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6 기술사서적(해설집)

화공안전기술사(2026,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5. 9. 18.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6년 필기/면접대비 화공안전기술사 서적을 지속적인 편집 및 보강하여 2025년 137회까지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귀하의 목표가 성취되어 아름다운 인생을 설계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목 차-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출제기준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간결성의 원리 1

2. 결함수 분석(FTA)과 사건수분석(ETA)의 차이 1

3. 계측장비 설치규정 1

4. 고장율λ(t), 신뢰도([R(t)], 고장확률[P(t)], 평균고장 간격(MTBF)간의 관계 2

5. 공간속도와 공간시간 4

6. 공정안전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 PSM) 프로그램 4

7. 납사 분해시설(NCC / Naphtha Cracking Center) 5

8. 내화구조 5

9. 다단압축기 6

10. 도수율과 강도율의 공식 11

11. 동기부여에 관한 Douglas Mcgregor의 X, Y이론과 Abraham maslow의 욕구의 수직구조론 12

12. 릴리프(Relief) 시나리오 13

13. 물질안전 보건자료(MSDS) 14

14. 반응기의 종류와 설계시 고려사항 15

15. 반응폭주의 원인 17

16. 방유제 설치기준 17

17. 방폭구조의 종류 18

18. 방폭지역 종별 구분중 1종 장소 19

19. 본질적으로 안전한 플랜트(Inherently Safer plant) 19

20. 분진폭발의 원인과 방지대책 20

21. 분진폭발의 특징과 거동에 영향을 주는 인자 21

22. 분진폭연지수 및 분진폭발 위험등급 29

23. 불안전 행동의 배후요인(인적요인, 외적요인) 31

24. 비상조치계획에 포함해야 할 사항 33

25. 비파괴검사 33

26. 사고결과 영향(consequence analysis) 35

27. 산업안전보건법상 특수 화학설비에 대한 범위 37

28. 산업안전보건법상 화학제품 관련 제조물 책임(PL : Product Liability) 규정 38

29. 산업재해의 위험관리전략 39

30. 스프링식 안전밸브의 방출량과 오리피스 면적계산 42

31. 시간가중 평균농도(TLV-TWA) 46

32. 시스템 위험성분석(SHA : System hazard Analysis)의 개요 및 분석내용 47

33. 안전밸브의 설치기준 48

34. 안전보건 관리책임자/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안전담당자/근로자의 역할과 주요업무 49

35. 안전진단 대상 50

36. 압력용기(Pressure Vessel)설계 50

37. 액면화재(Pool Fire)의 TNO 모델식과 가정 및 제한 사항 54

38. 연소소음(Combustion Noise) 57

39. 열교환기 운전에 있어 냉각수를 이용하는 열교환기의 구체적 취급 방법 58

40. 용접후 열처리 59

41. 위험과 운전 분석기법(HAZOP :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59

42. 위험기반검사(Risk Based Inspection) 60

43. 화학설비에 파열판과 안전밸브를 직렬로 설치할 때 안전밸브 전단에 파열판을 설치할 경우와 안전밸브 후단에 파열판을 설치할 경우의 요구조건 61

44. 자연발화에 대해 설명하고, 발화온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열거 62

45. 작업중 인간에게 나타나는 행동특성 62

46. 정전기 방전의 종류 4가지 이상을 들고 설명 67

47. 최악의 누출 시나리오에서 끝점(End Point) 71

48. 트라우즐연통시험(Trauzl Lead Block Test) 72

49. 파열판과 스프링식 안전밸브를 직렬로 함께 설치하는 이유 74

50. 펌프에서의 여러 현상들(공동현상, 수격작용, 서징, 공진, 초오킹, 선회실속) 75

.

.

.

