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상하수도기술사 서적(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8.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상하수도기술사 서적을 2025년도 최근까지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파과(break through) 1

2. 물이용 부담금 2

3.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 2

4. Jar test(응집교반시험) 3

5. 생물정량실험(Bioassay Test) 3

6. 분산수(Dispersion Number)와 Morrill 지수 4

7. 합리식의 강우강도 공식 4

8. 지하수의 양수시험 5

9. 공동현상(Cavitation) 5

10. 침전의 분류와 특징 7

11. 배수시설의 계획 8

12. 도로의 배수시설 9

13. 경제적인 수로 단면 10

14. 설계 강우강도(I=Intensity) 12

15. 유출계수 13

16. 하천수질을 나타내는 지표에 있어서 생활환경기준 지표인 pH, BOD, SS, DO, 대장균수가 갖는 수질적인 의미 13

17. 하수슬러지 최종처분 방법에 대한 기술적합리성, 경제성 및 환경보전효과 14

18. 우수조정지 구조형식의 종류와 특징 및 방류방식 15

19. 상수도의 고도정수처리 공법중 냄새 물질인 곰팡이 냄새 농도가 아주 높은 경우의 처리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 처리효율 17

20. 활성슬러지법에서 활성슬러지에 흡착된 유기물 산화 및 동화에 대하여 설명 18

21. 수충격작용(Water Hammer)에 의한 수주분리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19

22. 생물활성탄(BAC)의 원리 및 장ㆍ단점 19

23. 하수처리장 설계시 수처리시설의 계획 하수량 및 평균 유속에 대하여 설명 20

24. 하수처리장 감시제어방식의 종류 및 선정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기술 21

