제) 431
397. 폐기물매립장 시공 시 침출수 누출감지시스템에 대하여 원리, 필요성, 시공방법 432
398. 폐기물 3성분의 측정방법 434
399. 폐기물 성상분석을 위한 시료채취 방법 434
.
.
.
421. 최근 정부의 고형연료제품 환경관리기준 강화 추세 448
422.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규에 따른 재생에너지 중 폐기물 에너지의 기준 449
423. SNCR에서 요소수를 사용하는 경우의 탈질 반응식 450
424. 1톤의 쓰레기를 호기성 퇴비화와 혐기성 메탄발효방법 450
425. 퇴비화 숙성도(Compost Maturity) 452
426. 폐기물 수거방법 및 MHT(manㆍhr/ton) 452
427. 냉각파쇄 453
428.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453
429. Green Consumerism 453
430. 순환골재 재활용제품 454
431. 폐기물 매립시설의 내진등급별 내진 성능수준 454
432. 금속성 분진·분말(알루미늄, 구리화합물 등)과 혼합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하는 폐기물 455
433. 폐기물 내륙매립공법과 해안매립공법 455
434. 쓰레기 종량제(Charge system)의 시행효과 및 개선방향 457
435. 자동집하시설(관로수송시스템)의 원리 및 특성 458
436. 폐기물 매립시설의 복토 관리기준(일일 복토 및 중간 복토, 인공복토재, 부패성 폐기물 매립, 최종 복토) 459
437. 하수슬러지 처리방법 중 탄화처리기술 460
438. 질소산화물(NOx)의 발생 제어기술과 처리기술 463.
439. 가축 매몰지의 관측정 모니터링 결과에 따른 단계 구분 방법과 단계별 조치사항 464
440. 건설폐기물 임시 보관장소의 승인기준, 절차 및 조건 466
441. 침출수 환원설비의 설치기준 및 관리기준 466
442. 폐기물을 재활용하려는 자가 제거하거나 안정화해야 하는 폐기물의 9가지 유해특성의 성질과 해당 기준 468
.
.
.
475. 폐기물관리법에 제시된 폐기물처리시설 중 중간처분시설 종류 512
476. 소각시설에서의 입열과 출열의 종류 513
477. 건설폐기물 처리업자의 준수사항 513
478. 최종복토의 기준 및 구성요소별 역할 514
479. 가축 매몰지 관측정 및 주변 지하수의 수질조사 결과 보고시기 514
480. 순환자원의 정의, 인정기준, 제외대상 폐기물 및 순환자원의 인정 효과 515
481.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에 대한 정의 및 목적, 개념, 추진체계 및 각 기관별 역할, 추진 사례 성과 516
482. 도시폐기물 유기성분의 저농도/고농도 고형물에 대한 혐기성소화 시 중요설계 인자 517
483.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시설의 혐기성소화 공정 설계 시 고려할 사항 중 교반, 가온 519
484. 폐기물처리시설 사후관리 기간, 인원, 항목 및 방법, 주변환경영향 종합보고서 작성(보고시기 및 주무관청) 520
485. 수출입 폐기물 관리에서 수출입규제․관리폐기물 제외 품목 수입 불가 품목 수출 불가 품목 521
486. 폐기물발생량 조사방법들의 내용과 그 한계점 522
487. 태양광 폐패널 대량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2023년 1월 4일 발표된 태양광 폐패널 관리강화 방안 523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관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
품질관리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철도차량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