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수자원개발기술사 서적을 2025년도135회까지 5차에 걸쳐 개정과 재편집을 하여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가능 최대 홍수량 1
2. 강수(降水)의 종류 1
3. 방조보(防潮洑) 1
4. 하구의 지형학적 분류에서의 피오르드(fjords) 2
5. 자연하천에서의 유속분포특성 2
6. 유황곡선 3
7. 돌발홍수(flash flood)의 정의와 원인 3
8. 하상유지시설 4
9. 지하댐 5
10. 정상류(steady flow)와 부정류(unsteady flow), 등류(uniform flow)와 부등류(nonuniform flow) 5
11. 에너지보정계수 및 운동량보정계수 6
12. 하도계획수립 시 기본방향과 기본절차 8
13. 우리나라 수자원의 현황 및 특성과 향후 물 문제에 대한 대책 8
14. 홍수피해 중 유수지 및 빗물펌프장의 내배수(內排水)에 의한 침수피해 요인 10
15. 댐 위치 결정에 고려해야 할 사항 11
16. 정상부등류(steady nonuniform flow)의 수면곡선 계산방법 중 하나인 뉴톤의 반복법(Newton iteration method)을 이용한 표준축차법(standard step method) 12
17. 해안지역의 지하수에 해수침입 현상과 지하수의 염수화 방지방법 13
18. 도시하천 중심지역에 홍수 및 호우로 인한 수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도시계획과 수방(水防) 13
19. 수면곡선 판별법 16
20. 부정류의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의 수치해법의 음해법(centered difference implicit scheme)과 상류이송기법 17
21. 강우시 유역으로부터의 유출(流出)의 지배인자(支配 因子) 19
22. 한강수계 댐군의 모식도와 홍수조절 현황을 제시하고 남한강 유역에 대한 홍수피해 방지대책 20
23. 홍수보험제도와 홍수보험요율도 27
24. 홍수피해 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PFD)의 산정방법 28
25. 강우강도 - 지속기간 - 재현기간 관계곡선 28
26. 법정하천의 종류 및 관리주체 31
27. 유황분석 및 유황곡선(flow duration curve) 작성방법 31
28. 유효우량 분석시 선행토양 함수조건 32
29. 주지하수 감수곡선법 33
30. 자기상관도(Autocorrelogram) 33
31. 수리학적 홍수추적과 수문학적 홍수추적 34
32. Mann-Whitney test 35
33. 하도, 고수부지, 유수지 등에 사용되는 하천정화기법 37
34. 자연친화적 하천정비 계획 시 하천식생의 기능 38
45. 하천법에서 정하는 하천유지유량(河川維持流量)의 정의와 선정기준 39
46. 물의 순환과정 중에서 유출 39
47. 설계 우량주상도 작성을 위한 강우의 시간분포 방법 40
48. 교통시설에 대한 사전재해 영향성 검토서 작성시 검토항목 및 검토내용 41
49. 천변저류지의 필요성과 정의 41
50. 설계홍수량 산정 방법 42
51. 유효우량 산정방법 46
52. 여수로의 기능과 형식별 특징 48
53. 하천횡단 교량계획시의 수리학적 검토사항을 항목별 50
54. 수력발전소는 취수방법, 운용방법에 따른 분류 51
55. 홍수시 피해를 경감하는 유송잡물 차단시설의 설계시 고려사항을 기술하고, 유송잡물 차단시설의 종류 53
56. 하천사업이나 시책에 관계되는 계획을 검토할때 실시하는 하천치수경제조사의 기본절차 55
57. 빈도해석시 적정 확률분포형 선정방법과 개요 57
58. 재해지도의 구분과 활용방안 59
59. 하천의 조도계수의 결정인자 60
60. 지하수 운동을 파악할 때 중요한 인자에 속하는 투수계수(k)의 결정법 61
61. 사류흐름에서의 衝擊波(Shock Wave)를 설명 62
62. 공액수심(Conjugate Depth)을 설명하시고 사각형 수로에서의 도수전후의 수심의 관계식 62
63. 양수발전방식을 설명하고 상부지의 용량을 구하는 식을 기술 64
64. 하상변동의 1차원 해석법에 대하여 설명 65
65. 지하수의 연직분포 구성성분에 대하여 기술 66
66. 하천차수의 정의 및 결정방법 67
67. 하천의 자정작용 69
68. 갈수대책댐에 대하여 기술 70
69. 민감도분석의 내부수익율과 회수기간법 70
70. 교량 경간장의 결정방법을 기술 71
71. 홍수위험지도(Flood Risk Map)에 대하여 기술 72
72. 만제유량(Bank Full Discharge)에 대하여 설명 74
73. 단기유출과 장기유출은 유출기구는 같음에도 유출해석상 차이를 보이는바 이유를 설명하시고 적용상 유의할 점을 기술 74
