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차량기술사 서적을 5차에 걸쳐 전면 개정작업과 편집하여 2025년 135회까지 출제문제풀이,예상문제풀이,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차체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 1
2. 자동차 리싸이클링(Recycling) 1
3. Jig와 Template의 차이점 1
4. 와류비(Swirl Ratio) 3
5. CAFE(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4
6. 앤티롤장치(Antiroll System) 4
7. 현가장치의 종류 4
8. VDC(Vehicle Dynamic Control, 자세제어)장치 8
9. 좀머펠트 변수(Sommerfeld variable) 9
10. 자동차 4휠 얼라이먼트에서 셋-벡(Set-back)과 트러스트각(Thrust Angle) 9
11. P.T.O(Power Take Off) 10
12. S.A.I(Steering Axis Inclination)을 두는 이유 11
13. 자동차의 서지(Surge)현상 12
14. 자동창의 헤지테이션(Hesitation)현상 12
15. 국내디젤차량에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전자제어 축압식(Common Rail) 디젤 엔진의 개요와 연료장치 13
16. 행정의 길이 100㎜이고 엔진의 회전수 1,500rpm인 4사이클 가솔린 엔진의 피스톤의 평균속도 15
17. 행정의 길이 150㎜인 가솔린기관에서 피스톤의 평균속도를 5m/s라면 크랭크축은 매분 몇 회전 16
18. 4사이클 4실린더 가솔린기관이 2,600rpm의 회전시 실린더의 지름×행정이 78×78㎜이다. 실지흡입된 공기량을 기화기입구에서 측정하였더니 1.353㎥였다. 용적효율은? 16
19. 내연기관의 열손실을 측정한 결과 냉각수에 의한 손실이 25%, 배기 및 복사에 의한 손실이 35%였다. 기계효율이 80%라면 정미열효율은 얼마인가? 16
20. 실린더 내경 100mm, 행정 80mm, 실린더수 4개인 4행정 가솔린기관의 총 배기량은 몇 cc 16
21. 실린더의 치수(내경×행정)가 93×70mm이고, 압축비가 8.6:1인 4실린더 기관의 총 연소실 체적 16
22. 연소실 체적이 80cc이고, 행정 체적이 560cc이다. 이 기관의 압축비는? 34
23. 실린더 지름이 78mm이고, 행정이 78mm인 4사이클 2실린더 기관의 총 배기량은? 34
24. 연소실 체적이 210cc이고 압축비가 9인 기관의 행정 체적은 얼마인가? 17
25. 실린더내경 120㎜, 피스톤행정 150㎜, 연소실체적 85㎠인 6기통기관의 총배기량은? 17
26. 지시평균유효압력 00, 행정 체적 V=100cc의 4행정 기관에서 1회의 폭발로 몇 00의 일을 하는가? 17
27. 기관의 냉각장치에서 흡수되는 열은 연료의 전 발열량의 몇% 정도인가? 17
28. 가솔린기관의 압축비가 8일 때 열효율(단, 비열비 k는 1.4이다) 18
29. 한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18
30. Green운동과 관련하여 환경친화적인 자동차 설계방안 19
31. 연비향상기술 24
32. 경량화기술 24
33.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비평형 합금소재 기술 26
34. 가변기구기술 26
35.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저감기술 29
36. 부품 모듈화(Module)기술 29
37. 압축천연가스(CNG) 버스의 적용배경(개발배경) 및 차량성능 특성 32
38. 자동차연비 규제제도에서 목표연비제도 33
39. 이상적인 오토 사이클의 압축비 8, 입구 압력 100 kPa, 온도 17 ℃이며, 연소과정은 공기 질량당 800 kJ/kg의 열이 등적 과정에서 전달되는 것으로 한다.
