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농화학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8.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농화학기술사 해설집을 최근 2024년까지 출제문제풀이와 예상문제,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소면적(小面積) 작물 등 농약직권시험 1

2. ADI(Acceptable Daily Intake) 1

3. HACCP(햇썹)의 농축산업과 관계 2

4. 축산물 안전관리시스템(HACCP :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에 관하여 농림부의 추진현황과 향후 진행방향 2

5.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EDs) 8

6. 각종 원소의 결핍과 과잉에 따른 증상과 대책 9

7. 토양계(土壤系)와 토양통(土壤統)을 구분하여 설명 16

8. 확산이중층(擴散二重層, diffuse double layer)의 이론 18

9. 입자의 응집침강 18

10. 토양단면 중 B층(성토층, 집적층)의 의미 23

11. 유기태 질소가 무기태 질산으로 전환되는 전과정과 시간에 따른 C/N비와 수분함량이 질소의 무기화에 미치는 영향 24

12. 실질적으로 농약 사용량을 감축할 수 있는 농약 절약형 친환경 재배기술 26

13. 가정원예용 농약의 정의와 지정기준 26

14. 토양조사에서 토양조사의 종류를 제시하고, 토양단면 조사를 위한 시갱(試坑, pit)방법 29

15. 현지조사 31

16. 경도의 토양물리적 의의와 뿌리 발달과의 관계 34

17. 생장억제 물질인 “파크라부트라졸”의 폐해와 대책을 농산물 안전성 확보측면 35

18. 환경중 농약잔류성 36

19. 농산물중 농약의 잔류성과 안전대책 39

20. 병해충 방제와 올바른 농약사용 44

21. 농약의 독성 45

22. 논토양에서 대기-작토층(산화-환원층으로 구분)에서의 질소의 변환과정을 도식화 54

23. 비료의 형태와 특성 58

24. 비료의 반응에 따른 분류 60

25. 토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삼각도표(三角圖表)의 원리와 식양토와 사양토의 토양관리상의 차이점 비교 61

26. 지구상의 생태계(ecosystem)와 토양생태계(soil ecosystem)의 차이점 67

27. 지속농업을 위한 토양 생태계 관리법 70

28. 현재 농산물 유통과정에서 농약잔류검사 체계 및 초과 검출 농산물에 대한 조치 73

29. 미생물 농약의 개발 현황과 농업적 이용 85

30. 점토광물의 음전하 생성 원인 중 동형치환(同形置換)의 토양화학적 측면에서의 의미 89

31. 농지조성시(경지정리, 농지개간 등) 절토지와 성토지의 두 지점 토양특성과 토양관리방법 예 91

32. 토양-작물-대기로의 물 이동 현상. 92

33. Illite에 대하여 설명 95

34. 자급영양세균 96

35. 토양수분과 물리성 96

36. 암석풍화생성물의 가동률 100

37. 시설재배토양의 염류집적에 크게 관여하는 영양소 특성과 염류집적문제와 대책 100

38. 복합비료(Compound fertilizer)와 배합비료(Bulk blending fertilizer)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작물재배에 시용된 경우 생산성 및 환경에 미치는 차이점 101

39. 화학비료의 남용에 따른 토양 산성화의 비료 원인물질과 산성화에 기여하는 산의 공급원 102

40. 작물재배에서 인산비료의 시비효율이 20% 이하로 낮은 이유 104

41. 작물의 질소시비량을 추천하기 위한 영양진단 및 검정방법 105

42. 농약의 독성과 관련하여 LD50과 LC50 n 106

43. 잔류농약 분석결과 부적합 농산물의 적절한 조치 방법 108

44. 요소계(Sulfonyl urea) 제초제의 특성 및 종류 109

45. 농약살포로 인한 작물약해의 주요요인 110

46. 밭 토양을 6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설명 110

47. 농약으로 인한 토양오염의 생물학적 복원기술 113

48. 친환경 농업육성법에 의해 2007년부터 시행되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목록공시제 117

