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도시계획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8.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도시계획기술사 서적을 전면 개정작업과 재편집으로 개정하여 최근 2024년까지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Social Overhead Capital 1

2. 할인율(discount rate) 1

3. 도시거버넌스(Governance) 1

4. 기반시설부담금 3

5. 도시경쟁력(개념 및 결정요인) 4

6. W.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 중 시장원리 5

7. 가치공학(Value Engineering) 7

8. New Urbanism 8

9. 제3섹타(The Third Sector) 9

10. 개발행위허가의 대상행위, 규모기준 10

11. 지역특화발전특구 14

12. 공간구조이론상 기능지역 14

13. 개발이익 환수제도의 개념, 문제점 및 개선방안 15

14.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의 배경, 목표 및 주요 핵심내용 20

15. 현재 추진중인 혁신도시의 개념, 건설배경, 기대효과 및 향후과제 31

16. 광역도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지구단위계획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성격, 계획수립원칙과 내용을 기준으로 비교설명 34

17. 토지이용계획의 대안평가기법 종류를 나열하고 이중 비용편익과 비용효과 분석 36

18. 개발행위허가제의 제도상, 운영상 문제점과 이에 대한 보완과제를 단기적, 장기적 관점 37

19. 「도시재정비촉진을위한특별법」의 제정목적, 지구지정대상기준, 지구유형, 사업종류, 계획내용 및 결정절차 38

20. 우리나라 주요도시정비사업중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의 정비사업과 도시개발법의 도시개발사업에 대해 지정목적, 사업방식, 시행자, 구역지정요건, 기성시가지 적용시 장단점 비교 39

21.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상 용도지구의 구분과 각각의 세분류, 지정목적 41

22.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에서의 상주인구 추정방법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고려사항 및 문제점 43

23. 제1종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적용되는 용적률 인센티브 제도 44

24. 우리나라 신도시개발을 시기별로 구분하고 각각의 특징 47

25. 토지이용규제를 통한 부동산 가격 안정방안과 이로 인한 문제점 50

26. 도시계획 측면에서 고속철도(KTX)개통으로 인한 효과, 예상문제점 및 역세권 개발방향 52

27. TDR(Transfer of Development Rights)의 개념과 특징, 제도의 문제점 및 과제 55

28. 유비쿼터스도시(Ubiquitous City)의 개념, 특징 및 도시계획의 새로운 과제 57

29. 성장거점이론 61

30. 보전재개발 62

31. 어메니티 플랜(Amenity plan) 63

32. 도시성장관리제도(Urban Growth) 64

33. 유비쿼터스(Ubiquitous) 65

34. 4단계 추정법(교통) 66

35. 광역계획권 66

36. 토지적성평가 68

37. 조세담보 금융제도(Tax Increment Financing) 69

38. 지속 가능한 도시개념 69

39. 행정중심 복합도시 71

40. 기반시설 부담구역 71

41. 총괄계획가(Master Planner) 72

42. 도시계획 및 택지개발시 주거, 상업, 공업용지의 일반적 적지조건 배치기준,

구성형태를 기술. 72

43. 근린주구 이론을 사회적 차원과 계획공간적 차원에서 비판 76

44. 페더(Gottfried Feder)의 일상생활권 77

45. 크리스탈러( Walter Christaller)의 중심지 이론 77

46. 우리나라 기성시가지의 현실태를 진단하고 미래지향적 도시계획방향 78

47. 도시주거환경정비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 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에서

제시한 방안 그리고 특별법의 불합리점 86

48. 입지론(최소비용법, 최대수입법, 이윤최대법)을 설명하고 문제점 87

49. 친환경 생태도시를 개발코저할 때 적용되어야할 주요계획기준 90

50. 도시계획시설 사업 추진시 민간투자사업의 투자방식을 나열하고 그 내용 94

.

.

.

