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전기철도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9.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전기철도기술사 해설집을 2024년도까지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풀이,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전기차 집전설비의 고속화 대책을 위한 열차속도와 전차선로의 파동전파 속도와 관계 1

2. 완화곡선 종류 1

3. 열차저항에 영향을 주는 인자 및 저항종류 1

4. LRV(light rail vehicle) 2

5. 선로용량(Track Capacity) 3

6. 철도재료의 기계적 성질 3

7. 파손에 관한 이론 4

8. 레이저빔에 의한 레일계측 5

9. 탄성곡선의 미분방정식 7

10. 정전기 방전의 종류 4가지 이상을 들고 설명 9

11. 설비진단 기술(Machine Condition Dnagnosis Technique)과 예방보전 방법 11

12. 직류전기철도 구성설비중 연락차단장치 12

13. 궤도의 구성 3요소와 구비조건 13

14. T-Bar 강체가선구간의 건널선 장치 13

15. 급전선의 순시전류용량 14

16. 라미의 정리(Lami's theorem) 14

17. 철도선로에서 슬랙(slack or widenning of gauge) 14

18. 전기철도급전방식중 AT(Auto Transformer)의 특징 18

19. 전차선로 가선방식중 강체조가방식의 장․단점 18

20. 힘(Force)의 표시방법과 힘의 3요소 19

21. 직류 및 교류방식의 전압강하 경감대책 20

22. 중성점 접지에 대하여 목적, 종류 및 장․단점 21

22. 경량전기철도(LRT)의 종류를 열거하고 주요 구성, 특성 및 최근 동향을 기술 21

23. 접지저항측정방법의 종류를 열거하고 설명 25

24. 전기철도 급전시스템의 보호방식 26

25. 전기철도에 사용되고 있는 애자의 사용목적과 종류 28

26. 곡선로의 경우 전차선의 기울기 29

27. 전차선의 압상량 29

28. 교류 △I형 고장선택장치의 동작원리, 구성, 정정 및 최근 동향 29

29. PWM 제어차의 전원 불평형 및 전압 변동 대책 31

30. 교류급전회로의 계측방법 32

30. 전차선로의 구비조건 33

31. 온도가 변화에 따른 가동브래키트가 회전과 기울기 33

32. 가공전차선로에서 전차선과 조가선의 일괄장력 조정방식과 개별장력 조정방식의 특징 35

33. 자기부상식철도(Maglev)의 종류를 열거하고 주요 특성을 비교 36

34. 전기철도에서 고조파의 억제기준 및 대책 38

35. 전기철도의 발전과정 40

36. 전차선로의 전기적 이격거리 41

38. 강체가선방식 42

39. 전력용 반도체의 냉각기술 43

40. 전기철도에서 사용하는 회생제동원리 43

41. 전기철도방식 선정시 고려사항 44

42. 콘덴서를 사용하여 역율을 개선하는 원리와 경제적 효과 46

43. 견인 유도전동기의 속도-토크특성 47

44. 테브낭(Thevenin) 정리 48

45. AF궤도회로 49

46. 전기차량에 있어서 견인전동기와 구동방식의 변천과정 49

47. 구조․형상에 따른 지선의 종류 50

48. 단상변압기의 결선방법 중 스콧트결선의 원리 및 응용면 51

49. 에어조인트와 에어섹션 55

50. 전자환경성(EMC)과 전자방해작용(EMI)에 대하여 설명하고 전기철도차량 내에 전자통신장비 설치시 EMI 고려사항 56

51. 전철변전소 고조파의 영향, 고조파대책 및 간선설계시 유의사항 57

52. 전력계통의 고조파 발생원인, 영향, 대책 58

53. 지상부 catenary 전차선로를 건설시 구비조건 및 건설시 주요 공정 61

54. 고속철도열차제어에서 안전설비 62

55. 전자유도차폐 64

56. 전기철도 수변전설비의 유지 및 운용 65

57. 직류전기철도의 급전계통에서 사용하는 직류고속차단기(High Speed Circuit Breaker)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성능 66