49. 작물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122

50. 토양 산성화로 인하여 토양의 기능이 저하되는 이유 131

51. 제초제로 사용하고 있는 Paraquat액제의 특성과 음독사고 관리대책 134

52. 약제 저항성 해충의 문제점 및 방제대책 136

53. 인산질 비료 중에서 과석, 용성인비, 용과린의 제조방법과 작물의 흡수이용 특성 138

54. 잡초종류에 따른 제초제의 선택성과 작용기작 141

55. 수출입농산물의 잔류농약에 대한 원인과 안전성 확보대책 143

56. 경사지 밭토양에서 침식방지 대책 145

57. 토양오염수준을 구분하고 대책기준 148

58. 벼 재배에서 수확 후 볏짚이 축산조사료로 수거에 따른 토양의 비옥도 관리면에서 예상되는 문제점 149

59. 토양에서 지렁이의 역할과 지렁이가 잘 자랄 수 있는 토양의 환경요인 151

60. 균근의 식물뿌리와의 공생관계를 설명하고 균근이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 152

61. 표토시료와 심토시료의 채취와 보관 방법 153

62. 토양의 토성결정 방법을 피펫법, 비중계법, 촉감법 154

63. N, P, K, Ca, Mg, S, Fe, Cu, Zn, Mo, B가 함유된 복합비료를 토양에 시비하였을 때 작물이 흡수하는 형태 155

64.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 171

65. 시비량 결정 계산방법 172

66. 생물농약인 BT(Bacillus Thuringiensis)제 173

67. 토양공기와 대기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차이점과 원인 174

68. 토양 광물에 있어서 1차 광물과 2차 광물의 정의와 종류 175

69. 계면활성제의 특성은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값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때 HLB의 정의, 범위, HLB 값에 따른 용도의 예 176

70. Polynov의 풍화이론을 간략히 설명하고, Cl, Ca, SiO2, Fe2O3, SO4, Na, Al2O3, Mg, K를 1, 2, 3, 4상 178

71. 객토의 목적과 실제 작업시 고려사항 179

72. 양파재배의 석회질비료와 유안비료 182

73. 농약 안전사용기준의 의의와 설정과정 183

74. 토양의 입단을 형성하는 요인을 설명하고, 농가에서 입단형성을 촉진하는 토양관리법 184

75. 약제저항성 현상을 설명하고 대책 185

76.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결정방법의 의의 및 삼요소 시비량 결정시 적용 예 187

77. 유기농법의 종류를 설명하고 유기농업의 장점과 한계 188

78. 농약 살포시 약해현상의 원인과 예방책 195

79. 탄질비(C/N율)와 질소기아 현상과 개선대책 197

80. Kaolinite 198

81. 최근에는 기존의 농약제형을 개선하여 부착률 향상과 단위면적당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신제형이 출현하고 있다. 이중에 기존의 수화제, 액상수화제, 입상수화제를 비교 설명 199

82. 토양을 구성하고 있는 모래, 미사, 점토함량에 따른 여러 특성 설명 203

83. 토양구조(주상, 괴상, 입상, 판상)를 설명하고 각 토양구조와 수분침투성, 배수특성 및 통기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오래 경작한 논토양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점과 해결방안 206

84. 토양의 견지성(Consistency) 209

85. 천적 살충제의 특성을 설명하고 천적 살충제 사용의 효과를 예 211

86. 토의 EC(전기전도도, Electrical Conductivity)에 대한 토양의 생육판단 방법 214

87. 토양조사의 의의와 정밀토양도의 활용방안 214

88. 토양오염 복원기술의 생물학적, 물리학적, 열적처리기술, 자연정화 215

89. 토양색을 나타내는 방법을 설명하고 토양색을 관찰하여 토양의 유기물함량, 물리성, 통기성, 토양 이온의 형태 등을 예측방안 225

90. 토양 수분함량 측정방법 227

91. 시판농약의 라벨(Label)의 표기사항중 농약의 특성을 설명하는 내용 10가지 227

92. 녹비재배의 정의와 장․단점 232

93. CODEX 233

94. 토양산도의 측정방법 234

95. 잔류농약 분석방법중 속성분석이 가능한 농약의 계통명 235

96.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s : 우수농산물관리제도) 237

97. 용적밀도(Bulk Density)가 1.20g/cm3인 농경지 토양 10a의 10cm 깊이 작토층의 무게를 계산 238

98. 엽면시비의 중요성 239

99. 지구온난화가 토양유기물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240

100. 경사지 농경지에서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 방지 대책 241

101. 친환경 농산물의 인증제도와 문제점 242

102. 친환경 농자재 244

103. Spodosols의 생성과정과 특성 249

104. 점토광물의 전하특성 252

105. 뱅커플랜트(Banker Plants)를 이용한 천적이용기술 254

106. 토성정의와 2가지 토양의 토성이 S와 CL일 때 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차이를 5개 항목이상 비교 설명 255