100. 고장곡선(Bathtub Curve) 130

101. 저장탱크 화재의 특징과 예방대책 및 저장탱크 진화시설 132

102.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가스누출감지경보기를 설치하여야 할 장소 137

103. 위험성 평가기법 중 위험과 운전분석기법(HAZOP)의 장․단점을 설명 139

104. 공정위험평가(Process Risk Assessment)의 목적 145

105. 부동태(Passivity) 146

106. 근골격계 질환의 유해요인 중에서 접촉 스트레스 148

107. 피드백(Feedback) 제어와 시퀸스(Sequence) 제어의 차이 148

108. 오조작방지장치(Fail safe) 149

109. Gaussian Model에 대하여 설명하고 Model에 적용되는 전제조건 149

110.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업주가 행하여야 할 유해․위험예방 조치사항 149

111. 안전진단의 대상 149

112. 작업위험분석 150

113. 산업재해의 직접원인을 인적원인(불안전한 행동)과 물적원인(불완전한 상태) 151

114. 공정안전보고서의 세부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152

115. 유해물질 중 액상유기화합물의 처리법 153

116. 저장탱크 및 가스시설을 지하에 설치할 때 유의할 사항 157

117. 정전기 발생의 방지 대책 161

118. 도체의 대전 방지 대책 162

119. 부도체 대전방지 대책 162

120. 작업자의 대전방지 대책 162

121. 가연성 물질의 화학적 폭발 방지대책 163

122. 화학공장의 안전작업 허가서(Safety Work Permit) 종류와 관리방법 166

123.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소결핍의 정의 및 안전담당자의 직무 167

124. 화학공장 설비의 안전대책 중 증류탑의 점검사항에 대해서 일상점검항목

(운전중 점검)과 개방시 점검해야 할 항목(운전정지시 점검) 168

125. 화학공장의 공정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안전과 관련된 사항 169

126. 안전막(Safety Barrier) 170

127. 안전계수(Safety Factor) 170

128. 증류시스템에서 위험물질 정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171

129. 폭발의 Scaling 법칙 172

130. 산소수지(oxygen balance) 172

131. 인너팅(inerting)과 치환(purging) 173

132. 금수성물질 중 수분과 반응하여 수소가스 발생물질 173

133. 사업주가 안전밸브를 설치해야 하는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 176

134. SI단위의 특징과 기본단위, 조립단위 기호 176

135. 단독고장원(Single Failure Point) 177

136. 염소저장 및 공급시설의 안전대책 177

137. 석유화학공장과 중소규모 화학공장과의 안전관리 특성비교 180

138. PFD/P&ID의 기술자료 상세 검토방법 180

139. EU REACH제도 182

140. 공정안전성분석(PHR : Process Hazard Review)을 정의하고 회분식공정과 연속식공정에서 PHR 평가시 가이드워드 182

141. 폭발보호(Explosion Protection)의 대책 187

142. ERPG(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 농도 188

143. 환기지배화재(Ventilation Control Fire)와 실내화재의 연소속도(R)가 개구면의 면적(A)과 개구면의 높이(H)와 관계 189

144. 플레어스텍에서 Molecular Seal의 역할과 원리 190

145.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화학공정의 안전화 191

146. 방폭지역의 1종 장소의 예를 5가지 이상 191

147. 바이오 에탄올의 개념 및 활용도 200

148. 활동도(activity)와 활동도계수(activity coefficient) 201

149. 위험성평가 중 인적오류분석(Human Error Analysis) 기법 202

150. 공정안전보고서 관계법령에서 규정하는 가연성가스와 인화성물질의 규정수량(kg) 및 정의 205

.

.

.

250. 발열반응에서 반응기내의 발열속도(Q)와 방열속도(q) 및 온도(T)와 관계를 Semenov이론을 이용하여 반응의 위험한계 그래프를 그리고 설명 332

251. 인화성 잔유물이 있는 탱크의 가스제거시 잠재된 화제폭발의 위험요인을 나열하고 탱크가스제거 절차, 세척작업을 위한 사전준비사항, 가스제거방법, 세척방법을 각각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 333

252. 유해, 위험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했을 때 대응절차 및 평가절차 339

253. 위험물의 제조, 저장 및 취급소에 설치된 옥내외 저장탱크에 배관을 통하여 인화성 액체 위험물 주입시 과충전 방지를 위한 고려사항, 과충전 방지장치의 구성요소별 고려사항, 비상조치절차 340