(a)작동 최고온도 및 압력, (b) 사이클당 순수일 출력, (c) 열효율, (d) MEP,
(e)1500cc 엔진의 3000 rpm 에서의 출력을 구하라. 34
40. 자동차의 인간공학 설계 36
41. 다품종 소량생산방식과 대량생산방식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 38
42. 자동차의 주행저항과 구동력의 관계에서 여유구동력(Available Tractive Power) 설명 39
43. 자동차의 생산 코스트 절감을 위한 경제설계 방안 40
44. 자동차 에어컨디셔너(Air conditioner)에서 냉매량 조절방식에서 팽창밸브(Expansion valve)타입과 오리피스 튜브(Orifice Tube) 타입 41
45. 자동차 배출가스 분석계 42
46. VE(Value Engineering)원리와 활동단계 43
47. 유체윤활(Fluid Lubrication)과 경계윤활(Boundary Lubrication) 45
48. 경유자동차의 배출허용 기준은 5%의 농도를 적용하는지 이유 46
49. 전륜(前輪) 구동과 후륜(後輪)구동의 주행특성을 상호비교 46
50. 4행정 4기통 엔진-크랭크축의 바란싱(Balancing) 요점 48
51. 훅크 조인트와 등속 조인트의 구조, 사용처와 회전속도의 전달특성을 상호 비교 49
52. ABS(Antilock Braking System)와 TCS(Traction Control System)의 구동원리를 상호비교 49
53. 뱅크 각(Bank Angle) 50
54. 가니 쉬(Garnish) 50
55. 차량중량 및 차량 총중량 50
56. 가솔린 직접분사(GDI) 엔진의 단점 50
57. 연료의 옥탄가를 설명하고 높은 옥탄가가 엔진성능에 유리한 이유 51
58. 자동차 엔진의 공회전수를 낮추면 연료소모가 적으나, 반면에 해결하여야 할 문제 52
59. ORVR 53
60. 4행정 단기통 내연기관(Engine)의 작동원리의 기구학적 거동 53
61. 조화함수형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차체와 바퀴 및 타이어의 수직 운동 모델과 각각의
고유 진동수 55
62. 자동차의 실용연비의 3가지 기술 58
63. 자동차에 작용하는 3가지 공기역학적인 힘, 항력(Drag), 양력(Lift) 및 측력(Side Force)과 경계층의 박리(Sepa ration)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 58
64. 가솔린 자동차 엔진의 배출가스중 탄화수소(HC)를 줄일 수 있는 주요 엔진 설계 변수와 기술(Technology). 60
65. 내연기관 자동차가 수소 자동차나 천연가스 자동차에 비하여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이유. 61
66. 크랭크축용 고무 댐퍼와 비스코스 댐퍼의 구조와 성능 특징을 상호 비교 62
67. 변속기용 싱크로 나이저의 원리와 동력흐름 63
68. 운행자동차 배출가스 정밀검사방법중에서 휘발유, 가스, 알콜사용 자동차 부하검사 방법인 ASM2525 모드의 측정원리와, 경유사용 자동차 부하검사 방법인 Lug-Down 3 모드의 측정원리를 상세히 기술 65
69. 엘피지 액상연료 분사 장치(Liquefied petroleum Injection System)의 개요를 상세히 기술 66
70. 내연기관(기솔린/디젤엔진) 하이브리드 동차의 연비를 높일 수 있는 동력원이나 전달장치의 주요기술 68
71. 디젤승용차의 배출가스를 저감하는 장치의 종류와 성능을 설명하고, 가솔린자동차 후처리 장치와의 차이를 설명 69
72. 자동차의 선회특성(언더 스티어, 뉴트럴 스티어, 오버 스티어, 리버스 스티어 76
73. 차량의 안락도 향상을 위하여 구동축상에 설치되는 구체적인 예 77
74. 자동차 자기 인증 요령등에 관한 규정의 목적 78
75. 엔진의 소요출력, 주행저항(구름저항, 공기저항, 구배저항)관련공 78
76. OBD-Ⅱ(On Board Diagnosis)를 적용하는 목적을 설명하고 주요 감시체계(Monitoring System) 6가지를 설명 80
77. 자동차의 개발과 패키지(Package)시 고려사항들을 5개 이상 82
78. OBD(On-Board diagnostics : 차량자가진단장치) 85
79. Limp Home(Fail safe) 기능 85
80. 타이어의 동하중 반경 85
81. 3원 촉매장치의 정화율 특성(가솔린 자동차) 85
82. 축전지의 방전율(Discharge rate) 85
83. Lock-up Clutch 86
84. 자동변속기의 Stall rpm 86
85. 트랭핑(tramping) 현상과 시미(Shimmy)현상 86
86. 당량비 86
87. 경유연료의 유동점 87
88. 가솔린 자동차와 디젤자동차의 배출가스 저감 신기술 87
89. 가변터보장치(VGT : variable Geometry Turbo charger) 90
90. AFS(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에 대하여 설명 90
91. 엔진오일 소모측정방법 91
92. 자동차 배출가스 검사시 무부하검사와 부하검사의 차이점 92
93. 승용자동차의 실주행연비와 공인연비가 차이나는 이유 92
94. 디젤자동차의 배출가스 후처리기술 93
95. 증발가스(Evaporative Emissions)규제 대응기술 94
96. 자동차의 자기인증제도(Self Certification) 96
97. 가솔린 자동차용 3원 촉매장치 열화현상 96
98. 전자제어 현가장치를 제어수단과 목적에 따라 분류 97
99. ASV(Advanced safety Vehicle) 98
.