25. 응집이론 21

26. 속도경사(G) 23

27. 응집제 소요량 영향인자 24

28. 응집제 주입에 따른 pH의 변화 25

29. 저수온 및 고탁도시 정수처리 효율 상승 방안 26

30. 고속응집침전지 27

31. 약품침전지 유출 웨어 설계시 고려사항 30

32. 약품침전지의 정류벽 31

33. 침전지의 침전효율 31

34. 수처리제에 사용되는 활성규산의 기능 33

35. 여과 방법별 특성 34

36. 유량조절방식 35

37. 하부집수장치 36

38. 유효경 및 균등계수 38

39. 여과지 수두 38

40. Mud ball 40

41. Air binding 40

42. NOD(Nitrogenous Oxygen Demand) 41

43. TOC(Total Organic Carbon) 41

44. 알카리도(Alkalinity) 42

45. 경도(Hardness) 43

46. 색도 44

47. 탁도(Turbidity) 45

48. NTU 45

49. Langelier Index 45

50. 합성세제 46

51. Red Tide(적조) 48

52. THM의 제거 49

53. 정수처리시의 조류 제거 51

54. 음료수 악취 원인과 대책 52

55. 병원성미생물(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 램블리아) 53

56. 슬러지 탈수기(가압탈수기, 벨트프레스탈수기, 원심탈수기)의 형식별 특성 54

57. MPN, 대장균군 55

58. 용존산소곡선(Oxygen Sag Curve) 56

59. 수질기준 58

60. 성층현상(Stratification) 59

61. 부영양화(Eutrophication) 61

62. 부영양화 호소의 정화방안 63

63. 자정작용(Self Purification) 65

64. 오염된 하천의 정화방안 65

65. 하ㆍ폐수 내의 질소ㆍ인 처리를 위한 암모니아스트리핑법 68

66. 상수도 수질관리 개선 방향 69

67. 갈수에 대비한 절수시스템 70

68. 강변여과 71

69. pH관련 문제 74

70. 슬러지의 특성 74

71. 중력식 농축조 크기의 결정 76

72. 슬러지의 농축 방식 79

73. 혐기성 소화조 가동초기의 운전방법과 운전 후의 소화조 대책 81

74. 혐기성 소화 공법 83

75. ATAD(Auto Thermal Aerobic Digestion) 84

76. 슬러지의 탈수 84

77. 탈수시험법 87

78. BNR 슬러지의 처리 90

79. Fermenter 92

80. 반류수 처리 93

81. 분뇨와 정화조 폐액 94

82. Composting 95

83. Block System 96

84. 배수관망 해석 98

85. 관수로내 경험공식 101

86. 기초수리학 및 관해석 102

87. 송배수 Control System 104

88. 직접급수에 따른 전제조건을 제시하고 장단점 106

89. 펌프특성곡선 108

90. 펌프의 운전 109

91. 비회전속도(Specific speed) 112

92. 유효흡입수두(NPSH) 113

93. 수격작용 115

94. 송․배수관의 경제적인 관경결정 방법 116

95. 하천횡단 역사이폰 118

96. 활성슬러지법의 설계요소 119

97. Plug Flow Type과 Complete Mixing Type 120

98. 산소전달기구 122

99. 활성슬러지 공기량 산정 방법 123

100. 활성슬러지 변법 125

.

.

.

151. 우,오수 관거계획의 고려사항을 설명 199

152. 해양 심층수를 이용한 담수화계획 수립시 심층수의 자원적인 특성과 담수화방법 199

153. 완속여과의 원리 202

154. 급속여과의 원리 202

155. 하수처리수 재이용의 필요성과 재이용 방식 및 처리공정 202

156. 강변여과수의 수질 특성 및 강변여과 적용시 고려사항과 적용 타당성 204

157. 막분리(Membrane Separation)의 장점 및 공경(pore size)에 따른 막의 분류 205

158. 유리유효염소(Free Available Chlorine)와 결합염소(클로라민 ; Chloramine)의 특성 211

159. 기존하수처리장 고도처리시설 설치시 검토하여야 할 사항과 고도처리추진 절차 426

160. BOD계산 (식종 희석수) 213

161. MgNHPO (Struvite) 214

162. 침투식 하수도 215

163. 겨울철 수질오염관리 215

164. 속도경사(Velocity Gradient) 216

165. MDG(Millenium Development Goal) 216

166. 한계유속(Critical Velocity) 217

167. Manning 및 Kutter공식 217

168. 정류벽 218

169. CSOs와 SSOs를 구분하여 설명 218

170. Hardy Cross법 218

171. 파울링(Fouling)현상 219

172. 수리학적 체류시간(Hydraulic Retention Time, HRT)과 고형물(미생물 또는 슬러지) 체류 시간SRT(Solids Retention Time) 220

173. SUVA 220

174. 상수도 저수용 Fill Dam의 형식별 특징과 안정조건 221

175. 여러 종류의 물과 수질의 개략적인 범위와 음용수로서 경제성 222

176. 우리나라 하수처리장 방류수 수질기준 224

177. 상수도 계획급수량 산정절차 및 주요내용 225

178. 도시의 물관리 인프라 안전성에 대한 위협요소와 증대방안 227

179. 상수도의 급수방식 중 직결급수방식의 장단점 및 도입시 전제조건 230

180. 우수량과 하수량 산정방법(Q, m3/일) 468

181. 배수설비시 고려사항 231

182. 하수 이송시스템의 종류 및 선정기준 232

183. 정수장내 침전지 성능진단방법 233

184. 만약 대운하사업이 확정될 경우 예상되는 상수도 취수원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234

185. 하수관 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35

186. 상수도 관망 정비시 고려사항 239

187. 하수처리장 시설배치시 고려사항 240

188. 인공습지 241

189. 수질오염 총량 관리제의 시행체제와 시행시 문제점 및 활성화방안 242

190. 정수장 침전지 정류설비 244

191. 부상농축조 245

192. 슬러지 개량 (sludge conditioning) 246

193. 하수도 압송관거 클리닝시스템 (Pigging system) 246

194. 현행 하천수질 환경기준 중 생활환경기준 247

195. 저수지 수질보전방법 247

196. 클로라민소독법 248

197. 도시의 물자급율 249

198. Ecological sanitation 250

199. 분산형 빗물관리 251

200. 이차 슬러지 침전특성인자 SSVI 251

.