107. 침투이행성 살충제를 설명하고 장․단점 256

108. 인산질비료의 표토에 집적원리 256

109. 음식물 쓰레기의 농업적 재활용방안과 문제점 256

110. 생물농약 259

111. 농약에 의한 인축독성 문제점과 대책 261

112. 부산물 비료의 부숙도(Maturity)의 중요성과 부숙도 판정기법 262

113. 토양부식(Humus)의 특성 263

114. 1000m2 면적의 논에 1년간 1000mm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농업용수중 질소의 농도가 1mg/L이라고 가정할 때 이 관개수를 통해 공급되는 질소의 양을 계산 264

115. 토양유기물 분석시 사용되는 주요산화제와 유기물 정량에 사용되는 적정시약 264

116. 공중질소를 이용하여 요소합성 과정 265

117. NOEL(No Observed Effect Level) 266

118. 2:1 격자이면서 비팽창형인 점토광물의 명칭을 쓰고, 팽창 이유 269

119. 토양산도에 따른 인산질 비료의 유효도 269

120. 논농사의 공익기능 269

121. 토양의 유효수분 270

122. 토양중 농약의 분해․소실에 관여요인 273

123. 탈질현상(Denitrification)과 탈질현상이 토양 생태계의 질소순환과정에서 갖는 의미 274

124. 밭토양의 적성 등급을 구분하는 주요 토양 및 환경조건 275

125. 지베렐린(Gibberellin)의 주요 농업적 이용분야 276

126. 토양을 구성하는 입자인 점토(Clay)의 성질 279

127. 토양의 공극 282

128. 유기화합물질과 비천연물질 283

129. 작물의 뿌리호흡장애증상과 개량대책 284

130. 관개방법의 종류를 들고 장․단점 285

131. 염기포화도와 보비력의 농경적 의의 287

132. 토양 pH에 대한 활성 알루미늄의 영향 288

133. 가축분뇨의 퇴비화와 액비화의 장․단점 288

134. 액비 살포용 기구를 예와 효용성 290

135. 파라쿼트액제의 특성과 취급제한 기준 291

136. 병해충종합관리(IPM)의 의미 291

137. 환경호르몬과 현재 사용 중인 농약 중 환경호르몬 의심 농약 292

138. 토양환경보전법상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대책기준을 비교설명과 기준별 개량대책 293

139. 동일비료 연용에 따른 토양관리상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책 294

140. 토양의 배수불량원인과 개선방안 299

141. 농약 중독에 대한 단계별 응급조치요령 299

142. 경사지토양의 일반적 침식실태와 보존대책 303

143. 규산질 비료의 종류와 시용효과 상승방안 304

144. 복합비료(복비) 305

145. 작물에 대한 비료요소의 상호길항작용과 상호상조작용 306

146. 팽창격자형 및 비팽창격자형 306

147. Inceptisol을 설명 307

148. 미사(silt) 307

149. 토양의 치환성양이온의 염기포화도 308

150. 양이온치환용량에 대한 중요성을 토양의 주요기능인 작물생산과 환경조절 기능면 308

151. 비료흡수율의 정의 및 도출공식 310

152. 비료공정규격에 명시된 퇴비와 그린(1급)퇴비의 함유하여야 할 주성분의 최소량(%)과 함유할 수 있는 유해성분의 최대량(mg/kg) 310

153. 시비량 결정(수확체감의 법칙/최소양분율의 법칙) 312

154. 농약사용시 살포전, 살포중, 살포후의 주의사항 313

155. 칼륨 비료의 대표 비종인 염화칼륨(KCl)과 황산칼륨(K2SO4)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고 작물재배 측면에서의 이용특성 315

