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해양기술사 서적(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12.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해양기술사 해설집은 2024년 132회까지 업데이트하여 5권의 서적을 3권으로 재개정과 재편집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양식(응시자용)

1. 평균해면(Mean Sea Level) 1

2. 내부파(Internal Wave) 1

3. 장주기파의 일종인 로스비파(Rossby Wave) 2

4. 해수의 물성 중 실용염분(Practical Salinity, Psu) 2

5. 해양 심층수의 특성 3

6. 유의파고(Significant Wave Height)의 정의 3

7. 전형적인 해빈단면을 도시 4

8. 연안 퇴직물의 연대추정을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 9

9. 연안역의 수질오염 지표성분 11

10. 해양에서 심해 산란층(Deep Scattering Layer)의 출현 및 변동양상 13

11. 연안역에서 해양 관측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13

12.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적조원인 생물과 수색을 서술 14

13. 항만준설토의 처분시 발생가능 한 환경문제와 해결대책 15

14. 원격탐사(Remote Sensing)에 의한 해양환경 조사 응용사례 17

15. 지진해일(Tsunami), 이상고조(Storm surge), 부진동(seiche)현상 19

16. 연안역의 퇴적물 형태와 이동현상을 서술 20

17. 우리나라의 해양생물자원 이용실태와 보전방향 21

18. 해양과 대기가 상호작용한 대표적인 예인 ENSO(El Nino Southern Oscillation) 현상 24

19. 해양중의 지형류 26

20. 해양생태계의 구성요소와 환경요인 27

21. 쇄파의 한계조건과 종류 29

22. 망간단괴의 채굴공법 30

23. 해양구조물의 부식현상과 부식방지 대책 31

24. 적조 발생방지 대책 34

25. 해저 파이프라인의 시공방법 35

26. 해저 케이블 건설시 해양조사 방법 39

27. 해양 탐사 기술 41

28. 해저 케이블의 부설 및 유지 보수 42

29. 해저 케이블 통신과 위성통신의 차이점 44

30. 지구온난화의 영향이 연악역의 해수면상승에 미치는 영향 45

31. 해빈침식현상과 해빈단면변형 46

32. 해양의 용존산소량은 표층에서 높고 중층에서 최소값을 보인 후 심층에서 약간 증가하는 원인을 설명 49

33. 왕복성 어류인 연어의 생활사에 따른 삼투적응 방법 49

34. 심해저 퇴적물의 기원을 설명 50

35. 대서양 주변에는 해구(trench)가 발달하지 않았으나 태평양 주변에는 해구가 발달한 이유 53

36. 연안역 일차생산력이 원양에 비하여 높은 이유 2가지를 쓰고 설명 55

37. ARGO(Array for Real-time Geostrophic Oceanography) 국제공동프로그램 56

38. 수치모델링(numerical modeling)에서 활용되고 있는 자료동화(data assimilation)기법 56

39. 조석현상에서 대조(spring tide)/소조(neap tide)가 생기는 이유 57

40. 해양투기(ocean dumping)의 문제점 59

41. 공유수면관리법에 정의된 ‘간석지’ 또는 ‘포락지’에 대하여 기술 60

42. 염하구(하구역 ; estuary)를 분류하고 설명 60

43. 바닥짐수(ballast water)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62

44. 조석잔차류를 정의하고 중요성 64

45. 음향이 해양조사에서 활용되고 있는 분야와 각 활용분야에서의 음향활용원리 64

46. 해사채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영향 68

47. 산화환원층을 경계로 한 화학성질 변화를 설명하고 유기물유입에 따른 변화를 설명 68

48. 동해안에서 사질해빈(sand beach)에서의 침식 및 퇴적기작을 설명하고 대책 71

49. 해양에서 국지적인 확산계수를 산정하는 방법 75

50. 설계조위 결정방법 76

51. 조석의 조화상수를 이용한 임의지점에서의 조위 77

52. 폭풍해일(기상조, 이상고조) 78

53. 쓰나미(Tsunami : 지진해일) 78

54. 부진동 80

55. 해수의 흐름 82

56. 해산어류의 회유경로추정방법 83

57. 해저석유와 천연가스 탐사 및 개발 84

58. 해양의 대기탄산가스 중화작용 88

59. 세립질 해양퇴적물의 입도분포를 측정하는 방법 중 피펫법(pipette method)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험을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주요 사항 89