254. 화학설비 고장율 산출을 위한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43

255. 사고예방대책 5단계 345

256. SIL(Safety Integrity Level) #3에 대하여 설명 346

257. 위해관리계획서 347

258.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를 설명 347

259. 인간적 측면에서 사고발생의 공통적인 배경 348

260. 인간과오의 심리적요인(내적요인) 및 물리적 요인(외적요인) 348

261. 증류탑의 일상 점검항목과 개방시 점검항목 348

262.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에서 장외영향평가서 349

263. 화학공정의 연동설비(Interlock) By-pass 절차와 운영방법 351

264. 인간의 의식수준에서 주의와 부주의 351

265. 국내에서 적용되는 방폭기준(KS C IEC 60079-10)에서 환기등급과 환기유효성 352

266. LNG 저장탱크의 안전설비 종류와 기능 353

267. Breather valve, Rapture Disc의 용도와 기능 355

268. 폭발안전조치(Explosion Safety Measures)방법 356

269. 탱크 내부에 폭발성 혼합가스가 형성되는 경우와 주의사항 357

270.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대상 화학설비 358

271. 염산 및 황산탱크 설계시 재질선정기준 358

272.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감독자의 유해·위험방지 업무 중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시에 수행해야 할 직무 내용 360

273. 사업주가 자율적으로 공정안전관리제도를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공정안전 성과지표 작성과정을 6단계로 설명 360

274. 벤젠, 톨루엔 등 유해물질과 특정 화학물질의 취급 안전을 위하여 화학용기 등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을 설명 361

275. 인화성 물질을 저장·취급하는 고정식 지붕탱크 또는 용기에 통기설비를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설치하는 통기량과 통기설비에 대해서 정상운전과 비정상 운전으로 구분하여 설명 362

276. 보우 타이(BOW-TIE) 리스크 평가기법의 특징 및 분석방법 362

277. Hexane의 LEL (A) 및 혼합가스(Mixed Gas)의 LEL (B)을 계산 364

278.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위험물질 취급에 대한 안전조치 중 공통적인 조치사항, 호스를 사용한 인화성 물질의 주입, 가솔린이 남아있는 설비에 등유의 주입 및 저장, 산화에틸렌의 취급에 대하여 각각 구분하여 설명 364

279. 화학공장 등에서 설비 증설 또는 변경 등 변경요소관리에 있어서 변경관리 원칙, 변경 관리 등급, 변경관리 수행절차와 변경관리시의 필요한 검토절차를 설명 366

280. 인화성 물질이 유입되거나 발생 할 수 있는 화학공장의 공정용 폐수 집수조의 위험성과 폐수 집수조의 안전조치 및 작업방법에 대해서 설비적 측면과 관리적 측면으로 구분 368

281. 연소소각(RTO)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설비의 안전대책 370

282. 유해물질 중 유기화합물 6개의 종류를 제시하고 각각의 유해·위험성 371

283. 비파괴 검사 적용대상, 비파괴 검사방법 및 배관의 후열처리 기준, 열처리 방법 설명 372

284. 엘리뇨(El Nino) 현상과 라니냐(La Nina) 현상에 대해서 설명 378

285. 표백, 살균, 탈색 등에 사용되는 아염소산나트륨(NaClO2)의 위험성 및 유독성을 제시하고, 저장 취급방법을 설명 379

286.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방독마스크의 종류와 등급, 형태분류, 정화통의 제독능력 380

287. 사업장에서 새로운 설비의 설치, 공정·설비의 변경 또는 공정·설비의 정비보수 후 공장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설비 가동전 점검을 할 때 실시하는 가동 전 안전점검 382

288. 독성가스의 확산방지 및 제독조치방법 382

289. 유해화학물질의 시료를 취급할 때 요구되는 일반적인 사항과 폭발성 물질(유기과산화물 포함), 인화성 가스 및 액체, 산화성 물질의 시료채취 시의 안전조치 384