58. 급전시스템의 절연협조 66

59. 최근에 건설되고 있는 변전소는 가스절연개폐장치(GIS) 68

60. 무효전력보상장치(Static Var Compensator)의 전압보상원리 68

61.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 추세에 있는 철도시스템의 보증차원에 있어, 적용되는 RAMS 70

62. 교류이상구분 및 교직구분을 위한 절연구분장치(Neutral Section)의 길이결정기준 71

63. 표정속도를 정의하고 표정속도 향상법 72

64. 궤도의 안정성 72

65. 선로의 중심간격 72

66. 급전구분소(SP : Section Post)를 교류급전방식과 직류급전방식 73

67. 본선에서 최고속도를 80㎞/h로 제한하고자 한다. 이때 허용되는 전차선의 기울기 74

68. 궤도의 중심거리 75

69. 전철주 건식 75

70. 전차선로 지지물의 설계시 적용하는 풍속 76

71. 균일단면봉에서 인장력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훅의 법칙(Hook's Law)으로 설명 76

72. 허용응력 77

73. 곡선저항 77

74. 국산변압기를 전압은 동일하나 주파수가 50Hz로 낮은 국가로 수출하려 한다.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책(전동기에 적용시) 79

75. 팬터그라프의 구비조건과 차량속도 증가에 따른 보완대책 80

76. 전차선로(電車線路,electric car line) 80

77. 트롤리선 82

78. 수도권 전차선의 행거간격은 5m, 산업선 드로퍼 간격은 10m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두 방법사이에 예측되는 문제점과 대책 82

79. 급전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피뢰기 83

80. 전기철도 차량에서의 화재에 대한 방재대책 84

81. 궤도의 중심간격 85

82. 지하철의 소방안전 관리 85

83. 철도에서 속도향상의 제약요인과 대책 86

84. 전기철도에서의 불평형보상 88

85. 절연협조 89

86. 진동방지장치의 설치기준과 그 이유 89

87. 병렬급전 계통도에서 최저 전차선 전압을 계산 91

88. 직류급전방식에서 변전소간격을 제한요소와 산정방법 92

89. 전기부식과 방지대책 94

.

.

.

171. 철도차량의 에너지 절약방안을 운전방식, 차량속도제어방식, 제동방식, 수송효율, 기타 방법 188

172. 전철변전소 특성시험의 종류, 목적, 시험방법 및 판정기준(도시철도시설성능시험 기준) 189

173. 직류급전방식에서 정류포스트(Rectifying Post)를 설치하는 목적과 특징 190

174. 단면 2차모멘트 190

175. 고압과 특고압의 진상용콘덴서 설치기준 194

176. 최소자승오차법 195

177. 교류 AT 및 BT 급전계통에서 거리에 따른 단락임피던스의 궤적특성 195

178. 전력용 XLPE(CV) 케이블의 트리(Tree)현상 197

179. 도시미간을 고려한 경량전철 시스템의 유도급전방식 199

180. 전력시설물공사 착공신고서 구비 서류 및 감리원이 수행해야 할 착공신고서 검토사항 200

181. 전력설비의 고장율과 전력설비의 수명과의 관계 200

182. 동축케이블의 급전방식 장단점 202

183. 전차선로 엇가고 시스템(듀얼브래키트) 203

184. 전차선로의 특성을 나타내는 무차원비 204

185. 교류 25,000[V] 전차선로에서 전기적 이격거리 204

186. 접지계의 위험전압 205

187. 정거장 구내 측선의 종류 205

188. 도시철도 기본계획을 수립할 경우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할 항목 206

189. 가공전차선로에서 파동 전파속도와 이에 따른 열차의 운행속도 제한 206

190. 철도차량의 전기제동 209

191. 교류 AT급전계통에 사용되는 단권변압기의 용량표시방법 210

192. 전력 원격감시제어(SCADA)시스템에서 원격소장치(RTU)의 포인트(Point) 유형과 이들 포인트의 태그(Tag)기능 211

193. 전기철도 전철전력설비 중 수전선로에 사용되는 표준철탑의 종류 및 용도 211

194. 국토교통부 「도시철도건설과 지원에 관한 기준」에 따른 중량전철과 경량 전철

건설기준을 도시규모, 교통수요, 재정여건 및 국고지원기준으로 구분하여 설명 212

195. 전철전력설비 안전, 사고피해 저감, 화재 및 인체피해 예방 기술기준 213

196. 철탑의 종류와 설치기준 213

197. 전차선로에 적용하는 포탈빔의(Portal Beam)의 특징 214

198. 교류전철 시스템의 변전소 등에서 모선 인출개소에 개페기(단로기)를 설치하는 목적 및 설치방법 215

199. 철도안전법에 따라 제정, 고시된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의 목적과 철도안전관리체계기술 기준의 구성 215