60. 하구역의 하구둑에 따른 해양환경변화와 조사계획 90

61. 해양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모의실험(simulation)의 방법을 2가지 제시하고 과정을 설명 92

62. 수입수산물의 원산지 식별방법 93

63. 해양에서 미량금속원소의 수직분포와 그 원인 94

64. 매몰의 원인과 대책 96

65. 생리교란물질의 종류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97

66. 해수의 운동방정식의 형태 98

67. 해양의 역학구조 상태는 Barotropic(순압형)과 Baroclinic(경압형)의 차이점 100

68. Reynolds stress 101

69. 염분 102

70. 해수의 밀도 102

71. 북극과 적도에서의 관성주기(inertial period) 102

72. 해양생태계에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유기주석화합물과 생물에 미치는 영향 104

73. 플랑크톤의 크기구분 및 각 크기 군에 속하는 생물종류 104

74. 부유생물의 구분 105

75. 정성채집과 정량채집 106

76. 부유생물의 계수방법 108

77. 부유식물 108

78. 부유동물 109

79. 부유생물의 부유기작 111

80. 부유동물의 수직이동 112

81. 부유식물의 일차생산 112

82. 해양의 일차생산 114

83. 해수 담수화 방법을 4가지만 설명 115

84. 먹이사슬 116

85. 식물플랑크톤과 일차 생산력 117

86.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117

87. 클로로필 117

88. 위성에 의한 해양관측 118

89. 해양의 주요특성의 해양관측 장비 122

90. 해양에서 발생하는 용승(upwelling)현상과 생지화학적 영향 123

91. 연안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배수의 환경영향을 기술하고, 피해저감과 활용방안 124