290. 증기밀도(Vapour density)와 증기압(Vapour pressure) 386

291. 극인화성 물질(Extremely flammable material) 386

292. 트레이 범람(Flooding trays)과 트레이 건조(Dry trays) 388

293. 위험물 옥외탱크저장소의 형태에 따른 화재발생 시 소화방법 388

294. 작업환경 요소의 복합지수 중 열 스트레스 지수(Heat stress index) 388

295. 리포밍(Reforming)공정과 크래킹(Cracking)공정 389

296. 재해발생의 메카니즘(Mechanism)에 대한 발생과정을 도식화하고, 불안전한 상태와 불안전한 행동별 원인 389

297. 연소의 4요소에서 연쇄반응 과정과 연쇄반응 억제 메카니즘(Mechanism) 391

298. 무기 과산화물류(Inorganic peroxide)의 성질 391

299. 작업안전 분석기법(Job Safety Analysis, JSA) 392

300. 수소취성(Hydrogen embrittlement)의 원인 및 방지대책 393

.

.

.

400. 인화성 액체를 용기에 주입 시 스플래쉬 필링(Splash filling)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 대전에 의한 화재폭발의 위험성과 대책 468

401. 산업재해 발생 형태 4가지를 사람과 에너지(Energy)관계로 분류 470

402. 화학물질관리법령상 제출하는 위해관리계획서의 안전밸브 및 파열판 명세의 작성방법 470

403. 공정안전보고서의 장치 및 설비 명세 양식중 기재하는 비파괴검사율(방사선투과시험 기준)이 용접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용접효율이 반응기 등 압력용기의 계산두께에 미치는 영향 및 사용

두께를 선택하는 방법 471

404. 회분식 공정(Batch process)에서 위험과 운전분석(HAZOP)기법으로 공정위험성 평가 시 시간과 관련된 이탈 및 시퀀스와 관련된 이탈 472

405. 안전계장설비(Safety Instrumented System)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통원인고장(Common Cause Failure, CCF)의 정의, CCF의 전형적인 발생원인과 잠재적인 고장감소 방법 473

406. 경질폴리우레탄 폼 시공(작업)시 화재발생 위험, 우레탄폼 원료의 위험성, 시공 시 화재예방 대책 474

407. KS C IEC60079-10-1(2015)의 부속서 C 환기지침에서 정한 환기속도평가방법, 옥외에서 지표면 고도에 따른 유추 환기속도(m/s)를 장애물이 없는 영역과 장애물이 있는 영역으로 구분 474

408. 스티렌 모노머(Styrene Monomer) 저장탱크에서의 폭주 중합반응(Runaway Polymerization) 발생 환경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중합방지제의 사용 조건 476

409.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의식을 북돋우기 위한 시책 477

410. 고용노동부장관은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산업재해 예방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과 운영시 처리하는 정보 477

411.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상시근로자 20명 이상 50명 미만인 사업장에 안전보건관리담당자를 1명 이상 선임하는 사업의 업종 478

4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사업주에게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 개선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것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 478

413. 표면화재와 표면연소의 차이점 478

414. 박막폭굉(Film detonation 479

41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인의 산업재해발생 건수 등에 관계수급인의 산업재해발생 건수 등을 포함하여 공표하여야 하는 장소 479

416. 분진폭발 위험장소를 구분하는 절차 480

417. 수소유기균열(HIC, Hydrogen Induced Cracking)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 발생 메카니즘, 특징, 방지대책 481

418. 밀폐공간 작업프로그램에 포함할 내용 및 추진절차 482

4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의 업무 482

420. 화학공정설비에 적용하는 윈터라이제이션(Winterization)의 목적, 방법과 적용 시 고려 사항 483

4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대상기계 등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484

4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등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해당하는 사업(단, 해당하는 사업은 전기 계약용량이 300킬로와트 이상인 경우) 484