.
.
170. 가용성 링크(Fusible Link) 172
171. 와전류 동력계(Eddy Current Dynamometer) 172
172. 연소실의 S/V(Surface/Volume)비 172
173. 층상 급기(Stratified Charge) 173
174. 표면 점화(SURFACE IGNITION) 174
175. 브레이크 저더(Judder) 174
176. 독립현가장치의 SLA(Short, Long Arm) Type 174
177. 요레이트센서(Yaw Rate Sensor) 177
178. 디젤 기관의 연소 4단계 177
179. 프루빙 그라운드(Proving Ground)의 목적과 ① 고속주회로 ② 종합시험로 ③ 선회 시험로 178
180. OBD2 항목별 진단 방법 중 촉매열화감지(Catalyst Deterioration Monitoring) 180
181. 비출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방법 중 2단 터보 과급 시스템(Two Stage Turbocharging System) 182
182. 핸들 회전 시 발생하는 복원력 183
183. 일반적인 보수 도장공정 187
184. 엔진의 토크(Torque) 변동과 진동의 관계 188
185. 착화지연 189
186. 디젤 사이클(정압사이클) 190
187. 유로-4(EURO-IV) 등 배기가스 규제의 대응기술로 적용되고 있는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CPF: Catalyzed Particulate Filter) 193
188. 자동차의 배출가스 인증을 위한 RDE(Real Driving Emission)시험 194
189. 엔진의 희박연소에서 Swirl과 Tumble 333
190. 고급승용차 등에는 헤드업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196
191. 국제 제작자 식별부호(WMI : World Manufacturer Identification) 197
192. 우리나라 현행 자동차 관리법상의 자동차 성능시험 197
193. 스틸 휠(Steel Wheel) 대비 알루미늄 휠(Aluminum Wheel)의 장점 및 특징 199
194. 차간거리제어시스템(SSC : Smart Cruise Control) 또는 지능형 자동 주행시스템(ACC : Adaptive Cruise Control) 199
195. 안전띠 되감기 장치(Retractor) 200
196. 스마트 에어백(Smart Airbag System) 200
197. EGR Cooler의 기능과 역할 202
198. CVT(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203
199. 입자상 물질(PM : Particulate Matters) 204
200.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205
201. 차량의 텔레매틱스(Telematics) 206
202. CAN(Controller Area Network) 208
203. VVL(Variable Valve Lift : 가변 밸브 리프트) 208
204. 차체의 안전설계에서 존 바디(Zone Boby) 208
205. 밀리(Milli)파 레이더 209
206. 차량의 전자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태핑모터(Stepping Motor) 209
207. MTBSF(Mean Time Between Service Failure) 211
208. Drag Torque 211
209. X-By-Wire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 211
210.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Fuel Cell)의 장단점 212
211. 공력계수 213
212. 동력성능 213
213. 제동성능 214
214. 타이어의 역학적 특성 215
215. 제동토크와 제동력 216
216. 정지거리(회전상당중량)/공주거리/제동거리 217
217. 차량의 속도와 방향 변화 시 하중이동 218
218. 커먼레일 디젤엔진 219
219. 가솔린 엔진의 비동기 연료분사 223
220. 연료의 내 노크성 지표인 옥탄가(ON) 결정방법 223
.
.
.