92. 잘피밭(eelgrass beds)의 생태학적 역할과 보존대책 125

93. 대륙이동설에서 판구조론(plate tectonics)과 플룸구조론(plume tectonics) 126

94. 연안에 유입되는 영양염의 공급원(농업, 대기, 도시)과 효율적인 저감방법 128

95. 해양환경에서 CCD(Carbonate Compensation Depth)의 변동원인 129

96. 동해, 남해, 서해의 해양물리학적 특성비교 131

97. 해양물리학적 조사 132

98. 식물성 플랑크톤 140

99. 동물플랑크톤-부유 동물 (zooplankton) 142

100. 부유생물에서 부유기작과 스토크스의 법칙 147

101. 해양퇴적물에서 철(iron)의 초기속성과정(early diagenesis) 148

102. 탄성파탐사 중 굴절법 탐사와 반사법 탐사의 원리와 응용 148

103. HNLC(High Nutrient Low Chlorophyll)해역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문제점 152

104. 해양에서 파랑의 전파속도의 관계 155

105. 선형파 이론에 의한 파랑에너지 Flux 158

106. 파의 군속도(CG) 158

107. 장주기파 159

108. 중복파(Clapotis) 159

109. 쇄파(Breaking Wave) 160

110. 파랑의 변형 161

111. 마하스템 반사 (Mach-Sten Reflection) 163

112. 쇄파에 의한 평균수면 변동 163

113. Radiation Stress 164

114. 한계기울기 (Limiting Steepness) 164

115. 불규칙파의 파고정의와 대표파 164

116. 파의 Rayleigh 분포 165

117. 불규칙파의 취급법 166

118. 파의 변형에 대한 해석법 적용 167

119. 방향집중도 변수 167

120. 주파수 스펙트럼 (Frequency Spectrum) 168

121. 방향스펙트럼 (Directional Wave Spectrum) 168

122. 파랑의 추정방법 169

123. 풍파의 발생과 풍파추정법 170

124. SMB법 (Sverdrup-Munk-Bretschneider Method) 171

125. 천해파의 추정법 171

126. 여파 (Swell) 의 추정 172

127. PNJ법 (Pierson-Neumann-James Method) 172

128. 우리나라의 파랑관측망 173

129. 설계파고 결정방법 174

130. 연안역에서 일어나는 잔차류(residual current)의 주성분을 3가지로 구분하여 설명 175

131. Edge Wave 175

132. 충격쇄파압 (Impulsive Breaking Wave Pressure) 176

133. 파랑의 쳐오름 높이와 월파량 176

134. 항내정온도의 요인과 추정방법 178

135. 항내 정온도의 개선원칙 179

136. 안벽전면의 허용파고 180

147. 돌말류(diatoms)의 특성 181

148. 수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 181

149. 해양에서 해수의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온, 염분, 수압에서 외양수 밀도에 영향 182

150. EEZ(Exclusive Economic Zone)의 중요성을 해양자원적, 환경적 측면 182

.

.

.

​200. 백화현상의 정의와 발생원인 및 대책 235

201. 해수유동에 있어서 코리올리효과(Coriolis effect)는 중요도 판별기준 238

202.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graphic Office)에 규정된 수심측량의 등급분류와 단일빔 음향측심기(Single-beam echo sounder)를 사용시 수심측량정확도를 산정방법 239

203. 세계 표층해류의 분류 241

204. 장기 해수면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관측기기의 오차는 없다고 가정함) 241

205. 생물농축(bioaccumulation) 242

206. 먹이사슬에 따른 에너지효율 243

207. 선박 바닥짐수(ballast water)에 의한 국내외 유입종의 피해사례를 두 종류만 제시 244

208. 유기오염지표종에 대하여 설명하고, 대표적인 두 종을 예 245

209. 등수심선이 표시된 지도를 세계 최초로 발행한 국제적인기구 246

210. 빙산의 기원 246

211. 심해파의 파속(phase speed)과 파장(wavelength) 계산 246

212. 밀도약층(pycnocline)을 정의하고, 동해 울릉분지에서 춘계에 플랑크톤이 번성하는 이유 248

213. 남해연안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천이 248

214.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대형해조류의 분포특성을 해류 및 해양환경 특성 250

215.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공유수면 매립으로 어민보상문제, 습지보존문제 등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로 인한 신규토지의 등록과 관련하여 발생가능한 분쟁의 내용과 원인 250

216. 세이쉬의 마디(node)가 한 개일 때 세이쉬의 주기계산 253

217. 북반구 해양에서 인공위성에 의하여 측정된 해수면 고도자료(sea surface height)를 이용한 표층해류의 방향과 크기를 구하는 방법 254

218. 해파리의 대량 출현에 따른 피해와 제거대책 254

219. 조간대의 저질별 생물분포 특성(인천 조간대 중심으로) 256

220. 해저 경계층의 유속프로파일(velocity profile)과 파라메터의 물리적인 의미 258

221. 무차원수인 리차드슨수 (Richardson number, Ri)를 정의하고, 하구역(estuary)에서 Ri의 중요성과 Ri의 값이 0.25보다 작아질 때 하구역에서 발생하는 해양물리학적 현상 259

222. 조력발전의 원리와 해양환경의 부작용 260

223. 외양성적조와 내만성적조의 발생원인 261

224. 중국 샨사댐의 축조 후 우리나라 서해바다의 영향 262

225. 지구온난화에 따른 연안관리방안 263

226. 해상기준면과 육상 기준면 265

227. 백중사리 266

228. 지각평형설(isostasy) 267

229. 해양생물자원의 밀도를 결정하는 2차적인 속성 268

230. 에너지원에 따른 해양생물의 분류 270

231. 생존기록으로서 연령을 나타내는 어류의 연령형질을 나열하고 설명 271

322. 백운석(dolomite)의 생성 271

232. 해저지형조사 장비 중 멀티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sounder) 272

233. 해양의 물리·생물 환경이 수산생물자원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 영향 272