100. 기반시설 연동제를 설명하고 문제점과 개선방향 188

101.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매수청구제도 188

102. 주요 도시기반 시설계획의 시대별 변천 배경 및 주요내용 189

103. 한계농지 192

104. 도시개발채권 192

105. 산업개발진흥지구 192

106. 순환재개발 193

107. 기반시설로서의 공공시설 194

108. 개발밀도 관리구역 195

109. 녹색교통 195

110. 기본욕구이론(Basic Needs Approach) 197

111. 재정비촉진지구 197

112. 도시계획의 법적 정의 199

113. 도시성장관리(Urban Growth Management) 199

114. 그린 매트릭스(Green Matrix) 200

115. 토지신탁개발의 개념과 토지신탁의 종류 200

116. 신도시 204

117. 지속가능한 개발 204

118. 자족시설용지 204

119. 교통정온화 기법 204

120. 도시환경림 204

121. 공원녹지 204

122. 환경계획 204

123. 경관계획기준 204

124. 압축형 개발 205

125. 생태면적률 205

126. 수변공간(Waterfront)의 개념 및 기능과 도시계획적 의미 205

127. 고령사회에 대비한 정책과 도시계획방향 206

128. 현행도시계획에서 주민참여의 필요성과 주민참여제도를 설명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 212

129. 도시 공간 구조의 패턴 219

130.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상 총괄계획가, 총괄사업관리자, 사업시행자의 업무 및 역할 220

131. 최근의 국민임대주택건설정책을 주택수급, 입지, 개발밀도 측면 221

132.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의 필요성,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방안 228

133. 산업중심 신도시를 개발하는 경우에 고려해야 할 주요사항, 개발방식 및 귀하가 채택한 개발방식의 시행절차 238

134. 슬럼(slum)의 3가지 의미 242

135. 교통진정지구(Traffic Calming Zone) 242

136. 결합개발방식 243

137. 가도시화(pseudo urbanization) 244

138. 특별지방자치단체 244

139. PPG(Policy Planning Guideline) 245

140. 성과주의 지역지구제(Performance Standard Zoning) 245

141. 특별계획구역 246

142.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246

143. 계획예산제도(PPBS) 247

144. 재정비촉진지구내 존치지역 248

145. 기반시설 연동제의 종류, 지정기준 및 관리방법 248

146. 도시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특징 257

147. 제3차 수도권정비계획상 정비발전지구의 개념과 지정방안 258

148.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상 새로이 도입된 지원 및 규제제도 259

149. 초고층 건축의 도시계획적 의미와 대응방안 261

150. 도시개발사업의 개발계획 주요내용과 계획기준 262

.

.

.

200. 휴먼신도시 338

201. 녹색 GDP(Green Gross Domestic Product) 338

202. 레버리지효과(Leverage Effect) 338

203. PEST(Political, Economic, Social, Technological)분석 339

204. 주례고공기(周禮考工記) 339

205. 뉴어바니즘의 설계원칙과 특징 339

206. 후기 포디즘사회도시(Post-Fordist City)의 특성을 도시경제와

도시공간구조의 관점 341

207. F. S. Chapin이 제시한 도시토지이용 결정요인의 개요, 문제점, 개선방안 343

208. 비도시지역의 체계적 관리방안 343

209. 지방행정구역의 적정규모론과 광역행정론 343

210. 보금자리주택의 의미와 보금자리주택의 개발에 따라 예상되는 문제점 346

211.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의 의의와 향후 야기되는 과제 347

212. 도시재정비촉진계획을 수립할 때 법적으로 꼭 다루어야 할 내용 350

213. 거점확산형 주거환경 개선산업 351

214. 노후산업단지 352

215. 공모형 PF(Project Financing)사업 353

216. 복합커뮤니티시설 354

217. 토지이용계획의 실현수단(4가지) 354

218. 녹색도시개발 수립기준 355

219. 도시계획시설로서의 ‘학교’ 결정기준 356

220. 보행네트워크의 구성요소 356

221. 개발권 선매제도 358

222. 「신발전지역 육성을 위한 투자촉진 특별법」상의 ’신발전지역‘ 358

223. 지역개발에 있어서의 불균형 성장이론 358

224. 라우리 대도시 모형(Lowry Model of Metropolis) 360

225. 토지이용계획의 목표와 단계별 수립과정과 바람직한 계획방향 361

226. ‘도시성장 관리정책’의 개념 및 기본방향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장치 362

