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수질관리기술사 해설집을 2025년도 최근까지 5차에 걸쳐 개정과 재편집으로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염소소독시 소독력에 미치는 영향인자 및 결함염소 1
2. THM(Tri Halomethane) 3
3. 유리 및 결합잔류 염소량 3
4. 소독능 평가(CT rule) 4
5. 자연환경내에서의 발생하는 오염물질(유기,무기)변형 4
6. TBT(Tributyl Tin : 삼부틸화 주석) 7
7. Langelier saturation index 8
8. 오염토양복원기술 5가지 8
9. 수변완충녹지(Riparian Buffers)의 역할과 기능 9
10. 계면을 통한 오염물질의 이동방법 9
11. 청색증 10
12. 열오염 11
13. 식생 정화법 (식물체 이용) 11
14. 인공습지의 수질정화 원리 및 설계시 고려사항 12
15. 유수율 제고방안 14
16. Bioremidation 15
17. 소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정화공법 16
18. 습지의 기능 및 구성요소 17
19. 호수의 수질오염방지 대책을 호내․외 대책 등으로 구분하여 기술 18
20. 하천수 시료채취방법 20
21. TMS(Telemonitoring System) 21
22. 하천정화사업의 필요성 및 과업수행을 위한 절차 22
23. 퇴적물산소요구량(sediment oxygen demand, SOD)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SOD측정방법을 설명 24
24. 강변여과수의 필요성과 개념, 장점 24
25. TSI(Trophic State Index) 25
26. 우리나라의 경우에서 하천유량 변동계수를 설명하고 수질관리에 미치는 영향 25
27. 람사협약 29
28. 폐쇄성 수역의 특징 30
29. 해수담수화 31
30. 자연계의 물의 순환(hydrologic cycle)에 관하여 수문학적 순환의 요소를 제시하여 설명 33
31. 런던협약에 의한 해양오염 물질 배출규제의 의미와 국내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에 대한 의견을 제시 35
32. 오염총량 관리제도의 필요성 36
33. 환경호르몬 36
35. 대장균(Escherichia coli)과 총대장균(Total califorms) 37
36. 비점오염원(도시 및 농촌)의 발생원인 및 유출특성과 관리방안 38
37. 오염총량관리제의 필요성과 수립절차 42
38. 간이 상수도시설의 문제점 44
39. 방치된 지하수 폐공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5가지를 들고 상세히 설명 46
40. 하수의 물리화학적 처리 47
41. 정수처리에서 탁도제거의 목적과 의미 47
42. 합류식 하수도의 분류식화 49
43. 정수처리방법 선정시 고려사항과 처리방법 50
44. 하수관거 월류수 52
45. 하수처리장을 건설한 후 처리장 시운전을 위한 절차에 대해 상세히 설명 52
46. 상수고도처리 시설의 도입배경과 대표적인 공정 2가지, 고도처리를 위한 오염물질 5가지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발생원인 및 처리방법 55
47. 우리나라의 하수처리수 재이용현황과 재이용계획시 고려하여야 하는 활용처 및 수질기준등을 기술 59
48.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고도처리기술을 A/O, A2O, SBR, media 계열 등으로 공법을 분류하고 포기여부 등을 구분하여 30개 이상 기술 61
49. 중수도 설치시 고려해야 할 종합적인 관점과 사용용도별 처리공정 65
50. CSOs와 SSOs를 구분하여 설명 66
51. 우수배제 계획시 고려사항 67
52. 초기강우 처리 계획의 필요성과 처리방안 68
53. 마을 하수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시고 마을 하수도 시설의 설계 및 운영에 관한 주안점 68
54. 축산분뇨의 축종별 특성 71
55. 농업에 의한 영양물질의 순환 72
56. 축산폐수를 하수처리장과 연계하여 처리시 주요문제점 및 연계처리시 효과를 제시하고 특히 적용시에 고려할 사항을 기술 72
57. 폐수․분뇨․축산폐수․침출수 등 전처리수 관리요령 73
58. 소규모 오수처리장의 설계 74
59. 공업용 폐수의 예상슬러지 발생량 76
60. 협기성소화조 77
61. 활성슬러지의 고형물 체류시간(SRT : Solids Retention Time)과 유기물 부피 MLSS농도의 상호관계 78
62. 활성슬러지의 설계변수 79
63. 생흡착(Biosorption) 81
64. 등전점(Isoelectric Point) 82
65. One Sludge와 Two Sludge 질산화시스템 82
66. 농도분극현상(concentration polarization) 82