74. 함리식은 식이 아주 적은 소유역에서만 사용되는, 이유 및 적용상의 개선방법 75
75. 하천정비가 하천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 76
76. 유달시간의 산정 77
77. 개수로흐름 특성을 시간의 함수 및 공간(거리)의 함수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교란(Turbulence)
여부에 의한 흐름에 대해서도 설명 77
78. 조압수조(Surge Tank)의 설치목적, 기능 및 수리설계 조건에 대하여 설명하고 수조의 종류에 따른 특징을 기술 78
79. 대하천에서 사주가 발생하여 섬으로 진행되는 과정과 조건 79
80. 하천제방의 붕괴원인과 제방안정성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80
81.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시 목표년도의 홍수량 산정 절차에 대하여 설명 80
82. 도시화가 물순환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에 대하여 설명 82
83. 하천관리를 위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기법 83
84. 다목적댐의 저수지수위 및 이에 따른 저수지용량 배분에 대하여 기술 85
85. 호안의 종류 및 구성요소와 설계방법에 대해 기술 87
86. 하천 유지·보수의 기본개념, 목적 및 법적근거 87
87. 종합하천계획 88
88. 하천유역의 홍수방어 및 조절대책에 대하여 기술 90
89. 비점오염원(도시 및 농촌)의 발생원인 및 유출특성과 관리방안 92
90. 저류방정식 96
91. 순간단위 유량도 96
92. 역적-운동량 방정식(impulse-momentum equation) 98
93. 대응수심(alternate depth)과 공액수심(sequent depth 또는 conjugate depth) 100
94. 홍수위 상승 및 하강시 수위-유량관계곡선이 loop형이 되는 이유를 간단히 설명 100
95. 모세관 현상을 설명 100
96. 기본홍수 및 계획홍수에 대하여 설명 159
97. Poiseuille법칙에 대하여 설명 101
98. 다른사업의 시행에 따른 하천정비기본계획 변경업무 102
99. 하천 유지유량의 기준지점 설정기준과 하천유지유량 산정시 고시할 내용 102
100. 홍수예보의 기준이 되는 주의보수위와 경보수위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 103
.
.
.
151. 유수지 설계시 유수지 용량을 결정하는 과정을 기술 174
152. 하천대장 작성시 일반사항, 포함되어야 할 내용 및 하천구역 175
153. 댐의 여수로에서의 공동현상에 대하여 설명 177
154. 기초 수문 검토 179
155.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신설되는 하도계획 시 고려할 사항을 기술 182
156. 하천을 횡단하는 교량으로 인한 세굴 및 대책에 대하여 설명 182
157. 하천법상의 행위제한 유형 및 규제내용을 하천, 하천구역, 하천예정지 및 연안구역별로 구분하여 설명 183
158. 다목적댐의 최적 개발규모 검토 절차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 183
159. 다목적댐의 편익산정 기법 184
160 하천 내 나무심기 기준에 대하여 설명 186
161. 수리학적 상사법칙에 대하여 설명 187
162. 수방기준 189
163. 주운 수로 설계시 최소수심 결정방법 190
164. 주운수로의 설계속도 결정방법 191
165. 치수안전도 설정방법 191
166. 설치목적에 따른 보의 종류 192
167. 고규격 제방 193
168. 하천제방의 여유고 및 둑마루폭 193
169. 지하수의 영향권 및 영향원 195
170. 펌프의 흡입관의 길이를 길게 하지 않거나 흡입 측에 밸브류 등 부속물을 설치하지 않는 이유 195
171. 부력을 정수압 분포의 원리 198
172. 이익의 현재가치(Y) 199
173.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절차와 단위지구별 풍수해저감 대책 200
174. 여수로 에너지 감세공인 Stilling basin, Roller bucket, Flip bucket이 적합한 조건 204
175.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상학적 인자에 대하여 설명 205
176. 풍수해 비상대처계획(EAP) 206
177. 재해복구사업 사전심의 207
178. RRL방법과 유출유역에서 첨두홍수량(㎥/sec) 207
179. 유수지 설계시 유수지 용량을 결정과정 208
180. 수문의 종류 209
