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자연환경관리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9.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자연환경관리기술사 해설집을 2024년도 최근까지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생태네트워크 계획과 구성 1

2. 생태계 조사 방법 중 매목조사 1

3. 비탈면녹화에서 정상천이계열과 편향천이계열의 예 2

4. 도시화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단편화되면서 나타나는 식물의 구성상의 특징을 식물종자의 산포방식인 풍산포, 저식산포, 조산포 방식과 관련하여 설명 2

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4대 용도지역 및 지역별특성 2

6. 녹지자연도 등급갯 수를 서술하고 등급별 사정기준 3

7. 생태연못 조성순서 3

8. 녹지자연도와 생태․자연도 비교 4

9. 생물방제(Biological Control)정의 6

10. 식물정화법(phytoremediation) 7

11. 도입되는 동․식물 개체군 정착의 접근방법 10

12. 한국농촌마을주변의 임지인 “마을숲”의 식생 특성 12

13. 주민의견수렴의 의의 13

14. 습지총량제(No Net Loss) 13

15. 경관의 구조 14

16. 지속가능성 3대 요소 3E 16

17. 생물다양성의 경제적 가치는 직접가치와 간접가치 17

18. 생물다양성의 파괴 18

19. 생물다양성 감소와 원인 19

20. 생물다양성 보전 19

21. 생태학과 생태계 20

22. 동식물의 기능 21

23. 동식물 보전 대책 22

24. 동식물상 분야 평가서 작성 방법 24

25. 자연식생의 생태학적 관리방식 중 “천이순응”, “천이촉진” 및 “천이억제”의 차이점 26

26. 환경수용력의 개념 27

27. 사막화의 현황과 원인 28

28. 현지내 상태와 현지내 보전 (in-situ conditions and conservation) 30

29. 환경영향평가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30

30. 핵심지역 (core area) 30

31. 토지황폐화 (land degradation) 30

32. 환경관리의 기본개념인 PPP(Polluters Pay Principle)를 설명하고 수혜자부담원칙UPP(Users Pay Principle)과 비교 30

33. 생태도시체계와 구성요소 31

34. 생태연못의 개념 33

35. 생태공원 조성목적 및 조성 절차. 34

36. 학교시설내의 자연환경 및 생태계 실습을 위한 “종합 환경생태교육장”을 조성하고자 한다. 교육장 건설에 따른 고려사항과 조성방향, 도입시설 36

37. 산림청지정 멸종위기식물 및 보호야생식물 38

38. 멸종유형의 지역적과 생태학적 및 생물학적멸종 41

39. 녹지평가에 활용되는 식물사회학 개념인 Braun-Blanquet 42

40. 개체군(population) 43

41. 정화습지조성의 고려사항과 도입가능시설 46

42. 하천연속성 개념(River Continuum Concept) 48

43. 홍수맥박개념(Flood-Pulse Concept) 49

44. River Corridor Function 49

45. 식생여과대(Vegetation Filter Strips) 50

46. 하상미지형의 보전 50

47. 여울과 소 51

48. 메타개체군의 개념 및 필요성 51

49. GIS의 필요성과 구성요소 51

50. 옴부즈만(Ombudsman)제도 52

51. OECD에서 제안하고 있는 환경지표인 PSR 53

52.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관리지역의 종류와 내용 54

53.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개념 55

54. 자연환경보전법상의 자연유보지역 및 대체자연의 정의 56

55. 환경용량의 개념인 생태적 발자국 56

56. 환경부가 지정․고시한 수변구역의 지정목적과 지정범위 57

57. 기후(climate)의 분류 및 특징 57

58. 습지보전법상 습지 및 연안습지의 정의 58

59. 어메니티의 개념, 어메니티계획의 필요성 및 기본적구상, 국내외 사례 59

60. 산림표토를 이용한 공법의 개념과장․단점 62

61. 자연환경을 고려한 생태통로 시공시 고려사항 63

62. 환경친화적인 도로 건설에 있어 노선선정시 동․식물 항목에 있어 주요 검토사항 64

63.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의 증식복원계획에 있어 증식복원대상종 및 의의 65