67. 반응기의 종류에 의한 Process의 분류 83
68. Double layer Compression(이중축 압축) 84
69. 알카리도(Alkalinity) 86
70. 빈영양호와 부영양호 86
71. KMnO4를 이용한 CODmm 측정원리 89
72. 침전지 크기계산 90
73. F/M비와 물질대사간의 관계 91
74.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물질수지 작성시 검토사항 92
75. 응집침전과 가압부상법의 특징 92
76. 슬러지의 탈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처리방법 93
77. CN(시안) 함유폐수를 알칼리염소 2단처리방법 94
78. 기계식 표면 폭기기의 종류와 특징 94
79. 전기 2중층 96
80. Sludge Volume Index(SVI) 96
81. BOD 96
82. 속도경사(Velocity gradient : G) 97
83. SAR(Sodium Adsorption Ratio) 97
84. 반응조의 종류 98
85. 수용액의 완충능력(Buffer Capacity) 100
86. 특정수질유해물질 페수배출규제의 문제점 102
87. 성층현상과 계절별 수질변화 102
88. 질산화(Nitrification) 및 탈질화(Denitrification), 질산염환원(Nitrate Reduction) 103
89. 질산염환원(Nitrate Reduction) 105
90. 활성슬러지법의 설계방법 106
91. 펜톤산화 109
92. 오존/과산화수소 산화법 110
93. AOP산화법(수처리 적용) 111
94. AOP 산화법(오존) 112
95. Biomanipulation(생물조작) 혹은 생물학적 조절(Biological Control) 114
96. Microcystin 116
97. LCC(Life cycle cost) 116
98. I/I(Infiltration/Inflow) 117
99. KLa(총괄 산소 전달 계수) 117
100. 펜톤(Fenton)처리의 반응식과 반응조건, 사용약품 119
.
.
.
151. 상수처리시 조류 및 NOM(Natural Organic Matter)의 제거방법 175
152. 세정산발효(Elutriated Acid Fermentation) 176
153. dPAO(denitrifying Phosphorus Accumulating Organisms) 176
154. 기름오염 176
155. 탈질여상(Denitrifying Filter)=혐기성 침지여상 177
156. TMDL(Total Maximum Daily Load) 179
157. NTU, JTU, FTU에 대하여 설명 180
158. 환경지속성지수(ESI) 181
159. oocyst와 spore에 대하여 비교 181
160. TIE(Toxicity Identification Evaluation) 182
161. membrane BNR(Biological Nutrients Removal) 182
162. 우수시 하수처리장 초과유입수 처리방안 183
163. 하폐수 내 질소제거 목적 184
164 유기물과 질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생물처리공정 2가지, 설계인자와 이론적 산소필요량.설계유입량과 유입농도보다 낮게 유입될 경우를 대비한 설계 및 운영방안 186
165. 모래여과지에 대한 유효경/하젠(Hazen) 공식에 의한 투수계수/다시(Darcy) 법칙에 의한 모래여과지 수두손실 산정 193
166. 침입수/유입수(Infiltration/Inflow, I/I)의 정의 및 산정방법을 설명하고, 하수관거 분류식화 사업의 성과보증방법 194
167. 가축분뇨공동처리장의 처리공정 3가지와 공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99
168. BOD5, BODU, TOC, TOD, CODCr 및 CODMn의 측정원리와 상관관계 202
169. 기기분석 중 비색법 원리에 대한 램버트(Lambert) 법칙과 투광도(T)/비어(Beer) 법칙과 투광도(T)/램버트-비어(Lambert-Beer) 법칙과 투광도(T)/흡광도(A)와 투광도(T)의 관계식/램버트-비어 법칙을 적용한 분석기기 및 미지시료의 농도 결정방법 203
170. 먹는 물 및 먹는 샘물의 수질기준중 미생물학적 기준항목을 제시하고, 수인성 병원미생물인 원생동물(protozoa), 세균(bacteria) 및 바이러스(virus) 204
171. AGP(Algal Growth Potential)를 포함한 부영양화 판정기준과 조류예보제의 발령기준을 제시하고, 호소내 부영양화 제어방안 207
172. 부영양화 호소의 정화방안 208
173. 하천구역 안에서 지정되는 보전지구, 복원지구, 친수지구 210
174. 연안해역에 화력발전소 운영 시 발생되는 온배수(溫排水)의 정의, 온배수 확산이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저감대책 211