270. 가솔린엔진에서 옥탄가, 공연비, 회전수, 압축비 및 점화시기가 이상연소에 미치는 영향 276
271. 압축천연가스(CNG)와 액화석유가스(LPG)의 특성 비교 278
272. 자동차의 새차 증후군이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에 의한 발생 원인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 279
273. 윤활장치에서 트라이볼로지(tribollogy)를 정의와 특성 280
274. 전동식 전자제어 동력 조향장치(Motor Driven Power Steering)를 정의하고 특성 281
275. AMG(Absorptive Mat Glass)배터리를 정의하고 특성 282
276. 엔진의 회전수가 저속과 고속 운행시에 오버랩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의 특성
(출력, 연소성, 공회전 안정성)면에서 설명 282
277. 자동차 제조물책임법(PL)과 리콜(recall)제도 비교 283
278. 로터리 엔진의 작동원리와 극복해야 할 문제점 283
279. 공기식 브레이크의 작동원리와 제어밸브 284
280. 연료전지 자동차의 전지를 고온형과 저온형으로 구분하고 특징을 설명 286
281. 타이어의 회전저항(rolling resistance)과 젖은 노면제동(wet grip)규제에 대응한 고성능 타이어 기술 286
282. 자동차용 엔진재료 중에서 CGI(compacted graphite cast iron)를 정의하고 장점 287
283. 하이브리드자동차의 특징(Idle-stop) 288
284. 4WS(Wheel Steering)시스템에서 조향각 비례제어와 요-레이트(yaw-rate) 비례제어 289
285. 지능형 자동차 적용기술을 예방안전, 사고회피, 자율주행, 충돌안전 및 편의성 향상 291
286. 지능형 냉각시스템(intelligent cooling system)의 필요성과 제어방법 294
287. 수소자동차의 수소탑재법의 특징과 수소 생성방법의 종류 295
288. 랭킨사이클을 이용한 배기 열 회수시스템을 정의하고 기술동향 298
289. 타이어의 소음 299
290. EPB(Electronic Parking Brake)의 기능과 작동원리 301
291. 차체 제조기술에서 액압 성형(hydro forming)방식을 정의하고 장점 306
292. 차세대 전기자동차에서 인-휠 모터(in-wheel motor)의 기능과 특성 311
293. 트랜지스터 원리 312
294. AQS(Air quality system)의 특성과 기능 313
295. 배터리 세이버(Battery saver)의 기능 314
296.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314
297. 스페이스 프레임 타입(Space frame type)의 차체구조와 특징 316
298. 셀프실링타이어(self-sealing tire)와 런플랫 타이어(run-flat tire) 316
299. SBW(shift by wire)시스템 316
300. LPG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설치된 충진밸브에서 안전밸브와 과충전 방지밸브의 기능 316
301.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특징 317
302. 자동차의 연비향상을 위한 오토스톱(auto stop, 또는 아이들 스톱)의 만족조건 5가지 318
303.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 시스템의 기능과 구성부품 318
304. 자동차 연비를 나타내는 방법에서 복합에너지 소비효율과 5-cycle 보정식 319
305. 차선변경 보조시스템(BSD : blind spot detection system &
LCA : lane change assisttant system)의 특징과 구성 319
306.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요구되는 배터리의 특징과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320
307. 디젤노크와 가솔린노크의 원인과 대책 322
308. GDI 시스템에서 최적 혼합기 형성 및 최적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운전모드 323
309. VSM(vehicle stability management)장치의 주기능 및 부가기능 326
310. 타이어설계시 타이어가 만족해야 할 주요 특성과 대표적인 Trade-off성능 327
311. 친환경 차량에 적용하는 히트펌프시스템(Heat pump system)을 정의하고 특성 328
312. 자동차 암 전류의 발생특성과 측정시 유의사항 329
313. 전자제어무단변속기(CVT)시스템에서 ECU에 입력과 출력되는 요소를 각 5가지씩 기술하고 기능을 설명 330