64.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제도의 특징을 상호비교 66

65. 자연형 배수의 개념과 효과 67

66. 하천의 자연환경 보전 및 복원방향 67

67. 옥상생태계의 조성효과 및 옥상생태계 유형과 조성방법 69

68. 열섬현상의 형성요인과 특성 72

69. 경관법의 목적, 경관관리의 기본원칙, 경관계획의 내용 73

70. 표토의 정의와 채취구역 선정시 주의사항 74

71. 우리나라 지방의제 21의 개념 및 성격에 대해서 설명하고, 국내외의 사례 75

72. 존속가능 개체수(MVP)의 개념과 사례 설명 76

73. 해양의 일차생산 76

74. 해양생태계에서 1차 생산에 미치는 제한요인 77

75. 식생조사에 기초를 둔 식물군락에서 현존식생, 자연식생, 잠재자연식생, 극상군락의 개념과 관계를

설명 78

76. 개체군의 자연증가의 고유변화율 81

77. 개체군의 생장형 81

78. 개체군의 동요와 주기적 진동 82

79. 개체군을 제어하는 밀도독립 작용과 밀도의존 작용 82

80. 개체군의 생활사 특징과 전술 83

81. 생태계의 발달과 진화(극상/자연선택/공진화) 85

82. 개체군들의 상호관계 중 상극(Allelopathy) 관계를 한국의 식물을 예로 들어 설명 87

83. 우리나라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의 지정현황 88

84. 지구온난화가 한국의 기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91

85. 생태면적율의 정의와 적용 대상 94

86. 적응전략(適應戰略 adaptive strategy) 97

87. 생활사전략(Life history strategy)과 Grime의 모식도 98

88. 생물지구화학적 물질순환 중 물 순환의 특성 98

89. 자연경관심의제도의 의의와 대상 사업 99

90. 자연형 하천의 식생구조와 수생식물 100

91. 야생동물의 가치 100

92. 야생동물의 서식과 관련되는 환경인자 101

93. 야생동물 관리보호에 응용되는 생물학적 이론 103

94. 야생동물 관리방법 105

95. 야생동물 개체군 밀도조사법 105

96. 국내 추진 야생동물 실태조사 107

97. 개체군의 중요도 지수와 우점도 계산방법 109

98. 포유류의 조사방법 110

99. 고라니의 서식실태 조사 111

100. 양서․파충류의 조사방법 111

.

.

.

151. 지방의제 21 171

152. 백두대간의 생태적 의의, 훼손 유형과 복원방안 172

153. 경관의 공간적 구조를 도식화하고 설명 173

154. 습지의 종류, 기능, 복원시 고려사항 175

155. 생태계의 단편화의 정의 및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177

156. 복원, 복구, 대체의 개념과 도식 178

157.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과 경관생태학적 지역구분 179

158. 생태도시의 계획요소 181

159. 라이더(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의 특성 182

160. Biotop Network(생태네트워크, 서식지네트워크)의 3가지 구성 요소 183

161. GAP 분석(GAP Analysis)과 시나리오분석(Scenario Analysis) 183

162. IPCC(Intergovernmental Panel in Climate Change)의 개념 및 주요활동 185

163. 생물다양성 관리계약제도의 유형 185

164. 파편화의 개념 및 파편화로 인한 구체적인 영향 186

165. 자연친화적인 미래의 바람직한 비탈면 녹화공법의 방향(도로 비틸면) 187

166. 하천관리를 위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기법 189

167. 자연환경복원을 위한 원칙, 과정 및 고려사항 192

168. 에너지절약효과를 거두기 위한 식재지침 193

169. 생태계의 리사이클(Recycle) 193

170. 인공습지의 수질정화 원리 및 설계시 고려사항 194

171. 하천연안대 식생단면 모식도, 각 군락별 수생식물의 생태학적 특성을 서술하고, 각 군락별 대표적인 식물명을 3개 이상 201

172. 연안내 식물군락의 생태적 기능 204

173. 연안대 식물군락과 서식환경의 보호 205

174. 연안대 식물군락의 복원 207

175. 생태공원의 관찰시설에 대한 계획방안과 사례 209

176. 비점오염원(도시 및 농촌)의 발생원인 및 유출특성과 관리방안 211

177. 저탄소사회(Low Carbon Society)의 개념 및 적용한 환경계획 219

178. AGP(Algal Growth Potential)를 포함한 부영양화 판정기준과 조류예보제의 발령기준을 제시하고, 호소내 부영양화 제어방안 221

179. 부영양화 호소의 정화방안 222

180. 생물촉진(biostimulation)과 생물첨가(bioaugmentation)법의 정의, 적용조건 224

181. 환경영향평가법에서 “환경영향평가대상사업 225

182. Green Tourism의 개념과 농촌활성화 226

183. 수원함양림 개념 및 조성관리 방안 229

184. 주거단지에서 텃밭 및 퍼머컬쳐(permaculture)의 계획 및 운영방안 231

185.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정기준과 보전구역의 유형 및 행위제한 232

186. 생태계보전협력금의 개념과 부과 대상사업 및 협력금의 부과방법과 사용용도 234

187. 적조를 제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황토 살포의 문제점과 대책 235

188. 하천의 건천화로 인한 생태적 문제점과 기술적 대안 237

189. 생활환경림 238

190.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의 종류의 발생원과 억제대책 240

191. 해안토양 오염복원 방법 242

192. 친환경적 골프장 조성방법 243

193. 도시내 관리야생 동․식물관리방안에 대하여 현황과 구체적 관리계획 244

194. 전략환경평가제도의 정의와 도입 필요성, 적용시 장점 248

195. 수변식생대의 필요성 248

196. 빗물정원(rain garden)구조, 효과와 조성기법 249

197. 녹색갈증(Biophilla)의 원인과 충족방법 250

198. 생태마을의 정의와 실천목표 251

199. 신·재생에너지의 정의 및 특징을 요약하고 개발보급의 필요성 252

200. 식물에 의한 수질정화원리와 3단계 습지조성시스템(인공습지기준) 253

.