423. 안전밸브 등의 전단, 후단에 차단밸브(block valve) 설치가 가능한 경우 485

424. 제조물책임법령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3가지 결함의 종류 485

425. 안전밸브의 소요분출량(Required capacity)과 배출용량(Relieving capacity) 486

426. 공정안전관리(PSM, Process Safety Management) 사업장 위험경보제의 사고위험징후 체크리스트중 1등급의 위험징후와 이에 해당하는 확인사항 5가지 486

427. 물질안전보건자료의 기재내용을 변경할 경우 상대방에게 제공해야 할 사항 487

428. 사업장에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전에 조사해야 할 안전보건정보의 종류 487

429. 유해화학물질 취급시 착용하는 보호복 중 2형식, 3형식, 4형식, 5형식, 6형식 구분기준 488

430. 위험성 평가결과 도출된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범위가 아닐 경우 위험감소를 위한 개선대책 수립 시 고려사항 488

43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에서 국가는 위험물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규정하고 있는 국가의 책무 489

432. 화학물질관리법령상에서 규정하고 있는 “유해화학물질” 정의 489

433. 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에서 규정하는 위험물의 분류를 9가지로 분류 490

43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에서 규정하는 6종류(1류∼6류)의 위험물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위험물에 대한 혼재기준 490

435. 폭발위험장소 구분에 적용되는 KS C IEC 60079-10-1(2015)에 의한 환기효율계수(f) 491

43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의 업무와 “산업안전지도사”의 직무 491

437. 공정위험성평가 보고서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평가의 유효성을 재확인하고 갱신하는 중요한 이유 5가지 492

438. 화학물질관리법령상 화학물질의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내용과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493

439. 작업위험성평가(Job risk assessment)시 사용하는 작업 유해위험요인 분석기법의 종류 494

440. 화재·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 전원을 공급해야 할 부하설비를 5가지 이상 나열하고 비상발전기 용량산출시 적용하는 PG(Power generator)법 494

44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탱크안전성능검사의 종류별 신청 시기 495

442. 위험기반검사(Risk based inspection)의 도입목적과 수행절차를 4단계로 구분하여 수행사항 496

443. 불활성화(Inerting)에 대한 최소산소농도(MOC, Minimum Oxygen Concentration)와 불활성화 방법 4가지 497

444. 고압가스안전관리법령상 중간검사를 받아야 하는 공정과 정기검사의 검사대상시설 종류 498

445. 화학공정플랜트의 안전프로그램 구성요소 498

44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제조업의 경우)가 유해 위험 방지에 관한 사항을 고용노동부장관에 게 제출하고 심사를 받아야 하는 경우 500

447. 가스폭발위험장소 인근에 위치한 사무실 등의 벽을 방호구조로 설치할 경우의 기준 500

448. 체크밸브(Check Valve)의 정의, 역류방지 기능 유지를 위한 필요 사항 및 선정 시 고려사항 503

449. 인화성 액체가 채워진 회분식 반응기의 맨홀로 가연성 분진 원료를 투입 중 화재·폭발사고시 사고발생 원인과 예방대책 504

450. 기능공명분석법(FRAM,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의 4가지 원칙과 6가지 측면에서 기능의 특성화 505

.

.

.

501. 공정안전보고서(PSM) 12대 요소 중 안전운전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 및 이행상태평가의 세부평가항목 552

502. 로터리 퀼른(Rotary Kiln)형식의 열분해 반응기에 대한 안전관리 사항 554

503. 위험물 취급 제조소의 불연재료로 된 방화상 유효한 담(또는 벽)을 설치하는 경우 방화상 유효한 담의 높이 산정 방법 및 구조 555

504.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처리설비와 처리능력 557

505. 인적요인 분석모델인 HFACS(Human Factors Analysis and Classification System)의 특징 및 분류 방법 505

506. 플레어시스템에서 플레어헤더, 녹아웃드럼, 액체 밀봉드럼의 정의 558

507. 폐합성수지 열분해 공정에서 열분해 생성 물질의 유해·위험성 559

508. 리튬(Li)의 위험성 및 리튬 취급 핵심안전수칙에 대하여 설명 559

509. 공정배관계장도(P&ID) 등 공정안전정보에 자동조절밸브(Control valve)의 고장 시 열림(Fail open)인 자동조절밸브가 고장 시 닫힐 수 있는 경우 560