175. 유기성 폐기물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자립/자원순환/친환경 농어촌마을의 조성방안 212
176. 물순환이용체계구축의 목적과 필요성, 도시화가 물순환계에 미치는 악영향과 회복방안 214
177. 수처리에 있어서 단위조작(unit operation)과 단위공정(unit process) 215
178. BOD측정의 한계와 1단계 BOD, 2단계 BOD의 원인물질 216
179. 호소에 서식하는 정수식물, 부유식물 및 침수식물의 종류 216
180. 배출수 기준과 관련된 BPT, BAT, BCT 217
181. 용존산소곡선(Oxygen Sag Curve) 218
182. 생물농축의 정의와 오염물질의 종류 220
183. 하수관거의 지체현상(Retardation) 220
184. 수질환경기준(하천, 호소) 폐수 배출허용기준 및 방류수 수질기준의 정의와 차이점 220
185. 수처리시 Zeta potential과 응집과의 관계 222
186. 환경영향평가와 전략환경평가의 개념적 차이점 224
187. 슬러지의 토지주입시 발생가능한 위해성 224
188. 혐기성 소화조 가동초기의 운전방법과 운전 후의 소화조 대책 225
189. 수질보전을 위한 생물모니터링의 중요성과 생물모니터링에 사용되는 생물종 226
190. pH의 정의와 수질공학적 중요성 227
191. BTEX의 정의 및 BTEX로 오염된 토양․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기술 228
192. 생물정량실험(Bioassay Test) 229
193. 수중에 존재하는 암모니아성 질소에 대한 일정온도 하에서 pH에 따른 암모니아와 암모늄 이온의 비율변화/생태독성 230
194. 농어촌지역 마을상수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30
195. 자연형 하천정화사업의 정의, 사업목적과 내용, 대상사업 선정기준 232
196. 농약 성분중에 유기인을 측정방법의 GC 분석방법 234
197. 기존의 개별오염물질 농도 분석을 통한 이화학적 평가방법과 생물학적 평가방법의 장․단점 235
198. 한강수계와 3대강 수계에 각각 도입된 수질총량제의 차이점과 발전방향 238
199. 생물학적 인(P)제거의 기본원리, 영향인자 및 국내 처리공법 239
200. 병해충 종합관리(IPM) 240
.
.
.
251. 폐하수처리의 새로운 기술 297
252.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유발하는 BTEX와 MTBE 설명과 지하수 오염의 특성 299
253. Phytoremediation의 대표적 정화기작 3가지 300
254. 관개용수의 나트륨 흡착비(SAR) 301
255. 물리, 화학적 질소제거 방법 301
256. 결함잔류염소의 정의와 관련 반응식 302
257. 강우기록으로부터 결정되는 강우강도 공식의 유도과정 302
258. 생태면적률을 공간유형별로 설명 303
259. 비점오염원시설을 유형별로 설명 305
260. Autotrophic과 Heterotrophic을 비교 설명 306
261. 조류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한 문제점 10가지 306
262. Electron donor의 종류 307
263.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지표 미생물로 Escherichia coli를 적용함에 있어 발생되는 문제점 308
264. 상수원 수변지역 수변생태벨트(Riverine Ecobelt)조성 309
265. 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발광분광법으로 하천환경수질 기준항목인 안티몬을 분석시 측정기기의 구성, 간섭현상, 시료의 전처리 및 측정법 310
266. 최근 메탄화에 의한 혐기성 처리가 저농도의 하・폐수 처리에도 검토되는 바, 혐기성 처리가 호기성 처리에 비해 갖는 장・단점 313
267. 하수 고도처리의 개념, 목적 대상물질별 처리방법 315
268. 지하수 오염 방지대책 및 정화기술 317
269. 특정 생물체에 미치는 화합물의 치사효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독성 시험법 319
270. 부식속도에 영향을 끼치는 수중의 주요 화학인자들에 대해 설명하고, 화학인자를 조정하는 것 외에 부식속도를 지연시키는 방법 5가지 321
271. 생물학적 처리공정의 운전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원인 및 현상 322
272. 용해물질의 분자확산(Molecular Diffusion Of Dissolved Substances) 324
273. 전기중성도(Electroneutrality) 324
274. MFI(Modified Fouling Index) 324
275. 이중경막이론(Two-film Theory) 326
276. 수온약층(Thermocline) 326
277. 물빈곤지수(Water Poverty Index) 326