.

.

251. 잎의 자기방어 전략 310

252. 베르그만의 법칙과 알렌의 법칙 310

253. 야생동물조사방법 중 원격무선추적(Radio-telemetry)기법 311

254. IUCN Red list 와 Green list 비교 312

255. 종다양성 지수(species diversity index) 312

256. 국제식물명명규약의 원칙 313

246. 균근과 질소고정 세균을 활용하여 상리공생 313

247.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인 산양증식 복원계획을 수립시 공간별 조성 과정을 기본계획도(non scale)와 함께 계획(안)을 설명 314

248.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의 기후변화시나리오 주요내용과 기상청에서 제시한 한반도의 미래 기후

변화 전망 315

249. 생태계서비스의 4가지 기능 316

250. 억새, 물억새, 갈대, 달뿌리풀의 비교 및 적정 식재위치 316

251. 관리효과성평과(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317

252. 영양종속(Trophic Cascade) 317

253. 동반식물(Companion Plant) 318

254. URBIO Index 318

255. 생태복원을 위한 지식의 원천(3가지 유형) 318

256. 사계절 볼거리를 가지는 야생화 복원지역 조성방법 319

257. 친환경적 국토관리방안(정보연계측면) 319

258.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협의시 도로, 철도, 하천변에 등에 설치하는 공원과 녹지 적정성 검토 기준 320

259. 특정도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의 목적, 주기 및 물리적환경, 생태계변화, 토지이용 등 320

260. 맹꽁이 서식처 복원사업 321

261. 식생복원공법 중 Seed-spray 공법에서 사용하는 재료 중 주재료인 종자(Seed)에 대한 배합설계 중요성, 종의 선정, 배합량의 결정, 살포량 322

262. 생물다양성전략계획(2011~2020)의 Aichi Target 11을 달성하기 위한 우리나라 보호지역 확대방안 324

263. 환경부에서 구축하여 제공하는 토지피복도의 위계와 분류항목 324

264. 행동권(home range)과 세력권(territory)의 차이점 324

265. 환경부에서 지정한 보호지역 중 국립공원, 습지보호지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현황, 문제점과 개선방안 325

266. 토지적성평가와 국토환경성평가에 대하여 비교 설명 325

267.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생태놀이터(아이뜨락)의 정의, 역할, 조성원칙, 조성방향, 조성절차 및 차별화 요소를 설명 326

268. 생태계보전협력금반환사업 시행을 위한 주요 시공계획서를 작성 327

269. 포터가설(Porter ypothesis) 328

270. 통합환경관리제도 329

271. 자연자산가치평가 330

272. 최적가용기법(BAT)과 기준서 331

273.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331

274.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생태적자(Ecological Deficit) 332

275. 창시자효과(Founder Effect) 333

276. 원격탐사를 이용한 자연환경조사의 장점과 원격탐사 센서의 종류 333

277. 비오톱 정원을 위한 식물종 선정 방법 334

278. 화분매개충, 흡즙곤충, 식엽곤충의 종류 335

279. 수변 비오톱 관리기법 335

280. 생태연못에서의 수생식물 배치방법(단면도 제시) 336

281. 훼손지 복원을 위한 토양시드뱅크(Soil Seed Bank)의 활용방안 337

282.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및 저감대책(자동차, 사업장, 생활주변) 338

283. 식물표본의 동정 및 표본관의 기능관리 340

284. 동물과 식물의 상호작용 342

285. 외래종의 현황(동물, 식물, 미생물)과 영향 및 관리방안 344

286.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취약성을 고산 및 아고산 생태계, 습지 생태계 중심으로 설명 345

287.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시행령 포함)에서 제시한 멸종위기종관리계약과 이행에 따른 손실보상기준 346

288. 대체서식지 유지관리, 사후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의 고려사항 346

289. 서식지 내 개체군의 분포유형(3가지)과 유형별 특성 347

290. 생태복원 사분위 모델과 최근의 환경적 가치 위상 350

291. 삵과 고양이의 외부형태 차이점 350

292. 로드킬(road-kill) 발생원인 351

293. 생태통로 개방도 351

294. 환경분쟁조정의 종류 351

295. 전통적인 생태지식의 개념 352

296. 람사르습지도시 인증제 352

297. 도시생태현황지도 작성의 목적 352

298. 독일의 자연침해조정제도 353

299. 광역생태축의 실질적 보전 방향과 한계점 353

300. LID기법의 종류를 설명하고,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 단계별 적용방안 355

.