314. MF(Maintenance Free)배터리가 일반 배터리에 비해 다른 점을 납판의 재질과 충・방전 측면에서 설명 332
315. 자동차 하도도장의 목적과 특성 333
316. 동일한 배기량인 경우 디젤과급이 가솔린과급보다 효율적이며 토크가 크고 반응이 좋은 이유 334
317. 전자식 파킹브레이크(EPB :Electronic Parking System)의 제어모드 5가지 335
318. 타이어의 코니시티(Conicity)를 정의하고 특성 336
319. CNG 용기를 4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조와 특성 336
320. 엔진의 흡기관의 관성 및 맥동효과를 최대화하는 방안 338
321. 자동차용 엔진의 과열과 과냉의 원인 340
322. 디젤기관이 가솔린기관보다 연비가 좋은 이유를 P-V 선도를 그려서 비교 설명 340
323. 차량에서 아이들 진동, 평가 및 문제점 개선방법 341
324. 자동차제조에 적용되고 있는 단조(Forging)를 정의하고 단조방법을 3가지로 분류하여 설명 344
325. 자동차의 제품 데이터 관리 시스템(PDM: Product Data Management System)을 정의하고 적용목적 346
326. 엔진을 시동할 때 걸리는 크랭킹 저항을 3가지로 분류하고 설명 348
327. 밀러사이클(Miller Cycle)엔진의 특성과 자동차에 적용되는 사례 349
328. 타이어의 발열원인과 히트 세퍼레이션(Heat Seperation)현상 350
329. 자동차용 부축기어식 변속기에서 변속비를 결정하는 요소를 자동차 속도로부터 유도 351
330. 자동차용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에 대하여 정의하고, 전달효율과 연비향상효과 352
331. 어드밴스 에어백(Advanced Air-Bag)의 구성장치, 일반 에어백과의 차이점 354
332. 차량용 에어컨 압축기 중 가변-변위압축기의 기능 354
333. 조향축 경사각(Steering Axis Inclination)의 정의 및 설정목적 5가지 354
334. 기존의 풀타임 4WD(4 Wheel Drive)대비 TOD(Torque On Demand)시스템 355
335. 진공부스터 방식 VDC(Vehicle Dynamic Control)시스템의 입력 및 출력요소 각각 5가지 356
336. BAS(Brake Assist System)의 목적과 장점 357
337. 차고 조절용 쇽업소버를 작동방식에 따라 분류 358
338.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 다이렉트 필링(Direct Feeling) 358
339. 배출가스 정화장치에서 듀얼베드 모놀리스(Dual Bed Monolith) 359
340. 타이어와 도로의 접지에 있어서 레터럴포스 디비에이션(Lateral force deviation) 359
341.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 리버스 스티어(Reverse Steer) 359
342. 가솔린엔진의 점화장치에서 보조 간극 플러그(Auxiliary Gap Plug) 360
343. 타이어의 크기 규격이 P125 65R 15 95H라고 한다면 각 문자 및 숫자가 나타내는 의미 360
344. 휠 얼라이먼트(Wheel Alignment)의 정의와 목적, 얻을 수 있는 5가지 이점 361
345. 서스펜션장치의 역할 363
346. 차량부품 제작공법 중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365
347. 자동차 타이어의 임팩트 하시니스(Impact Harshness) 366
348. 조향휠에서 발생되는 킥백(Kick Back)과 시미(Shimmy) 366
349. PWM(Pulus Width Modulation)제어에 대하여 설명하고, PWM제어가 되는 작동기 3가지에 대하여 각각의 원리 366
350. 자동차의 스프링 위 중량과 스프링 아래 중량을 구분하여 정의하고 주행특성에 미치는 영향 368
351. 전자제어 가솔린 엔진에서 MBT(Maximum Spark Advance for Best Torque)를 찾기 위하여 수행하는 점화시기 보정 7가지 370
352. 승용차의 서스펜션 중 맥퍼슨 스트러트 더블 위시본 방식의 특성을 엔진룸 레이아웃 측면과 지오메트리/캠버 변화의 측면에서 비교 371
353. 자동변속기의 효율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동향을 발진장치와 오일펌프 중심 372
354.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의 종류 중 멀티 스트로크형 모터의 작동원리 373
355. 자동변속기 다단화의 필요성과 장단점 및 기술동향 374
356. 엔진을 장시간 운전할 때 실린더의 변형과 마모 및 마찰력의 관계 375
357. 차체의 탄성진동 377
358. 자동차 창유리 가시광선투과율의 기준 377
359. FCWS(Forward Collision Warning System) 377
.
.
.