.

.

251. 생물여과공정 (Biological Aerated Filter, BAF) 303

252. BOD와 COD의 관계 304

253. 정삼투압 305

254. WPI(Water Poverty Index) 305

255. Membrane의 FI값(Fouling Index) 306

256. 보통 및 약품침전지와 완속 및 급속여과지 유입수의 탁도한계 307

257. 가동 중인 2차처리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에서 인 제거를 위하여 화학적 침전을 고려하고 있다. 화학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기술하고, 화학제 투입지점 및 화학제의 주요특징을 설명 309

258. OO시의 하수도 시설건설을 민간투자사업시 사업계획서에 수록되어야 할 내용과 추진절차 309

259. 기존 여과지의 효율향상 방안으로 다층여과지의 도입시 고려사항과 특징을 보통여과지와 비교 312

260. 하천표류수 취수지점을 선정하고자 할 경우에 고려사항 313

261. 하수처리장의 악취의 제어와 처리시설의 설계시 일반적인 고려사항과 습식 화학 세정기의 주요 특징 314

262. 기존 하수처리장의 소화조를 개선하여 소화가스 발생량을 높이고자 할 때 고려사항 314

263. 상하수도시설에 적용되는 펌프의 종류 및 특성 316

264. 산업단지 폐수처리장의 처리수를 재이용시 고려내용 317

265. 하수슬러지의 호기성 퇴비화 317

266. 오존을 이용한 고도정수처리 321

267. 정수장에서 발생되는 배출수와 슬러지 처리시설의 구성과 기능 및 슬러지의 특성 322

268. 전략환경영향평가 325

269. 상수도관망 해석방법 326

270. 직결급구 328

271. 여과사의 구매시방서 작성요령 329

272. 하수도 맨홀부속물 330

273. 하수도 펌프흡수정 330

274. 하수도 연결관 331

275. 신축이음관 331

276. 고형물 체류시간(Solids Retention Time) 332

277. 상수도 시설계획시 필요한 장래인구추정방법 332

278. 폐수처리시설의 처리공법 선정시 고려사항 334

279. 정수장의 실시설계의 도면구성(일산, 파주 정수시설의 예) 334

280. 슬러지 저류조 및 펌프실의 설계시 고려사항 336

281. 급속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 337

282. 고도처리 인제거 영향인자 338

283. 막분리 여과시스템 설계시 고려사항 339

284. 정수시설의 맛, 냄새물질 제거방법 340

285. 계획오수량 산정방법 341

286. 유역별 통합운영관리 방안 341

287. 정수처리시설을 증설, 개량 또는 갱신시 고려사항 343

288. 방선균(actinomycetes) 345

289. 수도미터 검침시스템에서의 RF(radio frequency)방식 346

290. 침식성 유리탄산 제거 346

291. 계획하수 슬러지량 347

292. 하수관거의 지체현상과 유달시간 347

293. 산화지법 348

294. 하수관거의 역사이펀 348

295. 녹조/적조현상 349

296. 하천에서의 총량규제 349

297. 우수발생시의 유달시간 350

298. NOM(Natural Organic Matter) 351

299. Off-gas 분석장치 351

300. 수원으로부터 각 수요자까지 물을 공급하는 상수도 공급의 전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각 과정을 설명 351

.

.

.