156.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의 우리나라의 POPs 규제현황 317

157. 농약 등록시 국내에서 실시해야 하는 시험의 종류 320

158. 석회질비료의 종류와 특징 321

159. ASTM기준 모래입자 분석시 최대와 최소체의 번호와 입자크기 322

160. 아터버그한계(액성한계, 소성한계, 수축한계) 323

161. 토양수분퍼텐셜의 정의와 토양수분퍼텐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기준상태 326

162. 미생물농약과 화학농약의 비교 327

163. 농약의 정의/구비조건/명칭 328

164. 농약의 중요성 및 표시사항/장단점 329

165. 호소의 부영양화와 농업의 대응방안 330

166. 제초제의 선택성 331

167. 발현속도에 의한 농약의 독성 332

168. 잡초벼의 발아 및 생육특성과 방제대책 332

169. 비료의 흡수와 작물의 생산법칙 336

.

.

.

201. 토양분석방법 중 Tyurin법, Indophenol-blue법, Brucine법,Lancaste법, Ammonium acetate법으로 분석하는 항목 363

202. 토양 중 염류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364

203. 토양환경보전법에서는 농경지(1지역)에 대해 토양오염 우려기준 함량을 21개 항목(단위:mg/kg) 365

204. 토양 용액 중 양이온이 확산이중층 내부로 치환되는 순위(이액순위) 367

205. 토양개량제로 사용되는 제오라이트와 벤토나이트의 비료공정규격에 정해진 CEC, 분말도, 수분최대함유량 367

206. 유통되는 비료의 품질검사용 시료를 채취하는 방법 368

207. 풋거름작물(녹비작물)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설명하고, 우리나라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풋거름작물을 두과와 화본과로 구분 368

208. 퇴비는 일반적으로 양분의 손실이 큰데 질소, 인산, 칼리, 유기물 등 유효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369

209. 비료의 품질검사방법에 정해진 퇴비 부숙도 측정방법 중 종자발아법 370

210. 약관리법에 따라 잔류허용기준 설정이 면제된 58종의 유효성분 371

211. 농약관리법에서 규정하는 천연식물보호제의 정의 373

212. 농약 및 원제의 등록 기준에 따른 약해정도 평가등급(0 ∼9)의 기준 375

213. 토양의 포드졸화작용(podzolization)과 논토양의 노후화 375

214. 칼리의 토양 중 고정(fixation)과 흡착 376

215. 잔류농약의 추출방법 중에서 가속용매 추출법(Accele ated Solvent Ext action,ASE) 377

216. 볏짚을 토양에 환원시킬 때 일어나는 유기물 분해와 무기화 작용 378

217. 설채소류 재배지에서 연작장해 원인 중 하나인 식물 기생선충 379

218. 인산질 비료의 비료효과 증진방법 381

219. 유기인계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glyphosate)의 작용특성 및 사용방법 381

220. 석회 소요량(lime equipement)검정의 필요성, 검정방법 및 산성토양에서 석회물질의 시용효과 383

221. 붕소의 식물체내 기능, 결핍증상, 붕소비료(비료공정규격)의 종류 및 주성분함량 384

222. 농가에서 직접 제조·사용하고 있는 석회보르도액의 제조방법, 종류, 사용 시 주의사항 386

223. 지목별 토지이용적성 등급 농경지 토양의 유형별 구분 기준 386

224. 수분이력현상(hysteresis) 388

225. 경작지 토양은 여러 가지 성분이 상호간 균형이 잡혀 있어야 하는 다요인 균형조절개념 389

226. 토양 모암 중 화성암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 389

227. 도시농업의 법률적 정의 390

228. 대두박, 쌀겨, 유박, 깻묵 등 식물성유박(油粕)류를 유기농자재로 사용하기 위한

사용가능 조건 2가지를 설명 390

229. 가축분뇨 발효액의 규격의 함량에 유해성분 최대량에 해당하는 중금속 8가지 390

230. 인산질비료인 중과석(중과린산석회)의 화학식과 함유하여야 할 주성분의 최소량은 몇 %인지 391

231.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 392

232. 잔류농약 분석과정에 사용되는 추출방법을 5가지 393

233. 농약관리법 제 23조 제 4항을 위반하여 안전사용기준 다르게 농약 등을 사용하도록 추천하거나 추천하여 판매한 경우 과태료는 1차, 2차, 3차 이상 위반시 각각 얼마 인지 396

