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전기안전기술사 서적을 5차에 걸쳐 전면 개정작업과 편집하여 2025년까지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풀이,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양식(응시자용)
1. 무정전 전원설비 선정시 고려할 사항 1
2. 방폭 전기설비의 보수실시자가 전기설비에 대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요건 1
3. 뇌전압 충격파의 규격영점 20
4. 누전에 의한 인체위해방지 대책 28
5. 화약류 또는 위험물을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시설물에 낙뢰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피뢰침을 시설할 경우의 안전기준 29
6. 전기기기의 절연협조와 피뢰기의 방전전압 30
7. 전력회로 차단기의 차단용량 결정방법 31
8. 전력계통에 있어서의 이상전압의 종류와 그 대책 33
9. 정전기 화재·폭발의 원인과 방지대책 34
10. 본질안전 방폭기기의 특징(장·단점) 37
11. 의료기기의 접지 38
12. 공장내의 이동용 전기기기에 대한 배선의 안전화 대책 40
13. 사업장에서 감전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비접지 방식 42
14. 선간전압V[V]인 3상 1회선 선로에서 대지정전 용량을 Cs[]라고 한다.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지락전류[A] (단, 기타 정수는 무시한다.) 43
15. 전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51
16. 인체의 전기적 특성을 ① 통전전류의 크기와 생리적 영향 ② 통전경로 ③ 인체의 전기저항순으로 도시하여 약술 54
17. ① 접지공사의 목적, 종류, 접지선의 굵기 ② 접지의 공용③ 건축물 구조물을 이용한 접지를 논하라 56
18. 보폭전압과 접촉전압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 58
19. 누전차단기의 동작원리와 설치시의 유의사항 60
20. 감전사고의 조사목적과 원인별 대책 63
21. 감전사고 발생시의 응급조치 64
22. 교류아크용접기의 자동전격방지장치 66
23. 주상변압기의 2차측 접지공사의 목적 68
24. 전선의 안전전류는 어떤점에서 결정되며, 전기기기의 사용할 때 안전전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기구장치에 대해 설명 68
25. 안전교육이 근로자에게 미치는 영향 69
26. 상온과 고온에서의 Creep현상 71
27. 전압전기기기의 이중절연구조에서 기능절연, 보호절연, 강화절연에 대해서 설명 72
28. 화재의 종류 및 각각 유효한 소화방법 74
29. 건설공사장 비산먼지 저감 방법 75
30. 피로의 종류 및 원인, 피로와 휴식의 연관성 78
31. 고압배선 선로에서의 감전사고 예방대책 80
32. Brake 82
33. 물질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물성 83
34. 안전점검을 위한 점검표(check list) 작성시 점검항목 작성(선정) 및 판정기준을 정 할 때의 유의사항 84
35. 소질성 재해 누발자 그룹의 성격상의 공통점 88
36. 초고층 공사시 안전 대책 89
37. 보일러의 안전대책 92
38. 연소파/화염일주/인화점/용해가스 94
39. 변전설비에 사용되는 차단기의 종류를 들고 각각의 동작원리, 사용에 적합한 전압범위 95
40. 전력용 콘덴서의 시험종류와 방법 96
41. 과오원인제거(error cause removal) 제도 97
42. Cable 화재의 원인과 방화대책 98
43. 지락사고시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등의 시설이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어떤 규제가 되어 있는지 설명 99
44. 교류전기기기의 절연진단을 위한 내전압 시험방법 103
45. 재해발생시 취해야 할 긴급처치와 2차 재해예방조치 105
46. 접지전극의 부식형태를 분류 106
47. 절연재료의 열화원인 109
48. 작업표준이 구비해야 할 요건 110
49. 2등변 삼각파 교류의 파형율과 파고율 114
50. 유도리액턴스의 용량을 산정 115
51. 직무분석(Job Analysis)의 의의와 목적, 방법 및 절차 117
52. 전기설비의 점화원 120
53 전기설비 방폭의 기본조건 120
54. 3권선 변압기(Y-Y-△결선)의 각 권선간 %Z가 아래와 같을 때 각 권선(1,2,3차)으로 환산한 %Z 127
55. 가스 또는 증기로 인한 폭발성 분위기가 조성되는 위험장소를 생성빈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3가지로 구분하고 판단기준 141
56. 감전사고 발생 현황 142
57. 고령자의 직업발달과 직업의식(작업능력) 149
58. 고압 전기설비 부근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개인 보호구에 관하여 설명(고압활선 근접작업) 152
59. 정전작업 요령에 관하여 152
60. 국제전기 기술회의(IEC) 전문위원회(TC) 64/건축전기설비의 전력선의 배전 방식 155
61. 근골격계 질환 161
62.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 방법 163
63. 낙뢰의 발생메카니즘과 예방대책 164
64. 단락과 혼촉을 비교 설명 167