181. 홍수시 댐/저수지의 운영방법(Reservoir Operation Method) 210
182. 재해복구사업 분석 및 평가 211
183. 제방과 호안의 안정성 확보 방안 212
184.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유형, 지정 및 등급분류 기준 215
185. 도시하천의 특성과 물순환시스템 조성방안 216
186. 지역안전도의 정의 및 활용방안 217
187. 추이대 218
188. 필댐에 설치하는 계측설비와 계측항목 218
189. 펌프에서 공동현상의 원인과 대책 219
190. 홍수관리구역 221
191. 수제의 기능 221
192. 정규분포법 222
193. 대수 정규분포법 224
194. 피어슨형 Ⅲ법 224
195. 대수 피어슨형 Ⅲ법 225
196. 일반극치법 225
197. Gumbel 법 225
198. Weibull 법 226
199. 유역의 기후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 226
200. 동점성계수(kinematic viscosity) 229
.
.
.
251. 수자원 분야의 국내 설계사의 해외사업 참여방식 302
252. 도시침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04
253. 최근 4대강 준설에 따른 지류하천의 하상 저하 방지대책, 하상유지공 설계시 유수의 감세를 위한
고려사항 309
254. 치수사업의 직접편익과 간접편익 310
255. 물부족국가와 물기근국가 311
256. 합성단위도의 정의 311
257. 강우량 고도보정 312
258. 대심도터널 313
259. 하천수변조사 314
260. Dupuit 포물선 316
261. 이중누가우량 분석 317
262. 강우-유출 모형의 검정과 검증 317
263. 평년빈도로 2.33년 적용하는 근거 317
264. 초과확률 및 비초과확률의 정의 및 재현기간과의 관계 318
265. 고향의 강 정비사업 318
266. 물수지분석에 대하여 절차별로 주요 내용 319
267.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소하천 관련 주요제도 321
268. 하천기본계획수립 보고서의 구성체계(chapter), 포함시켜야 할 주요사항 322
269. 하도외저류(off-line) 방식을 이용한 강변저류지 설계절차, 고려하여야 할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 503
270. 지역별 방재성능목표 설정,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서 현재 도시방재성능 수준 설정 및 미래 도시방재성능의 목표 설정방법, 도입되는 일정강우량의 장점 및 단점 326
271. 개발사업시 저류지의 위치 및 형식 결정 원칙에 대하여 설명하고, 개발에 따른 홍수증가량 감소를 위한 하도내저류(on-line) 방식의 저류지 규모 결정 절차 328
272. 댐 부속구조물인 월류웨어의 설계수두 결정 방법, 유효길이 산정 방법 및 유량계수 산정방법 329
273. 웨어 종단형상을 미국 육군공병단 수로실험소(WES) 방법으로 작도 절차 333
274. 기후변화대응 재난관리 개선 종합대책(2011.12, 재난관리개선 민관합동 T/F)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선대책 333
275. 개수로의 조도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 334
276. 하천유량관측소 설치장소와 유속계에 의한 유량측정방법 335
277. 단위도의 기본과정과 단순호우로부터 단위도 유도절차 337
278. 제체 및 지반누수의 원인 및 대책 338
288. 대체수자원 개발방안 339
289.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토석류의 종류 341
290. 우수저류시설의 계측 및 제어시스템 341
291.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시 하천재해위험지구 후보지 선정기준 342
292. 벤튜리메터와 피토관을 이용한 관내 유속측정의 원리와 차이 342
293. 하상유지시설중 낙차공의 구조와 기능, 설치시 유의사항 344
294.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제체의 각 부분과 기초지반의 평가요소 347
295. 지방하천의 건천화 원인과 대책 351
296. 댐 여수로의 계획 353
297. 하도계획시 기점홍수위와 하구의 하도계획홍수위 결정방법 356
298. 어도의 종류와 형식 선정시 고려사항과 세부설계 요소 356
299. 하천유역의 물수지 분석절차 361
300. 라비린스 웨어(Labyrinth Weir) 363
.