227. ‘장소 마케팅(Place Marketing)'의 개념 및 필요성과 기법 363

228. 지구단위 계획의 역할과 한계 및 향후 과제 364

229. 도시계획시설의 시설유형별 현황과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발생원인 및 해소방안 367

230. 탈산업사회의 특징과 탈산업사회에 있어서의 국토.도시정책의 방향 368

231. 특별가로구역 369

232. 구통합관리(Area Management) 369

233. 마스다르 시티(Masdar City) 370

234. 맥락조닝(Contextual Zoning) 370

235. 용도구역(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371

236. 기업형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 371

237. 용도 역별 도로율(도시 ;군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371

238. 성능지역규제(Performance Zoning) 372

239. 협력적 계획모형 372

240. 연령집단생존모형 372

241. 밀레투스(Miletus) 373

242. 도시공원에서 개발행위 특례 373

243. 주택도시기금 373

244. 개발부담금 374

245. 마을정비형 공동주택사업 374

246.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374

247. 시설보호지구 374

248. 엣지시티(Edge City) 375

249. 건축자산진흥구역 375

250. 광역시설 375

251.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376

252. 포용적 성장(Inc usive Growth) 377

253. 도시 회복력(Urban Resilience) 377

254. 시장정비사업 378

255. 복합환승센터의 유형 378

256.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378

257. 공공임대리츠 379

258. 공공주택 379

259. 저류시설과 완충시설 380

260. 스마트 그린시티(Smart Green City) 380

261. 포락지와 간석지 381

262. 기반시설과 사회기반시설 381

263. 인구 벽(Demographic Cliff) 381

264. 공개공지와 공공공지의 차이점 381

265. 역사문화미관지구 382

266. 공용시설, 공공시설, 도시계획시설의 개념 382

267. 차일드(V.G.Childe)의 도시혁명(Urban Revolution) 383

268. 자연유보지역 383

269. BTO-a(Build Transfer Operate-adjusted)와 BTO-rs(BTO-risk sharing)의 비교 384

270. 파리협정(신기후 체제,Paris Agreement) 384

271. 오스만(G.E.Haussmann)의 파리개조계획 385

272.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385

273. 조명환경관리구역(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방지법) 386

274. Green City Index 386

275. 베드제드(Bed ZED) 387

276. 규제총점관리제 387

277. 산업공생(Industrial Symbiosis) 388

278. 유니콘 기업 388

279. 디커플링(Decoupling)효과 389

280. 게릴라 가드닝(Guerrilla Gardening) 389

281. 사회주택(Social Housing) 390

282.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 Project Financial Vehicle) 390

283. 물 재이용시설(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391

284. 구분지상권 391

285. 개발제한구역의 토지매수제도 392

286. UN의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s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392

287. 입체도로 393

288. 브라운필드(Brown Field) 393

289. 신(新)DTI(Debt To Income) 393

290. 주택여과과정(Housing Filtering) 394

291. 입찰지대이론(Bid-Rent Theory) 394

292. 디자인 싱킹(Design Thinking) 394

293. 도시·군계획시설의 중복결정과 입체적 결정 395

294. 애프터 마켓(After Market) 395

295. 엔딩산업(Ending Industry) 396

296. 토지이용계획 상의 토지의 자연적·인문적 특수성 396

297.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397

298.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제 397

299. 인구집중유발시설 398

300. 도시·군기본계획수립지침(2017.06.27. 개정)에서 상주인구 추정방법 398

.

.

.