65. 대전성 물질로부터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 172
66. 마비한계 전류(Freezing Current) 173
67. 방폭지역의 구분 174
68. 변압기 권선의 지락보호 방법 178
69. 변압기 내부 고장 보호를 위한 보호계전 장치 181
70. 변압기의 이상 상태를 진단(유중가스분석기법) 184
71. 분말의 정전기 대전방지 방법 190
72. 불량애자 검출 작업시 주의사항 198
73. 불안전행동의 배후요인 198
74. 산업안전기준 제343조(단호기/선로개폐기, 부하개폐기, 차단기의 특성 차이점) 200
75.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327조 200
76.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중 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방지를 요구하고 있는 조건을 기술하고 이 조건 이외의 접속장소 3가지를 기술 201
77.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13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안전관리자의 직무 202
78. 아크 용접 작업시 작업자의 감전방지 대책 203
79. 연소의 이론을 성명하고 연소의 3가지 요소와 연관하여 소화방법 208
80. 오일의 저항율과 대전경향 208
81. 인체 감전에 대한 실험식에서 심실세동 전류값을 165/[mA]라고 할 때, 165와 t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절연물의 v-t 특성과 연계하여 설명 212
82. 인체의 전격위험과 관련하여 가수전류(Lot-go current) 214
83. 잡음 방지용 접지(전기 기계․기구 및 장치의 오동작이나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236
84. H.W.Heinrich의 재해발생 이론 239
85. 저압 전기기기의 이중절연구조에 대하여 설명 241
86. 저압전로에서 캐스케이드(cascade) 보호방식 241
87. 전기누전 화재경보기의 정비방법 242
88. 전기사업법 제18조에 의한 전기의 품질기준 251
89. 전기설비 방폭의 기본사항 262
90. 전기안전담당자 안전대책 수립 시 고려할 내용 269
91. 전기용 고무장갑의 종류 272
92. 전기화재 조사자의 기본자세 273
93. 전기화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방안에 대한 의견 274
94. 전기화재의 원인을 발화형태(출화의 경과)에 따라 분류하고 그 예방대책 277
95. 전력계통 보호 시스템에서 후비보호 282
96. 전력계통의 고조파 발생이 전기설비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책 283
97. 전력계통의 중성점 접지방식에 대한 장.단점 287
98. 전자기기의 전자파 장해 대책 289
99.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휴대폰전자파를 중심으로) 290
100. 절연용 보호구 및 방호구의 사용 목적과 종류 304
.
.
.
200. 교류와 직류의 차이점과, 전열기에 있어서 열효율의 차이점 520
201. 감전 지연사의 유형 521
202. 방전현상의 분류 521
203. 남녀의 최소감지전류를 쓰고, 설정근거 522
204.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의 4원칙 523
205. 강색차선의 시설방법과 절연저항의 기준 524
206. 낙뢰의 위험과 KS C IEC 62305 524
207.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제23조 제2항)의 비상주감리원이 수행할 업무 524
208. 정전이 산업현장에 미치는 영향과 대형공장에서의 정전손실 극소화 방안 526
209. 전력계통에서 무효전력공급원으로 설치되는 전력용 콘덴서 및 분로리액터의
회로 개폐시 나타나는 이상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각의 회로에 사용되고 있는
차단기의 선정시에 유의할 점에 대하여 기술 529
210. 수전설비의 정의와 구비조건 530
211. 산업안전지도사의 직무 531
212. 정전기로 인한 화재 폭발방지 대상설비 531
213. 자가용 전기설비 공사계획의 인가 및 신고의 대상에서 전기수용설비의 설치공사와 변경공사 532
214. 위험성 평가의 목적과 필요성 및 효과 533
215. 방폭전기기기를 시설할 때 검토요건 533
216. 마이크로 쇼크(Micro-shock)의 정의를 쓰고, 전기기기의 인체 적용시 보호정도 533
217. 원방감시제어(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및 효과 534
218. 영상분 고조파가 발전기에 미치는 영향 535
219. 전력 퓨즈의 동작 특성 536
220. 방폭전기설비 선정의 원칙과 유의사항 537
221. 활선작업에 대하여 전압별(저압, 고압, 특고압)로 구분하여 설명 539
222. 공통, 통합 접지저항 측정방법과 접지저항 값의 인정범위 541
223. 22.9 kV/6.6kV 및 690V로 수전하는 자가용 수용설비에서의 특고압과 고압의 혼촉 등에 의한 위험방지시설 방법 542
224.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에 적합한 경우와 적합하지 않은 경우 543
225. 광도(Luminnous Intensity)와 휘도(Brightness) 및 광속발산도(Luminous Radiance) 544