200. 팬터그래프가 공진하는 속도와 이선을 시작하는 속도 216

201. 구조물의 지점과 절점 217

202. 직류급전방식에서 고저항 지락검출방법 217

20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 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의 개념과 전기철도분야의 NCS분류체계 218

204. 진공차단기와 가스차단기의 비교설명 218

205. 제3궤조 접촉식 급전방식과 유도급전 비접촉식 219

206. 전력용 콘덴서의 역할 219

207. 지중배전선로와 가공배전선로의 특징 220

208. 전기철도의 교류/직류 사구간 설치목적 및 설치기준과 유효길이 220

209. 비접지전로의 지락보호에 사용되는 선택지락방향 계전기의 동작원리 220

210. 고속철도 전차선로에 적용하는 구분장치 222

211. 자기애자와 폴리머애자의 특성 223

212. 유레다스(UrEDAS : Urgent Earthquake Detection and Alarm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리나라에서 지진이 발생할 때 KTX운전취급속도 225

213. 1선 지락전류 계산 예 227

214. 대통령령으로 정한 철도보호지구 안에서의 안전운행 저해행위 228

215. 열차 견인력의 종류와 유효작용 견인력 229

216. 강체전차선로의 분기개소의 설치방법 230

217. 전력용변압기의 절연유 가스 분석결과 상태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1

218. 공통접지와 통합접지의 정의와 측정방법 231

219. 완철의 강도계산에 필요한 수직하중과 수평하중 232

.

.

.

288. 전차선로 순환전류의 정의 및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 286

289. 표준전압, 공칭전압, 최고전압, 정격전압에 대하여 설명 287

290. 전차선로에 설치하는 피뢰기의 기능 및 종류, 설치위치 287

291.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서 감리원의 검사절차 289

292. AT 급전계통의 타선 흡상현상을 정의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CT결선을 통한 보호협조 289

293. 전차선로와 전기공급설비로 나누어 전철전력 내진기준 290

294. 노후 철도시설의 진단 시 설비의 특성에 따라 표본조사를 실시할 경우 확률표본추출과 비확률 추출 방법 290

295. 전철용 변전소에서 사용되는 수동형과 능동형 전력보상장치에 대하여 비교하여 설명 292

296. 전기철도 단권변압기(AT) 급전방식에서 사용하고 있는 거리계전기를 오동작하게 하는 변압기의 여자돌입전류가 발생하는 원인과 특성을 설명 293

297. 단심 전력 케이블의 접지방식의 종류를 설명 294

298. 전기시설물의 절연성능을 판단하기 위하여 절연저항 측정 시 시험측정 목적, 시험측정 방법, 가스절연개폐장치(GIS)절연저항 판단기준 295

299. 선로용량 정의와 전동열차 복선구간의 산정 수식 296

300. 대지절연 이격거리에 대하여 설명 297

301. AT급전방식의 특징 297

302. 섹션 인슐레이터(Section Insulator)종류 및 설치위치 297

303. 전기철도 가공전차선로의 집전성능 유지를 위한 압상량 관리 298

304. 전력시설물의 설계도서 보관의무에 관하여 소유자 및 관리 주체, 설계업자, 감리업자로 구분하여 보관해야하는 설계도서 종류와 보관의무 기한 298

305. PSM(Precision Stop Marker)의 기능 299

306. 급전선의 표준장력을 정의하고 표준장력의 상한 및 하한에 대하여 설명 299

307. 전기철도 전차선 및 조가선의 적정상태 유지를 위한 점검사항 300

308. 열차 신호방식 중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방식 301

309. 송배전을 위한 전력케이블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의 종류 3가지를 나열하고 특성 301