510. KOSHA GUIDE(E-84-2022)에 따라 비상전원을 공급받아야 하는 비상부하설비의 항목(비상전원 부하 리스트) 561

511. 인화성 액체 공정용기에 화재예방을 위하여 질소로 분배제어(Split Range Control)에서 질소가 공급되고, 공정 가스가 플레어스택(Flare Stack)으로 배출될 때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밸브작동 특성 561

512.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Semiconductor Equipment and Materials International)에서 위험성을 파악하는 공식이 SEMI S6에서 제시내용 설명 562

513. 고압가스 특정제조의 시설·기술·검사·감리·정밀안전검진 기준에 따른 사업소 밖의 배관에 대한 점검 항목을 10가지 설명 562

514. 99.999% 이상의 고순도 암모니아를 충전·운반, 저장·사용하기 위한 암모니아용 ISO 탱크 컨테이너의 스프링식 안전밸브와 액유동방지장치 설치기준 563

515. 원심펌프의 최소유량 조절방법 563

516. 탄화수소로부터 수소를 추출하는 방식 중 자열개질(Auto Thermal Reforming)의 주요 반응식과 특징 565

517. 체크밸브는 역류방지를 위하여 설치한다. KOSHA GUIDE(D-62-2018)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반적인 체크밸브의 설치 대상 566

518. 시스템적 사고분석 방법의 AcciMap 방법 567

519. 오일러 방정식과 베르누이 방정식 568

520.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시장·군수·구청장에게 신고하는 특정고압가스 종류와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저장능력 기준 569

521. 열매 보일러 시스템에서 열매유 저장탱크와 팽창탱크의 설계 및 설치 570

522. 국제노동기구(IL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는 안전보건경영시스템(OHSMS:Occupational Health & Safety Management System)의 지속적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 적합과 부적합에 의한 평가가 아닌 5단계로 구분한 평가 제시를 설명 571

52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하는 대상, 포함하여야 하는 내용 571

524. 내압방폭구조 방폭기기에 전선관 밀봉장치(Sealing Fitting) 설치 시 거리조건 및 그 조건을 두는 이유 572

525. 화학설비 및 부속설비에서 정전기의 계측제어에 관한 기술지침상 화학설비에서 정전기의 대전크기를 결정하는 인자(5가지), 정전기로 인한 영향 및 계측제어에 의한 정전기 관리방법 572

526. 화학물질관리법령상 화학사고의 정의를 설명하고, 신고 내용에 포함해야 할 항목 및 필요시 상황 확인을 해야 하는 항목 574

527.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이행 등에 관한 규정에서 총괄영향범위의 정의, 이행상태점검 시 주요점검항목과 이행점검확인서의 개선권고사항에 대한 조치구분 574

528. 부식의 종류 중 HTHA(High Temperature Hydrogen Attack) 575

52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의 사용 전 점검 시기를 설명하고, 해당설비의 용도를 변경하는 경우(사용하는 원재료와 종류 변경 포함) 점검해야 하는 사항 576

530.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평가항목 3가지를 구분하여 상세 내용을 설명하고, 인증절차를 설명 577

53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에 따른 산업재해 예방조치에서 “화재ㆍ폭발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와 도급인이 이행하여야 할 사항 577

532. 화학설비 및 그 부속설비에 설치되는 좌굴형 압력방출장치로서 파괴핀 장치의 정의, 파괴핀의 구조, 파괴핀 장치 설치방법 578

533. 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한 화학사고 예방관리계획서에 대한 제출 수준(1군, 2군, 면제) 판정 절차 3단계, 제조·사용시설, 저장시설, 보관시설의 최대 보유량 산정 방법, 작성부터 이행점검까지 전체 업무처리 절차 579