.

.

351. 독립영양 천이(Autotrophic succession)와 종속영양 천이(Heterotrophic succession) 391

352. 산경표(山經表)와 산경도(山經圖) 391

353. 북한의 람사르습지 지정현황 392

354. 그린뉴딜(Green New Deal) 393

355.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철새이동경로(EAAF) 393

356. 이슬점 온도 394

357. 토양시료 채취방법 394

358. 상극작용(Allelopathy) 395

359. 생물농축(Biological Concentration) 395

360. 사막화방지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395

361. 생태관광지역 지정제와 추진배경 396

362. 전환마을(Transition Town) 396

363. 생태계 기반 적응(EbA : Ecosystem-based Adaptation) 396

364. 하도계획 수립 시 하천의 지구 구분 397

365. 신두리사구와 두웅습지의 생태적 특징 397

366. 마을습지 등 생활권 내 소규모 습지의 생태적 가치와 현명한 이용(Wise Use) 방안 398

367. 유속 측정 방법 중 회전식 유속계 측정법과 부자(浮子) 측정법 398

368. 붉은점모시나비의 생태적 특성과 대체서식처 입지선정 기준 및 복원방법 399

369. 개발사업 생태계 훼손사고 발생 시 대응방안 400

370. 탄소순환과 질소순환 401

371. 생태계 모니터링 및 생태자원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드론의 활용 방안과 카메라센서 종류별 특징 403

372. 온도상승에 따른 육상생태계 변화 404

373. 빛 공해가 생물분류군에 미치는 영향 및 저감방안 404

374. 생태시스템을 고려한 스마트도시의 조성 전략 405

375. 녹색전환(Green Transition) 406

376. 습지보전법에 규정된 습지보전·이용시설의 종류 406

377. 조류의 도피, 회피, 경계 및 비간섭거리(3종을 사례) 406

37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성장관리방안 407

379. 생태계서비스의 분류 408

380. LID기법의 식생저류지와 식생수로 단면도(Non scale) 408

381.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 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409

382. 육상식물의 생물계절 조사항목 409

383. Braun-Blanquet의 우점도 계급 410

384. UN SDGs(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410

385. 환경분쟁 원인재정(原因裁定)제도 411

386. GTI(Global Taxonomy Initiative) 411

387. 2020-2040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 추진방안 412

388. 한반도 고산·아고산대의 기후특성과 토양, 식생에 대하여 설명 412

389.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평가 개선 지침(환경부, 2019)에서 제시하고 있는 멸종 위기종 서식지 평가방법과 활용계획 413

390. 생태하천복원사업 업무추진 지침(환경부, 2020)」에서 제시하는 수생태계복원계획 414

391. 생태하천복원사업 업무추진 지침(환경부, 2020)」에서 제시하는 수생태계복원계획 413

392. 도시열섬의 원인과 결과, 저감방안 414

393. 물관리기본법에서 제시한 물관리의 기본이념과 기본원칙을 설명하고, 통합물관리 체계 정착을 위한 검토사항 415

394.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의 지정요건과 지원내용 및 지정사례 416

395.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유입주의 생물제도의 도입목적과 지정 및 관리절차에 대하여 설명 417

396. 환경부에서 구축하여 제공하는 토지피복지도의 분류체계와 활용분야 418

397.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해 탄소배출저감과 탄소흡수관점에서의 계획요소를 각각 설명 418

398. 서식지 환경과 야생동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산지에서의 미소서식지(microhabitat) 조성 418

399. 자연환경복원에 있어서 생물다양성의 가치와 생물종 보전방안 419

400. 호안경사 정도에 따른 저수로 호안조성 공법과 식재종 선정 420

.

.

.

440. 군도(Sociability) 399

441. 생물계절 400

442. 환경의 경제적 가치 추정방법 종류 400

443. 환경의 특성 401

444. 위생해충 402

445. 자연환경 관련 보호지역 종류 403

446. 환경정책의 추진원칙 403

447. 수문조건에 따른 습지의 종류 403

448. 유전자변형생물체 404

449. 환경영향평가 식물상 분야의 주요종 404

450. 경관패턴을 만드는 비생물적 요인 405

451. 야생동물의 주요 질병에 대하여 설명 405

452. 환경영향평가 시 거짓 판단근거를 제시하고, 이로 인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407

453. 수목 훼손에 대한 저감방안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 408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