400. 가상엔진 사운드시스템(VESS : Virtual Engine Sound System)을 정의하고 동작가능조건 408
401. 배터리관리시스템에서 셀 밸런싱(Cell Balancing)의 필요성과 제어방법 408
402. 자동차부품에 질화처리의 목적과 적용사례 408
403. 브레이크패드의 요구특성과 패드마모시 간극자동조정과정 409
404. 국내자동차 안전도 평가에서 좌석안정성시험 및 평가방법 410
405. 공기과잉률이이 높게 나타나는 원인 411
406. 자동차엔진에서 럼불(Rumble)소음발생원인과 방지대책 411
407. 흡기계 소음대책으로 사용되는 헬름홀츠(Helmholtz)방식 공명기의 작동원리와 특성 411
408. 자동차용 클러치 저더(Clutch Judder)현상과 방지대책 412
409. 전기 이중층 캐퍼시터(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의 작동원리와 특성 413
410. 가솔린기관 연소실의 화염속도 측정을 위한 이온 프로브 414
411. 자동차에 적용되는 42V 전기시스템의 필요성과 문제점 415
412. 차량 경량화 재질로 사용되는 범용 열가소성수지 4가지 416
413. EPS(Electric Power Steering)시스템의 모터제어기능 6가지 417
414. 내연기관에서 열부하를 적게 받기 위한 피스톤의 설계방법 420
415. 자동차전자제어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듀티, 싸이클의 용어 421
416. 수소연료전지자동차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개선하는 원리 421
417. 가솔린 엔진의 MBT(Minimum spark advance for Best Torque)를 정의하고, 연소측면에서 최적의 MBT제어 결정방법 422
418. 수소취성(水素脆性)을 정의하고, 발생 원인 422
419. 요소수(urea)를 사용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와 화학반응 423
420. 전륜구동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택인(tack-in)현상 423
421. 자동차 엔진 재료에 사용되는 인코넬(inconel)의 특성 424
422. 자동차 패킹(packing)용 재료에서 가황(加硫)처리 425
423. 자동차가 주행 중 일어나는 슬립 앵글(slip angle)과 코너링 포스(cornering force)를 정의하고, 마찰과 선회능력에 미치는 영향 425
424. 서브머린(submarine)현상 방지시트와 경추보호 헤드레스트(headrest) 426
425. 자동차 엔진에서 체적효율과 충전효율을 정의하고, 체적효율 향상방안 426
426. 자동차관리법에서 정하는 자동차대체부품을 정의하고, 대체부품으로 인증 받는 절차 427
427. 자동차 에어컨용 냉매의 구비조건을 물리적, 화학적 측면에서 설명 427
428. 자동차 필러(pillar)의 강성(stiffness)을 정의하고, 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구조적 측면 428
429. 자동차용 안전벨트(safety belt)의 ELR(Emergency Locking Retractor)/시트벨트 프리텐셔너(seat belt pre-tensioner)/로드 및 포스리미터(load &force limiter) 428
430. 핫스탬핑(hot stamping)공법과 초장력 강판의 B-필러부의 사고로 인한 손상시 수리절차 429
431. 점화코일이 2개 있는 4기통 가솔린 엔진의 통전시간 제어방법 429
432.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를 정의하고, 적용사례 431
433. 자동차의 현가장치 지오메트리(suspension geometry)를 정의하고,
듀얼링크 스트럿(dual link strut)형식에서의 앤티다이브(anti-dive)효과 432
434. 자동차용 엔진은 피스톤의 왕복운동과 크랭크축의 회전운동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4기통 엔진에 발생하는 관성력을 크랭크 각에 따라 도시하고, 밸런스 샤프트(balance shaft)의 역할 432
435. 카쉐어링(car sharing)과 카헤일링(car hailing) 433
436. 앞엔진 앞바퀴굴림 방식(FF방식)의 차량에서 언더스티어(understeer)가 발생하기 쉬운 이유 434
437. 자동차관리법에 규정된 자동차부품 자기인증을 설명하고, 자기인증이 필요한 부품 7가지 434
438. 전기자동차용 모터와 산업용 모터의 특성을 항목별로 구분하여 비교 설명 435
439. 토크스티어(torque steer)를 정의하고 방지대책 436
440. 초저탄소자동차(ULCV, Ultra Low Carbon Vehicle)의 정의와 기술개발 동향 436
441. 엔진의 다운사이징(engine downsizing)에 대해 배경 및 적용기술 측면 437
442. 터보래그(turbo lag)를 정의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또는 장치) 437
443.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차로이탈경고장치
(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의 의무장착 기준을 설명하고, 그 구성부품과 작동조건 438
444. 타이어의 구름저항을 정의하고, 구름저항의 발생원인 및 영향인자 439
445. 수소연료전지(fuel cell)자동차의 연료소모량 측정법 3가지와 연비계산법 440
447. BLDC모터(Brushless DC motor)를 정의하고, 구조 및 장·단점 441
448. 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요건을 기술적, 사회적, 제도적 측면 442
449. 엔진 및 변속기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학습제어 443
450. 자동차의 퍼센트 안티다이브(percent anti-dive)를 정의하고, 100% 안티다이브가 되도록앞현가장치를 설계하기 어려운 이유를 승차감 측면에서 설명 445
451. 자동차의 제원 중 적하대옵셋을 정의하고, 적재상태에서 적하대옵셋과 축중의 관계 445
452. 디젤기관의 성능에 미치는 요인 446
453. 자동차에 설치되는 휴대전화 무선충전기의 충전원리 447