.
.
351. 재해복구사업의 사전심의 검토항목과 사전심의 대상사업의 범위 426
352. DAD(Rainfall Depth Area Duration)의 해석 426
353. 하천구역내 교량설치시 검토사항 427
354. 유수전환 427
356. 투수성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설치효과 428
357. 하천 지구지정 및 관리방안 428
358. 설계의 경제성검토(설계 VE제도) 429
359. 홍수시 부자에 의한 유량측정방법 430
360. 물공급안정도 기준과 적용실태 431
361. 댐 저수지의 운영과 관련된 수위와 배분용량 432
362.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 433
363. 하천의 계획홍수위 결정방법 434
364. 하천의 폐천부지 지정기준 및 관리계획 435
365. 질량, 힘, 에너지, 동력, 압력의 차원을 각각 MLT계와 FLT계로 표시 435
366. 소유역에 6차 전대수 다항식의 강우강도식을 적용 때 예상되는 문제점 436
367. 흐름의 종류를 시간, 공간, 점성력, 파속, 지배력에 따라 분류 436
368. 수리학적 상사 중 불완전상사(Incomplete similarity) 438
369. 영(零)유량수위(GZF,Gauge Height of Zero Flow)의 정의 및 결정방법 438
370. 정수지형 감세공(Stilling basin) 438
371. 하천사업에 대한 치수경제성 조사 절차 및 내용 439
372. 배수(back water)곡선과 지배단면(control section) 440
373. 하천 둔치에 나무를 심을 경우 수리계산이 필요 없는 나무심기기준 441
374. Huff 4분위법 442
375. 하천 교량 설계시 교량 경간장 결정기준 443
376.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강수관측기법의 특성과 종류를 설명하고 그 활용의 예 443
377. 계획홍수량에 따른 제방 여유고 및 예외 규정 444
378.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기법 445
379. 4대강 보에서 펄스방류의 개념 및 효과 446
380. 낙동강 하류의 녹조현상 발생 원인 447
381. 소하천정비법과 하천법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현재 소하천정비의 문제점과 대책 447
382. 최근 공포(`17.1.17)된「수자원의 조사ㆍ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반영한 수자원 장기종합 계획,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지역수자원관리계획, 특정하천유역치수계획의 주요내용 448
383. 내수배제 계획을 위한 고려사항 및 내·외수위 관계에 따른 내수처리방식 449
384. 수면경사-면적법으로 첨두유량을 구하는 과정 450
385. 바람직한 유량관측소 위치선정과 하천규모(소·중·대하천) 및 유량규모(갈수·저수, 평수, 홍수)별
유량측정방법과 부자에 의한 유량측정법 451
386. 하천정비공사 실시설계시 공사시방서에 명시할 제방 흙쌓기 재료의 공사시방 기준 453
387. 홍수방지시설에 수문경제해석법을 적용하여 최적설계재현기간을 구하는 방법 453
388.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댐 희망지 신청제의 도입배경과 주요내용 및 추진체계(시행근거, 시행 및 운영관리 주체, 재원부담)에 대하여 설명 454
389. 하천에 설치되는 어도를 구성하는 도류벽과 노치(Notch) 456
390. 비홍수량에 대하여 설명 456
391. 저수지나 하천내의 취수구에서 볼텍스(Vortex)를 발생하게 하는 요인 456
392. 안장댐(Saddle Dam)에 대하여 설명 457
393. 콘크리트 중력댐의 갤러리(Gallery) 설치목적과 종류 457
394. 토양수분량 측정방법 457
395. 선풍기를 켜면 시원한 이유를 수문학적으로 설명 458
396. 직사각형 단면의 수로에서 한계수심( 는 유량) 458
397. 세류침식 459
398. 하천 제방의 종류와 일반적인 제방구조의 단면(복단면)을 그림으로 작성하고 설명 459
399. 녹조현상의 원인과 피해 및 저감대책 461
400. 근래에 많이 추진되고 있는 물순환 수변도시의 수공학적 핵심개발개념 세 가지 461
.
.
.