226. 전력케이블의 내외부 반도전층과 차폐층의 설치목적(역활) 545
227. 저압직류 지락차단장치의 시설방법과 구성원리 545
228. 의료장소 전기설비의 시설에서 상용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 의료행위에 중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전기설비 및 의료용 전기기기에 공급하여야 할 비상전원 546
22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S마크 안전인증제도 547
230. 자가용 수전설비에서 케이블의 단락사고로 인한 기계적 응력이 가해질 경우,
케이블 1m 당 작용하는 단락 전자력 계산 548
231. 고장전류 계산의 목적과 차단시점의 단락전류 크기를 대칭단락전류(Is)와
비대칭 단락전류(Ias)로 구분하여 설명 549
232. 전력기기의 임피던스 영향과 활용 551
233. 위험전압에 관련된 용어와 저감대책 552
234. 누전경보기의 시험방법 554
235.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에서 정한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와 비상방송설비의 상용전원 554
23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의 피뢰설비 설치조건 555
237. 감리원이 산업재해예방을 위하여 공사업자에게 근로기준법, 산업안전보건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및 그 밖의 관계법규를 준수하도록 하기 위한 업무수행내용에 포함하여야 할 사항 555
238. 자연발화(Spontaneous Ignition)의 조건과 발화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557
239. 원자력 발전의 이점과 전환비, 비상전원, 내진설계 558
240. 전기사업법에 의한 중대한 사고의 종류 및 통보방법과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산업재해 발생기록 및 보고 559
24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고열과 한랭의 정의와 고열작업과
한랭작업에 해당하는 작업장소 및 고열장해와 한랭장해 예방조치 561
242.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서 전하는 용어설명 562
243. 전력용 변압기의 시험의 종류와 방법 564
244. 에너지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에 대한 주요 적용대상과 기술 566
.
.
.
261. 유효접지 593
262. 작업공정에서 작업위험분석 및 표준화를 위한 작업표준 595
263. 배전선로의 감전방지 대책 596
264.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와 EMF(Electric Magnetic Fields)에 대한 영향과 대책 599
265. 석유화학 공장 작업공정에서 정전기의 발생특성과 정전기에 의한 화재·폭발예방 대책 602
266. 22.9kV 충전전로에 인접한 건설현장에서 차량·기계장치를 이용한 작업 중 치명적인 감전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대한 현 실태 및 문제점과 산업재해예방을 위하여 사업주가 조치해야 할 사항(이격, 방호구, 보호구 등) 603
267. 최근 고령 근로자 재해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에 따른 재해원인과 재해 예방대책 606
268. 비상전원의 정전보상시간을 맞추기 위해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축전지 용량의 산정 610
269.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안전진단의 종류와 대상 사업장 612
270. 방폭구조에 관계있는 위험특성과 폭발성 분위기의 생성조건에 관계있는 위험특성 613
271. 제조설비에서 안정성 평가를 할 경우 정성적 평가 방법과 정량적 평가 방법 613
272. 전기화재시 사용할 수 있는 소화약제의 종류와 특성 615
273. 내전압용 절연장갑 성능기준의 등급별 사용전압과 색상 616
274. 화재현장에서 발생하는 전선의 1차 용융흔(溶融痕)과 2차 용융흔(溶融痕) 617
275.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의 시설기준 618
276. 노출 도전성 부분(Exposed Conductive Part)과 계통외 도전성 부분(Extraneous Conductive Part) 619
277. 작업장에서 사고예방을 위한 조명의 작업조건과 환경조건 619
278. 직류송전(HVDC)의 구성요소 622
279. 전력케이블 화재원인과 방지대책 624
280. 변압기의 열화 진단의 목적, 열화종류, 열화진단방법 626
281. 의료기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사고 628
282. 반도체 공정에서의 정전기 특징과 방지대책 630
283.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기사고 대응대책 631
284. 최근 국내에 설비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연료전지의 종류, 발전 원리와 안전유지관리 방법 632
285. 단락용량 증대에 따른 문제점과 경감대책 634
286. 산업용 기계류에서 자율안전확인신고 전기시험항목과 시험기준 636
.