351. 패키지형 도시재생정책 430

352. 산지전용(山地轉用)의 정의 430

353. 녹지 활용계약 431

354. 규제 프리존 431

355. 성장관리방안 432

356. 생활SOC(Social Overhead Capital)정책의 목표와 전략적 추진방향 432

357. 도시재생전략계획으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지정하는 경우 갖추어야 하는 요건(3가지)과 세부기준 433

358.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에 따른 상권활성화구역의 정의와 상권 활성화사업 지원계획의 포함내용, 지원대상 선정 434

359. 수도권 정비계획의 권역구분과 수도권 정비계획에 포함되어야할 주요내용 435

360. 도시개발사업의 지정요건, 절차 및 특징 435

361. 2019년 2월 시행 예정인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의 주요 개정내용 436

362. 도시개발방식의 유형을 시행주체와 토지취득방식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 437

363.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의 주요 내용 438

364. 인구감소에 따른 국토의 인구 및 공간구조 변화 특성과 국토공간구조 변화 대응방향 439

365.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특징, 문제점 및 개선방안 441

366. 우리나라 토지이용규제의 목적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이후 토지이용규제의 특징 및 공공개입 유형 442

367.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정의 444

368. 매도청구 444

369. 도시공원 부지에서의 개발행위 등에 관한 특례 444

370. 공장입지 유도지구 445

371.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 445

372. 준주택 446

373. 유클리드지역제(Euclidean Zoning)와 형태기반지역제(Form Based Zoning) 447

374. 편익시설, 부대시설의 차이점 447

375.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상 도시재생전략계획의 내용과 도시쇠퇴지역(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지정요건(3가지) 및 세부기준 448

376. 자연구릉지를 배경으로 한 경관에서 건축물 허용한계의 결정 시 고려사항 448

377.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상 도시공원의 종류와 기능 및 가치 449

378.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상의 공급촉진지구의 지정요건 및 규모, 시행자의 토지확보 비율 450

379.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의 생활권 계획 451

380. 지역문제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도시계획전문가로서 대안 452

381. 공공사업 시행에 따른 주민과의 갈등 발생원인과 갈등완화를 위한 공공거버넌스의 역할 452

382. 도시·군기본계획의 특징과 발전방향 453

383. 국토-환경계획연동제의 정의와 도입배경, 주요내용 및 시사점, 향후과제 454

384. 미래도시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전을 위한 도시계획 분야의 역할, 도시계획가에게 요구되는 자질 및 새로운 교육 방향 455

385. 캠퍼스 혁신파크 455

386. 도시개발법의 환지예정지 456

387. 도시재생혁신지구 456

388. 산지관리법의 산지전용과 산지일시사용 456

389. 수소도시 457

390. 지역혁신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RIS) 457

391. 산업입지 수급계획 458

392. 에코스마트시티(Eco Smart City) 458

393. 빗물저장 및 이용시설(도시·군계획시설) 458

394. 투어리피케이션(Tourification) 459

395. 도시교통정비촉진법에 따른 도시교통정비지역에서 교통혼잡 원인 시설물의 소유자가 부담하는 교통유발부담금의 대상, 규모와 산정기준 459

39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용도지역간의 경계에 설정하는 완충공간 460

397.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른 민간투자사업으로 설치된 기반시설에 대한 관리이행 계획의 필요성, 문제점 및 한계와 개선방안 461

398.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보행동선계획 수립의 유의사항, 공공보행통로 지정의 고려사항과 보행환경확보를 위한 시설계획 461

399.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산업유산 재활용의 개념과 의의, 유형을 제시하고, 대상 설정 기준과 재활용방안을 설명 462

400. 민간제안에 의한 도시개발사업의 추진 상 문제점과 제도적 개선방안 463

.

.

.

451. 지구단위계획으로 반드시 지정되어야할 지역과 지정 필요성이 있는 지역 490

452. 산업단지의 유형별 지정권자를 기술하고, 계획입지 및 개별입지의 장·단점 491

453. 민간공원조성특례사업의 취지, 주요내용 및 절차 493

454.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494

355. 장소성 구성의 3가지 요소 495

356. 비트루비우스(Vitruvius) 496

357. 세대구분형 공동주택 496

358. 노후·불량건축물(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496

359. 소멸위험지수 497

360. 시 군 경관계획(경관계획수립지침) 497

361. 공공시설 등의 설치비용(지구단위계획) 498

362.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 인가 498

363. 지식산업센터 498

364. 국가균형발전 5개년 계획(국가균형발전 특별법) 499

365. 도시계획사의 관점에서 바로크 도시계획의 특징 499

366. 도시·군관리계획의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을 모두 열거(세분 포함)하고, 도시·군관리계획의 경미한 사항(지구단위계획 제외) 500