454. 암모니아 슬립(Ammonia Slip)에 대하여 설명 448
455.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등급 라벨에 표시된 복합연비의 의미 449
456. 블로우바이(Blow-by), 블로우백(Blow-back), 블로우다운(Blow-down) 449
457. 휠의 정적불균형과 동적불균형 450
458.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저속전기자동차의 기준 450
459. 자동차 배터리의 CCA에 대하여 설명 450
460. 전기자동차에서 인버터(Inverter)와 컨버터(Converter)의 기능 451
461.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PTC 히터 451
462. LPI 엔진에서 ECU가 연료조성비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센서와 신호 452
463. FF 형식의 자동차가 좌회전 선회 중 언더스티어가 발생할 경우 ESP(Electronic Stability Program)가 휠을 제동하는 방법 452
464. 3D 프린터의 원리 및 자동차 산업에의 활용방안 453
465.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하여 Off-cycle 크레디트(credit) 456
466.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에 적용되는 셀 밸런싱(Cell Balancing)의 필요성과 제어방법 457
467. 급유연료증기(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ORVR) 적용 배경 및 기술 457
468. 자동차용 LPG를 여름용과 겨울용으로 구분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 458
469.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에 적용된 모터의 레졸버 센서(Resolver sensor) 역할 458
470. EGR by-pass valve를 장착하는 이유 459
471. 디젤 미립자 필터(DPF)에 누적된 soot는 NO2와 O2로 태워질 때 화학식을 제시하고 요구되는 조건과 특징 460
472. 스터드리스 타이어(Studless Tire)가 스파이크 없이 접지력을 유지하는 요소 461
473. 차량 생산 방식에서 모듈(Module)화의 종류 461
474. 캠프리(Cam Free)엔진의 작동개요와 구조상 특징과 장․단점 462
475. 차량 주행 상황에 맞춰 응답성을 변화시키는 능동형 스티어링 462
476.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동차 463
477. 사고기록장치(Event Data Recorder)에서 pre crash data/post crash data/system status data 463
478. 소성가공의 종류를 설명하고, 그 중에서 냉간압연 제조방법과 압하력을 줄이는 방법 464
479. 차량 통신에서 광케이블(Optical fibers)을 적용했을 때의 장․단점 466
480. 내연기관에서 흡기관성효과와 맥동효과 467
481. 자동차관리법에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자동차의 무단해체 금지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
3가지 468
482. ISG(Idle Stop & Go)장착 차량에 적용한 DC/DC Converter 468
483. 자동차 커넥티비티(Connectivity)에 대한 개념과 적용된 기능 중 3가지 468
484. 후석승객알림(ROA : Rear Occupant Alert) 적용배경 및 기능 469
485. 자동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의 제어 해제조건과 한계상황 (환경적 요인, 카메라 및 레이더 감지한계) 469
486. 자율주행자동차 V2X 통신 470
487. 차체부품 성형법 중에서 하이드로포밍(Hydro-Forming) 470
488. 오일리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의 제조법과 특징 471
489. 하이브리드 방식 중 페러렐 타입(Parallel Type)에서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형식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기동발전기(Hybrid Starter Generator)의 기능과 제어 메커니즘 471
490. 전기자동차의 인휠 드라이브 구동방식 472
491. 자동차관리법 시행령에서 안전기준에 적합해야 할 자동차의 구조와 장치 472
492. 내연기관에서 배기열 재사용 시스템(Exhaust Gas Heat Recovery System) 473
493.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동력 장치 배치방식(시리즈 타입, 페러렐 타입, 파워 스플릿 타입) 474
494. 디젤 HCCI(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엔진의 특징을 설명하고, 조기분사 및 후기분사 연소기술 475
495. 자동차 등화장치에 적용되고 있는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476
496. 전기자동차에서 고전압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BEV(Battery Electronic Vehicle) 차량의 충전방식 중 완속, 급속, 회생제동 476
497. 비파괴검사방법의 종류와 특징 478
498.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의 구성시스템을 도시하고 설명 479
499. 트랙션 컨트롤(Traction Control)의 기능과 제어방법 480
500. 엔진의 흡기 및 배기 저항을 줄여 체적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튜닝 방법 481
501.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파차폐용 도전성 수지를 바탕으로 전자파장해 방지와 전자파차폐에 대한 메커니즘 482
.