278. 불활성화비 327
277. 무광층(Aphotic Zone) 327
278. 유효토층(Effective Soil Layer) 327
279. 지오스민(Geosmin) 328
280. 녹색기반시설(Green Infrastructure) 328
281. 자연방사성물질 328
282. 기온과 수온사이의 이력현상 330
283. 조류의 광합성 증가에 따른 pH변화 기작 330
284. 산화환원전위(Oxidation Reduction Potential) 330
285. 생태계를 유지하는 2가지 주요 동적흐름 331
286. 하상계수(유량변동계수) 331
287. Universal Soil Loss Equation(USLE)을 제시하고 영향인자 332
288. 호수에서의 성층현상(Stratification)과 역전현상(Turn over) 332
289. 생물학적 수질판정의 종류와 내용 333
290. 국내 산업페수관리에 대한 제도적 수단 334
291. Ecological Integrity에 대하여 337
292. 해양 유류사고시 영향 및 대책 337
293. 미생물 2차 증식(After Growth) 338
294. 탈수능 측정(CST : Capillary Suction Time)목적, 방법 338
295. 식생 정화대(Biotope) 339
296. 우수유출량 저감방법 중 우수침투형 340
297. 하수관거에서의 역사이펀(Inverted Siphon) 340
298. 등온흡착식(Freundlich 및 Langmuir) 및 상수 산정방법 341
299. 저수지 유효저수량 산정방법 342
300. 급속여과에서 유효경, 균둥계수, 최소경, 최대경, 기준 및 규제이유 343
.
.
.
351. 2차침전지 고형물 부하 계산식 및 인자값의 의미 389
352. 역삼투막 FI(Fouling Index) 산정식 및 파울링 예방방안 390
353. 하수처리 유량조정 펌프의 유량제어 방안 390
354. 생태계(Ecosystem)의 주요 흐름 및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s) 391
355. 콜로이드(Colloids)의 분류, 특성 및 제타전위(Zeta potential) 392
356. AC공정과 GAC공정을 비교하고, BAC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한 조건 393
357. 스마트소화조 394
358. 정석탈인법 394
359. Monod식 395
360. 전기전도도 395
361.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396
362.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 396
363. 환경생태유량의 정의와 환경생태유량 확보 방안 397
364. 싱크홀(Sinkhole)의 종류, 발생원인, 방지대책 397
365. 물순환 선도도시에 대하여 설명 399
366. 환경책임보험에 대하여 설명 400
367. 인천 적수 원인과 대책 401
368. 조류경보제 401
369. 해양오염물질 종류 402
370. 초기우수 유출수 402
371. Soil Flushing 402
372. 물환경보전법 제2조의 물환경/폐수/특정수질유해물질/호소/수생태계 건강성의 정의 403
373. 생물막법 404
374. 비회전도( )와 Pump의 특성 406
375. 수질관리에 있어서 수저퇴적물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408
376. 소독공정에서 소독 적정성판단(불활성비 산정), CT값 증가방법, 필요소독능(CT요구값) 및 실제소독능(CT계산값) 408
377. 하수처리장 이차침전지의 형상 및 구조/정류설비/유출설비/슬러지 제거설비/슬러지 배출설비 410
378. 해양오염에 있어서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영향 411
379. 국립환경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 실정에 맞는 부영양화지수 412
380. 폭기조 반응형태 중 Plug Flow, Complete Mix, Step Aeration 공정 413
381. 상수원보호구역에 있어서 허가 및 제한되는 행위 415
382. 물관련 법에서 제시된 마시는 물의 종류, 각 물에 대한 미생물 수질기준 415
383. 도시 하수처리의 도시 하수처리 계통도(생물학적 공정시스템 포함) 등등 416
384. 수처리 공법 중 부상분리법의 개요/중력침강분리법에 대한 부상분리법의 장·단점/부상분리법의 종류/부상지의 설계 시 고려사항 417
385.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의 개념과 산정방식 419
386. 스마트 워터 그리드(Smart Water Grid) 419
387. 하천 자정작용의 4단계 420
388. 환경기준, 배출허용기준, 환경영향평가 협의기준 420
389. 물이용 부담금 421
390. 상수원보호구역 지정기준 422