534.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이행실태평가의 대상 및 평가의 실시 구분, 평가점수 및 안전등급 구분, 평가의 방법 581

535. 유해화학물질 제조‧사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고시상 배출설비 및 처리설비의 설치기준, 피해저감 시설 설치 기준 및 제조·사용시설에 대한 관리기준 582

536. 고압가스 제조시설의 저장탱크 침하 상태의 측정주기, 측정방법, 침하상태에 따라 안전조치 584

537. 탄소강, 동합금강, 스테인리스강 등에서 관찰되는 미생물 부식(MIC: Microbiologically Influenced Corrosion)의 일반적 특징, 메카니즘, 문제점, 방지대책 585

53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안전거리 및 보유공지의 거리적, 공간적 개념을 적용과 확보 목적 587

539.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과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정의하는 인체급성유해성물질, 인체만성유해성물질, 생태유해성물질, 사고대비물질, 유해화학물질 588

540. 화학설비 중 반응기, 교반기, 추출기의 사용 및 세척작업에 대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특별교육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588

541. 가연물의 연소하기 쉬운 조건과 가연물이 될 수 없는 조건 589

542. 화학반응속도에 대한 아레니우스(Arrhenius)식 590

543. 화학물질관리법령상 기계에 의하여 하역하는 구조로 된 유해화학물질 운반용기의 사용연장검사적용대상 및 사용연한 590

54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조설비의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해야 하는 주요 구조부의 변경에 해당하는 사항 590

545. 이산화탄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설명하고, 실제 발생한 사고를 예로 들어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안전조치사항 591

546. 화학설비의 정전기 예방을 위한 설계단계 및 운영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안전기준 592

547. 수소가스를 사용하는 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방폭등급이 “Ex d ⅡA T6”라고 표시되어 있을 때, 해당 방폭등급이 적정한지 판단하고 설명 592

548. 산업안전보건법 및 화학물질관리법의 안전교육의 교육대상, 교육시간 각각을 설명 593

549. 화학물질 개인보호장구(화학물질 보호복 등)의 구분 중 보호구안전인증고시의 1∼6형식과 EPA PPE(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Level A∼D에 대하여 설명 594

55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3류 위험물의 일반적인 성질과 물과의 반응 시 생성되는 물질 594

551. 화학물질관리법령상 변경허가와 변경신고의 대상과 허가받은 유해화학물질 품목이 추가된 경우 총괄영향범위 확대여부에 따른 업무 처리절차 595

552. 위험물 건조설비 설치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과 건조설비를 사용하여 작업 시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준수사항 596

553.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내용 중 유해화학물질 목록 및 취급량에 대한 각 항목별 작성방법 597

554. 화학물질관리법령상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자가 유해화학물질에 관한 표시를 해야 할 대상과 용기 또는 포장에 표시하는 경우 일반 작성원칙 598

555. 아세틸렌가스를 용해시켜 충전시 다공물질을 채우는 이유와 다공물질의 종류, 용제에 용해시켜 충전하는 이유와 용제의 종류, 용해아세틸렌의 가스집합용접장치의 배관 및 부속기구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재질과 그 이유 598

556. 화학공장 내 폭발 위험장소를 설정할 때 필요한 누출등급, 환기 유효성 등에 대하여 설명하고, 종별 폭발 위험장소를 설정하는 방법 599

55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예방규정을 작성해야 되는 대상과 예방규정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600

558. 플래쉬오버(Flash over)와 백드래프트 (Back draft)의 정의와 차이점을 비교 601

559. 화학물질관리법령상의 방류벽의 높이 및 방류벽과 저장탱크 옆판으로부터의 거리, 바닥의 재질, 방류벽 내에 저장탱크를 10개 초과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경우 2가지, 방류벽에 방류벽을 관통하는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의 조치사항 3가지 601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사업자 정보 표시
엔지니어데이터넷 | 김순채 |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호국로 5431 | 사업자 등록번호 : 128-13-50808 | TEL : 033-452-9081 | Mail : edn@engineerdata.net | 통신판매신고번호 : 강원철원-0005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