310. 전차선로의 전식방지대책 중 전기방식(防蝕)법 303

311. 전기철도 구조물의 부재단면 성질에 관한 단면상승 모멘트 304

312. 철도 변전소의 간격과 위치선정 304

313. 전차선로 관련 용어 중 보호선(Protective Wire), 비절연보호선(Fault Protection Wire), 중성선(Neutral Wire) 305

314. 전차선로의 기계적인 동적성능 기준을 설계할 때 커티너리 가공전차선의 파동전파 속도와 최고 설계속도와의 관계를 수식으로 설명 305

315. 전차선 무효부분의 설치 306

316. 전력기술관리법시행령에서 명시하는 전기철도 공사(工事)의 책임감리원 및 보조감리원의 자격을 총예정공사비로 구분하여 설명 306

317. 전기설비에 대한 접지의 목적을 설명 306

318. 전기철도변전소의 위치선정 시 고려사항 307

319. 직류변전설비 중 급전타이포스트(TP : Tie Post)와 정류포스트(RP : Rectifier Post)의 설치목적 308

.

.

.

340. 도시철도 직류 급전방식에서 6펄스 정류방식과 12펄스 정류방식 325

341. 접지설비 설계 시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고속철도 터널구간의 접지설비 설치기준 326

342. 전차선로의 귀선 전류가 전철구간의 궤도회로에 미치는 영향 327

343. 철도안전법 시행규칙에서 명시하는 철도에 공급되는 전력의 원격제어장치 운영자의 철도직무 교육내용 및 교육시간 328

344. 철도설계기준(시스템편)에서 철도시스템 분야별 인터페이스 사항의 처리기준과 전차선분야와 노반분야간 인터페이스 사항 328

345. 전차선로의 급전선 지지물 설계 시 콘크리트 기초에 대한 인장측 앵커 볼트의 개수와 매입 깊이를 계산 329

346. 전압불평형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고, 스코트(Scott) 결선 변압기의 전압불평형 330

347. 직류 전기철도 급전회로의 단락전류 특성을 R-L 직렬회로로 설명하고 돌진율 330

348. CT의 포화특성을 설명하고, CT 2차 회로에 연결된 계전기 또는 계기를 교체하고자 할 때 절차 및 주의사항 332

349. 전차선로의 주요 가선 자재를 선정하여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333

350. 전차선로 조정식 인류장치의 설치 목적을 온도 변화와 탄성 신장으로 설명 333

351. 전기철도에서 회생전력 흡수장치의 설치목적과 종류별 동작원리 334

352.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의 장치구성과 RTU(Remote Terminal Unit) 구성모듈 335

.

.

.

405. 공칭전압과 최고전압 및 정격전압 377

406. 전철변전소 운영과 관련하여 역률에 따른 요금의 할인 및 할증 378

407.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바람·부착빙설로 인하여 발생하는 갤로핑(Galloping), 슬리트점프(Sleet Jump)에 대하여 정의하고, 전차선 설계 시 고려사항 379

408. 예비타당성 조사용역 수행 중 종합평가 방식인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에 대하여 건설사업 중심으로 설명 380

409. 전철전력분야의 성능평가 항목인 안전성, 내구성, 사용성, 성능평가지수 및 성능평가 등급을 정의하고 성능등급에 대한 판단기준 380

410. 수소열차(Hydrogen fuel cell train)의 구동 원리 및 장단점 381

411.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애자의 플래시오버(Flash over) 발생 메커니즘과 대책 381

412. 교류전철변전소의 주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한 기계적 보호 장치와 전기적 보호 장치 382

413. 전차선 해빙시스템의 구성, 검출 및 운영방식에 대하여 설명 383

414. 전차선로에 사용되는 애자의 재료별 특성 384

415. 전철용 전주에 취부하는 지선을 형상별로 분류하고, 모든 지선 설치 시 공통적으로 고려해야할 사항 385

416. 철도분야 설계용역에서 경제성검토(Value Engineering)에 대한 대상, 시기 및 단계별 검토내용 385

417. 지중전력케이블의 고장점 표정을 위한 머레이 루프(Murray loop)법과 펄스 레이더(Pulse radar)법 386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