391. 분류식 하수관거 월류수(sanitary sewer overflows, SSOs) 422
392. log 제거율과 % 제거율의 관계 422
393. 지하수 환경기준 6가지 분류와 지하수의 수질기준(음용수 이외의 이용시) 2가지 분류 423
394. 블록형 오탁방지막(개요도, 장·단점) 424
395. 도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의 유형 424
395. 해양수질기준에서 수질평가지수(WQI, Water Quality Index) 425
396. 물벼룩 생태독성 시험에서 치사, 유영저해, 반수영향 농도, 생태독성 값의 정의 425
397. 콜로이드의 전기 이중층 426
398. 상수도 수원용 저수시설 유효저수량 산정 방법 427
399. 활성슬러지의 회분배양시 미생물 성장곡선과 F/M비, 물질대사율, 침전성의 관계 428
400.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하천과 호소의 생활환경기준 항목과 그 차이점을 설명하고 등급별 수질 및 수생태계 상태 430
.
.
.
450.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468
451.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에 적용되는 ERD(Energy Recovery Device) 468
452. 수격작용(Water Hammer)의 문제점 및 방지방안 469
453. 지류총량제 470
454.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470
455. 혐기성 소화시 저해물질 470
456. 가축분뇨 전자인계관리시스템 471
457.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물순환관리지표 471
458. 지하수 오염물질의 지체현상(Retardation) 472
459. 물환경보전법 제41조에 따른 배출부과금 472
460. 녹색·청색·회색 물발자국(Water Footprint) 473
461. 공유하천 관리방안 473
462. 정수처리에서 오존처리 시 수반되는 주요 문제점 및 저감대책 474
463. 독립영양미생물(Autotrophs)과 종속영양미생물(Heterotrophs)을 비교 474
464. 하천에서 어류폐사의 원인 및 폐사방지 대책 475
465. 수질원격감시체계(TMS)의 목적, 부착대상, 부착시기, 배출부과금 및 관제센터 업무체계 475
466. 해상풍력발전사업 공사에 따른 수질모델링 중 부유사 확산모의 476
467. 하수 또는 폐수 처리시설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소독제의 종류 및 특성 476
468. 상수원수로 이용하는 지하수의 특징 477
469. 해양산성화에 따른 해수 중 탄산이온의 농도 변화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478
470. Carlson 부영양화 지수(TSI, Trophic State Index)와 한국형 부영양화 지수(TSIKO, Trophic State Index of Korea) 479
471. 투수성 반응벽체(PRB, Permeable Reactive Barrier) 479
472. 환경영향갈등조정협의회의 목적, 기능, 대상사업, 구성 및 운영 480
473. 로테르담 협약(유해화학물질의 교역 시 사전통보승인(PIC)에 관한 협약) 480
474. 불량오수 관거로부터 통수능 향상 방안 481
475. 환경생태유량산정 방법에서 대상, 대표지점 선정기준, 대표어종 선정, 유량산정기준 481
476. 우리나라 물환경측정망 중 수질자동측정망, 총량측정망, 퇴적물측정망, 비점측정망에 대한 목적, 측정주기, 측정항목 483
477. 이상 기후가 하천·호소·해역의 수질 및 수생태 환경에 미치는 영향 484
478. 해양오염물질의 종류, 오염물질저장시설 운영을 위한 필요한 인력과 장비(시설)등의 설치 시 고려사항 484
479. 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 따른 하천수계에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기준유량과 허용 배출부하량 할당 절차 485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기술사(2025, 동영상강의, 성안당출판) (0) | 2024.08.09 |
---|---|
식품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9 |
수자원개발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소음진동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소방기술사 서적(2025, 필기/면접대비) (0) | 2024.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