367. 도시·군관리계획의 정의, 입안권자 및 결정권자, 주민 입안 제안 500

368. 혁신도시와 주변지역 간 인구이동에 따른 문제점과 대응방안 501

369. 도시재생혁신지구의 정의, 사업시행 절차 및 사업시행자, 지원사항과 특례 502

370. 지구단위계획에서 특별계획구역의 지정 목적, 대상 및 순차개발을 위한 특별계획구역지정 기준 503

371. 도시설계가 얀겔(Jan Gehl)이 주장하는 공공공간에서의 옥외활동 3가지 범주 503

372. 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공기업 등이 시행하는 일정 금액 이상의 재정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예비)타당성조사(검토)에 대하여 설명 504

373. 우리나라의 장래 인구구조 변화 추이 및 문제점과 이를 완화하기 위한 주택공급 정책 505

374. 중점경관관리구역의 실효성 강화 방안, 경관지구의 관리 현실화 방안 505

375. 하나의 대지에 둘 이상의 용도지역·용도지구·용도구역이 걸치는 경우, 적용기준(건폐율, 용적률, 그 밖의 건축제한) 506

376. 도시·군계획시설의 종류(세분 포함)를 열거하고, 도시·군계획시설 결정 시 조성계획 필요시설, 건축물계획 필요시설, 저류시설 및 주민대피시설을 포함하는 시설 506

.

.

.

410. 문화지구 525

411. 산업유산 526

412. 랜드마크(Landmarks) 526

413. 지적공부 526

414. 개발제한구역의 환경평가등급 526

415. 공적개발원조(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527

416. 도시계획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527

417. 공공재개발사업 527

418. 독시아디스(Doxiadis)의 인간정주환경(Human Settlements)에 대하여 설명 528

419.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건축물의 용도를 제한하기 위한 권장용도, 불허용도, 지정용도의 적용기준 528

420. 초광역권(국가균형발전특별법) 529

421.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 529

422. 도심융합특구 529

423. 에드윈 채드윅(Edwin Chadwick)의 도시계획 530

424. 주거재생혁신지구 530

425. 국토조사를 위한 격자체계 530

426. 역세권 복합용도개발형 지구단위계획구역 531

427.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PM) 531

428. 인구감소지수 532

429. 강소도시권 532

430. 개발이익의 재투자(도시개발법) 532

.

.

.

480. 인구감소지수 475

481. 강소도시권 475

482. 개발이익의 재투자(도시개발법) 476

483. 바로크시대 도시계획의 공간인식과 도시계획적 특징 476

484. 자연보전권역 안에서의 연접개발 적용 기준 477

485. 특별건축구역에 대하여 설명 477

486. UAM(Urban Air Mobility) 478

487. 수평경, 앙감경, 부감경 478

488. 조닝 인센티브(Zoning Incentives) 478

489. 매스팀버(Mass Timber)산업 479

490. 기회발전특구 479

491. 새뜰마을사업 480

492.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 상 복합적인 용도개발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는 지역 480

493. 지구단위계획으로 결정할 수 있는 도시․군계획시설 480

49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상 방재지구 내 건축기준 완화 481

495.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상 공간정보와 공간정보체계 481

496. 주민참여방안인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과 샤렛(Charrette)기법의 개념과 기대효과 481

497. 역세권 개발사업의 목적, 개발구역 지정기준 및 사업계획 수립 내용 482

498. 국토이용정보 통합플랫폼(KLIP, Korea Land use Information Platform)의 추진배경, 목적 및 기대효과 483

499. 공개공지 이용정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485

500. 경관법의 실효성 향상을 위한 주요 쟁점과 개선방안 486

501. 비욘드 조닝(Beyond Zoning) 개념을 통한 도시계획혁신방안 487

502. 탄소중립도시의 추진배경, 추진 정책 및 탄소공간지도 487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