.
.
372. 2차전지 중 연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 435
373. 대기현상 또는 설비 내 기기에서 발생한 과전압에 대한 저압 전기설비의 보호방법 436
374. 책임감리와 건설 사업관리(CM)의 업무와 제도를 비교하여 설명 437
375.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이하 VE)의 적용형태, VE의 5가지 기본원칙, VE를 적용하기 적합한 건설사업의 유형 437
376. 중성점 직접 접지방식 전로와 비접지방식 전로의 지락보호를 비교하여 설명 439
377.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에서 정하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 440
378.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18조(전기의 품질기준) 및 제19조(전압 및 주파수의 측정) 441
379. 전기저장장치(ESS)의 직류(DC)전로에서 지락검출방식 441
380. 변압기 절연방식의 종류 442
381. 자가용전기설비의 저압구내배전선로를 케이블트레이공사로 할 경우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따른 케이블트레이 선정기준 442
382. 안전관리의 조직에 대한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특징, 장단점 및 활성화 대책 443
383. 전력용 콘덴서의 열화 원인 및 방지대책/외부환경 영향 및 내부사고에 대한 보호/내부고장 검출방식 444
384. 사고 또는 재해의 요인이 되는 부주의에 대한 부주의의 현상과 의식수준/부주의의 발생원인/부주의의 예방대책 446
385.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열 영향에 대한 적용범위/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전기기기에 의한 화상 방지 447
386. 전력계통에서 절연협조의 목적과 방법 448
387. 한국전기설비규정(KEC) 표준에 따른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접지설계시 접지시스템 설계 흐름도를 작성하고 허용접촉전압 계산방법 449
388. 사업장에서 비상용 예비전원설비를 설치할 경우 비상용 예비전원의 공급방법/비상용 예비전원설비의 시설기준/비상용 예비전원설비의 배선기준 450
.
.
.
435. 전기작업의 위험성 평가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에서 일반사항(위험평가계획 수립, 전기의 위험성 및 안전대책), 전기작업 위험성 평가, 전기작업 안전대책(관리기준 설정, 안전대책 실시 및 조치), 기록 및 관리 492
436. 3상 380V 평형전로에 설치된 누전차단기에 내장된 영상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의 영상변류기의 출력전류와 3상 벡터도 494
437. 안전심리와 사고에서 의식 수준 단계(제0단계∼제4단계)를 분류하여 설명 495
438. 수전설비에서 사용하는 전력퓨즈의 장단점을 각각 5가지 496
439. 전력계통에서 중성점 접지의 목적과 유효접지의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위에 대하여 상전압, 선간전압으로 구분하여 설명 497
440. 전철 변전설비에서 사용하는 직류고속도차단기(HSCB, High Speed Circuit Breaker)에 요구되는 기본성능 4가지 498
441. 자가용 수전설비에 설치하는 비상용 축전지(Battery)의 알칼리 축전지와 연축전지용도, 축전지실의 환경 및 설비 조건 3가지를 설명 499
442. 한국전기설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에서 수상전선로 중 저압 또는 고압인 것에 한하여 시설기준 500
443. 사업장 위험성평가의 절차 및 방법 501
444. 가공송전공사 감리업무기준에서 감리원의 기본임무 503
445. 커패시터(Capacitor)의 역률개선 원리, 설치효과 및 설치방법 503
446. 수전설비에서 사용하는 정지형 비율차동계전기의 정의, 원리 및 특성 504
447.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 감전에 대한 보호체계를 그리고, 감전보호 일반사항 505
448. 산업교육 및 훈련에 대한 정의, 산업교육 및 훈련의 과정(7단계), 산업교육 및 훈련의 방법 507
449. 전력시설물 시공 시 품질관리와 관련하여 감리업무의 중점 품질관리 및 성능시험 계획 508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철도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
전기응용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자연환경관리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용접기술사(2025, 동영상강의, 성안당출판) (0) | 2024.08.09 |
식품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