451. 홍수추적방법 중 Muskingum 방법과 Muskingum-Cunge 방법 506
452. 하천기본계획 수립에서 하천환경정비 및 관리계획 중 수환경 개선계획 506
453. 친환경댐 건설을 위한 환경영향평가에서 수리수문 항목의 평가 흐름도 및 단계별 세부 내용 507
454. 재해영향평가 업무 수행에 있어서 재해유형별 재해영향 저감방안 509
455.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치수종합계획 510
456. 침수흔적 조사결과 등록 및 보고서 작성·제출 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 511
457. 하도 유지관리계획 수립 절차 512
458. 교각에 의한 배수영향과 수면상승고 계산방법 513
359. 계획홍수위 결정 시 기본방침 및 기점홍수위의 결정방법 513
360. 수문조사시설별 설치기준인 강수량 관측소, 수위·유량·유사량 관측소, 토양수분량 관측소,공통사항 514
361. 하상계수(河狀係數) 516
362. 완성제방과 잠정제방 516
363. 안정하도 517
364. 필댐(fill dam) 중 균일형 댐의 정의 및 침윤선 저하방법 517
365. 개수로 흐름에서의 한계경사(critical slope) 518
366. 바람이 식물의 증산량에 미치는 영향 519
367. 우수침투시설 시공 전 주의사항 519
368. 소하천 유지보수 목적 519
369. 주간에 실시되어야 하는 지역 외 저류시설의 일반적인 유지관리 종류 520
370.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계획 수립 시 수립권자와 정비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520
371.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유형과 등급별 지정기준 (상습가뭄재해지구는 제외) 521
372. 물관리기본법 제27조에 의거, 환경부 장관이 10년마다 수립하여야 할 국가물관리기본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522
372. 소하천 폐천부지 관리사항과 용도폐지에 관한 사항 522
373. 제방재료로 흙을 사용 시 갖추어야 할 조건 523
373. 풍수해생활권 종합정비사업의 필요성과 주요 내용 523
374. 우수침투시설의 유지관리 점검에 대한 내용을 기능점검과 안전점검으로 구분하여 설명 524
375. 댐 설계 기준에서 수행되는 기상·수문조사 중 관측소의 설치(강수량, 하천수위 및 유량) 525
.
.
.
410. 소유역 분할에 의한 홍수량 산정시의 문제점 및 해소방안 556
411. 워터프런트(Waterfront)의 정의, 개발 목적, 방식 및 형태에 따른 분류 557
412. 콘크리트 중력댐의 설계하중에 대하여 설명 558
413. 지하공간 침수방지 대책의 수립 시 기본고려사항, 침수유형, 예상침수높이의 결정, 단계별 계획수립 및 방지대책 559
414. 하천기본계획,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재해영향평가 시 홍수량 산정 방법의 차이점, 문제점 및 개선방안 560
415. 개수로에서 점변류(부등류) 기본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완경사, 급경사, 한계경사 수로에서 수심관계에 따른 수면곡선형의 분류 561
416. 하천유역조사 지침에 의한 하천유역조사의 목적, 조사 유형 및 조사주기 562
417. 여수로의 형식을 개수로형 및 관수로형으로 구분하고, 설계 시 고려할 사항 564
418. 소하천 유역의 홍수량 산정지점 선정 방법 및 유의사항, 계획홍수량 하도배분 방법 및 유의사항 565
419. 지하 대심도 빗물저류배수터널의 국내외 설치 사례 및 설계 시 유의사항 566
420. 친수지구의 정의, 지정 시 고려사항, 친수지구 및 친수활동의 안전성 평가 567
421. 도시지역 재해발생특성과 재해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 568
422. 자연재해대책법 상 상습가뭄재해지역 지정요건 및 가뭄해소 중장기대책에 포함할 사항 568
423. 재해영향평가등의 재협의 대상사업 570
424. 조도계수 결정 시 주요 고려사항 570
425. 내수재해 위험지구 예비후보지 선정기준 570
426. 재해영향평가 시 재해저감 시설인 침사지겸 저류지 계획 571
427. 토사유출량 산정방법에 대하여 설명 572
428. 치수경제조사의 기본절차 및 각 항목별 개념, 다차원 홍수피해 산정방법의 예상 피해액 산정방법 574
429. 대규격제방(고규격, Super Levee)의 개념 및 설계방향 575
430. 지하방수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576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
수질관리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소음진동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소방기술사 서적(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상하수도기술사 서적(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