358. Breakpoint Chlorination 390

359. 조류경보제와 수질예보제의 대상 390

360. ASBR(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391

361. 수관교 392

362. 하수관로 관경별 맨홀의 최대간격 393

363. 해수 침입(Seawater Intrusion) 393

364. SDI(Sludge Density Index) 393

365. Pin Floc 393

366. 횡류식 약품침전지의 기능과 설계기준 394

367. 정수처리에서 전염소·중간염소 처리의 목적과 유의사항 395

368. 하수 배수계통의 하수관거 배치방식을 개략도를 그려서 설명 396

369. Step Aeration (단계식 포기법) 398

370. TN과 TKN을 정의하고 수질관리 및 처리공정에서의 의미 398

371. 조류예보제 399

372. 수도용 막의 종류 및 특징 400

373. 용존공기부상법(DAF)의 원리, 장·단점 및 공정구성 401

374. 공상접촉시간(EBCT) 402

375. 방사능 오염수의 제거방법 403

376. 불명수의 종류 및 불명수 유입에 의한 영향, 불명수 유입저감방안 403

377. 정수시설에서 맛·냄새 물질의 제거방법 404

378. 상수도시설 내진설계 기준 405

379. TS, VS, FS 406

380. 병원균의 종류 및 대책 407

381. 집수매거(Infiltration galleries, 集水埋渠) 407

382. 입상활성탄의 파과 408

383. 거품과 스컴 408

384. 질산화(Nitrification) 및 탈질화(Denitrification) 410

385. 도·송수관의 관경결정방법 412

386. 원심력식 농축에 대하여 설명하고, 중력식 농축과 비교하여 특징과 장단점 412

387. 하수처리시설 소독설비 중 자외선법, 오존법, 염소계 약품법에 대하여 원리, 장치구성, 장단점 413

388. 혐기성 소화의 이상(異常)현상 발생원인 및 대책 414

389. 복류수 415

390. 파괴점 염소처리법(Breakpoint Chlorination) 415

391. 슬러지의 에너지 이용 형태 416

392. 전침전(Pre-precipitation), 공침(Co-precipitation), 후침전(Post-Precipitation) 417

393. 미생물선택조 418

394. 감압밸브 설치 지점 418

395. 자연배수시스템(natural drainage systems, NDS) 418

396. 유입시간 산정식(Kerby식) 418

397. 상수처리의 망간제거방법 중 약품산화처리 419

398. 합류식 하수도의 우천 시 방류부하량 저감대책 419

399. 소화가스의 포집, 탈황, 저장 420

400. 오수이송방식을 제시하고 방식별 장단점을 비교 설명 421

.

.

.

465.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중력농축설비에 이상발생 시 원인과 대책 467

466. 상수도 배·급수시설 중 배수지(配水池) 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 방안 468

467. 하수관로시설 설계 시 자연유하방식 및 압송방식의 유량산출식 469

468. 수돗물 유충 발생에 대한 예방 및 정수장 대응방안 470

469. 고도정수처리시설의 정의, 종류, 검토대상, 공정선정 절차 및 주요 고려사항 472

470. A2/O공법 473

471. 정수처리에서 배출수와 배슬러지의 처리방법 및 계획·설계 시 고려사항 474

472. 자산관리 수행 절차(7단계) 474

473. 정수처리시설의 계획정수량 및 시설용량 474

474. 활성슬러지 처리 공정 중 발생 가능한 플럭(Floc) 형태 475

475.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476

476. 하수처리방법 선택 시 고려사항 476

477. 좁은 골목길에 하수관로를 부설하는 경우 고려하여야 할 굴착장비 및 최소관경 477

478. 상수관로 시설유지를 위한 관세척 공법과 세척수 처리방안 477

479. 도·송수관로의 관경결정 및 관로부속시설 478

480. 정수시설에서 오존(O3)처리설비에 대하여 설명 479

481. 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반류수의 특성 및 처리 방안 479

482. 지표수 중 하천수를 수원으로 하는 경우, 취수시설의 종류와 특징 480

483. 하수처리시설에서 찌꺼기 탈수의 필요성, 탈수방법 및 탈수시험법 480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