.
.
575. 수소전기자동차의 충전소의 중앙공급(off-site) 방식과 현장 공급(on-site) 방식, 수소전기자동차의 3가지 한계점 527
576. 전기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측정방법 528
577. 자율주행 자동차의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레이더(Radar)센서의 장단점을 비교 529
578. 내연기관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에어컨 컴프레서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비교 530
579. 차량 선회 중 턱인(Tuck-in) 현상을 설명하고 발생 요인을 2가지 530
580. 자동차 CAN 통신 시스템의 종단저항(terminating resistance)이 필요한 이유와 측정방법 531
581. 전기 자동차의 구동 모터 회전자(Rotor) 제작 시, 전기 강판(Electrical steel sheet) 사이에 절연체를 사용하는 이유 532
582. 엔진오일의 열화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3가지 532
583. 엔진 통합 열관리시스템(ITMS,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의 효과와 작동원리 533
584. 가변압축비 엔진(VCR, Variable Compression Ratio Engine)의 구성과 압축비 가변효과 534
585. 엔진의 윤활장치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설명하고 마찰의 종류 3가지를 설명 535
586. 자동차의 X-by-Wire 기술을 설명하고 섀시의 적용 사례 및 장점 535
587. 터보차저의 배기 폐열 회수기술인 터보 컴파운딩 기술(Turbo Compounding Technology) 536
588. 레이저 용접과 TIG(Tungsten Inert Gas welding) 용접에 대한 장단점 536
589. 탄소 중립 연료로 연구되고 있는 e-fuel의 제작 과정과 특징들에 대하여 설명 538
590. 교류 모터의 가변 속도 및 토크제어를 위한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제어 539
.
.
.
611. 자동차의 가속 성능 향상을 위한 저항 감소 대책과 여유 구동력 확보 방안 594
612. 전기자동차 설계 시 배터리의 누전 방지 대책 595
613. 스마트 전조등에서 하이 빔 어시스트(High Beam Assist), 로우 빔 어시스트(Low Beam
Assist), 자동 배광 가변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596
614. 엔진에서 발생하는 럼블 소음(Rumble Noise)의 정의, 발생원인, 저감대책 597
615.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4D 이미징 레이더(Imaging Radar) 597
616. 차체에 적용되는 기술 중 DP(Dual Phase) Steel, TWIP(Twinning Induced Plasticity) Steel 598
617. 타이어 트레드 패턴의 종류를 나열하고 각각의 특성 600
618. 자동차의 코너링 강성(Cornering Stiffness)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603
619. 전기자동차에서 영구자석 동기모터의 손실 종류와 특징 604
620. 전자제어 자동변속기에서 변속 패턴을 결정하는 요인을 설명 604
621. 수소연료전지자동차의 공기 공급 시스템 흐름도와 주요 부품의 역할 605
622. 자동차 CAN 통신 네트워크에서 CGM(Central Gateway Module)의 기능과 보안 대책 606
623. 자동차의 리어 엔드 스쿼트(Rear End Squat)와 리어 엔드 토크(Rear End Torque)의 차이점과 저감방법 607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차량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
철도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지질및지반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전기철도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전기응용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