234. 제초제의 작용기작에 따라 지질(지방산)생합성저해(A), 아미노산 생합성저해(B), 광합성 저해(D), 색소생합성저해(E), 세포벽 합성저해(L)로 구분 395

235. 석회소요량을 산정하는 ORD법의 원리와 측정절차 398

236. 토양유실을 방지하는 입단 형성의 중요성과 토양 입단화를 증진하는 요인 399

237. 식품(농산물)중 일반적인 잔류농약 분석과정을 단계별로 설명 402

238. 농약관리법에 따른 수입농약 등의 허가기준 중 시험용이나 학술연구용 농약 또는 원제의 수입 허가 기준에 대하여 설명 403

239. 토양불량요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객토량을 산정하는 방법과

객토 후 유의점 403

240. 양분종합관리(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INM)의 정의/INM에 따른 시비 추천의 원칙/화학비료 사용 추천방식 4가지 406

241. 식물생장조정제로 사용되는 사이토카이닌(Cytokinin), 아브시스산(Abscisicacid, ABA) 및 에틸렌 (Ethylene)의 특징 역할에 대해 설명 408

242. 농약의 품목별 사용 기준에서 알루미늄 포스파이드 훈증제,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마그네슘 포스파이드판상 훈증제, 에틸포메이트 훈증제, 포스핀 훈증제 및

마그네슘 포스파이드 훈증제의 사용기준에 대하여 설명 408

243. 산성토양에서 시비대책 409

244. 농촌진흥청고시 비료 공정규격 설명 및 지정에 따른 보통 비료와 부산물 비료 중 복합비료, 미량요소비료, 상토, 부숙유기질비료, 유기질비료의 정의를 설명 410

245. 농산물 등의 안전성 조사업무처리요령(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에 따른 시료수거시기와 시료수거시 주의사항을 각각 설명 410

246. 농약의 잔류성시험성적서 검토기준(농촌진흥청 고시)에서 1)작물잔류자료 평가기준, 2)시험자료의 생략이 가능한 경우를 각각 설명 411

.

.

.​

325. 농약관리법상 농약 수입업자가 기록·보존해야 하는 판매·구매 정보 382

326. 요소계(sulfonyl urea) 제초제의 종류(일반명) 5가지 382

327. 농약관리법상 농약포장지(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비선택성제초제, 생장조정제)의 바탕색 383

328. 농산물 잔류농약 분석방법 중 외부표준법(external standardization) 383

329. 농경지 토양의 오염 원인과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처리기술 384

330. 광합성과정에서 환원 물질 생성에 따른 식물구분에서 C3식물, C4식물 및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식물의 생리작용, C3식물, C4식물 및 CAM식물에 해당되는 것 각각 3가지 385

331. 작물 생육 기간에 엽면시비가 필요한 경우 386

332. 식품(농산물) 중 일반적인 잔류농약 분석과정을 단계별로 주의할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 387

333. 농약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보조제(adjuvant)의 종류와 이들의 용도 388

334. 토양의 입자밀도와 용적밀도에 대하여 설명 389

335. 토양 내 염류농도가 높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배추나 양배추의 Ca2+ 결핍, 토마토의 배꼽썩 음병과 같은 현상을 이온의 상호작용(길항작용/상조작용)의 측면에서 설명 390

336. 작물체 내 동화물질의 분배(Partitioning)에 대하여 설명 391

337. 살포된 농약의 토양 중 동태(動態)에 대하여 설명 392

338. 농약관리법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 시험성적서 검토기준에서 검토항목 393

339. 토양입단의 형성과 파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 393

340. 부산물 비료의 활용 측면에서 문제점을 설명 394

341. 부정불량 농약 신고자 포상금 지급기준에 따른 신고의 접수 및 처리절차를 단계별로 설명 395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