234. 해양의 항온동물(homoiotherm)과 변온동물(poikilotherm)의 온도적응 기작 274

235. 무차원 방정식과 상사법칙 274

236. 해양 회유(oceanodromous migration)와 왕복회유 (diadromous migration 278

237. Rossby Number의 물리적 의미 278

238. 천해성퇴적물과 심해퇴적물 280

239. 평균해수면, 기본수준면 및 약최고고조면의 결정 280

240. 조류가 강한 해역에서 여름철 얕은 곳의 표면수온이 주변보다 낮아지는 이유 281

241. 지구의 자전과 공전 281

242. 식물플랑크톤의 정량적인 계수방법 및 도구 282

243. 해양에서 엽록소 최대층(Chlorophyll maximum layer) 282

244. 대형식물체가 서식하지 않는 천해 조하대 저서생물 군집의 표본 채집방법 282

245. 해양환경의 지속성 독성물질 중 283

246. phi scale()과 입도(Dmm)와의 관계 정의, 파이지수를 입도분석시 사용이유 283

247. 최대탁도(Turbidity maximum) 정의, 생성되는 작용 284

248. 대륙붕과 대륙사면의 경계가 되는 해저지형의 명칭rhk 지형특성이 가지는 의미 285

249. 표준화석(standard fossil)과 시상화석(index fossil) 286

250. T-S도표(T-S diagram)를 설명하고, (sigma-t)와 연관하여 안정도 286

.

.

.

.​

300. 우리나라 해안선을 규정하는 조석기준면 333

301. 대기에서 해양으로 이산화탄소가 용존시 탄산염의 순환과정(중탄산염이온, 탄산염이온) 333

302. 조석단파(Tidal bore) 334

303. 해양퇴적물의 4가지 기원 334

304. 판구조론을 입증해주는 여러 가지 증거들 334

305. 평형조석론과 동역학적조석론 335

306. 모래입자의 침강속도에 대한 스톡스 법칙(Stokes law) 336

307.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에서는 영양염류의 수직적분포 특성 337

308. 고지자기의 중요 연구내용과 필요성 339

309. 런던협약과 우리나라가 런던협약에 가입한 이후 실시한 금지조치들에 대한 단계별 과정 340

310. 해수유동에 미치는 전향력(Coriolis force)의 세기를 구분하는

로스비 수(Rossby number)의 물리적 의미 341

311. 심해파(deep-water wave)와 천해파(shallow-water wave) 특성과 두 파의 구분이 되는 ​기준 341

312. 해역의 구분 342

313. 남방진동(Southern oscillation)의 원인과 특성 343

314. HNLC(hight-nitrate, low-chlorophyll)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3개 해역을 쓰고 그 이유 343

315. 해양환경관리법상 해양퇴적물 환경기준(해양수산부 고시 2017호) 중 주의기준(Threshold Effects Level, TEL)과 관리기준(Probable Effects Level, TEL) 344

316. 유류분석시 활용되는 유지문(油指紋, oil fingerprint)기법 344

317. 라니냐 현상 345

318.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제시한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의 기본원칙을 설명 346

319. 하와이 군도 주변에 분포하는 화산섬의 위치와 연령으로 해양판의 이동에 대해 알 수 있는 간접적인 증거 두 가지를 설명 346

320. 해양쓰레기의 특성과 피해 및 저감대책 347

321. 갯벌생태계 복원사업 지침(해양수산부 훈령 ‘16.12.29)의 갯벌복원 기본원칙과 주요내용 348

322. 한국패류위생계획(KSSP : Korea Shellfish Sanitation Program)에 대하여 쓰고, 국내·외적 요인 349

323. 해양자원 중 메탄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의 형성과정과 활용성 350

324. Morison Equation의 식과 제한조건 351

325. 해양폐기물공정시험기준상 표층퇴적물과 주상퇴적물의 정의를 쓰고, 수저준설토사에 대한 부피당 시료채취 개수 산정 방법 및 시료 채취 방법 354

326. 무인항공기(드론)의 해양조사 활용 355

327. 후쿠시마 원자력 제1발전소의 설비시설 손상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356

328.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관점에서 우리나라에 미치는 태풍의 영향 357

329. 유류오염 피해보상과 관련된 국제협약 3가지 357

330. 남극과 북극의 환경적 차이점을 설명하고 극지 연구의 중요성과 우리나라가 극지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 358

331. 교토 의정서/나고야 의정서/바젤 협약 359

332. 판구조론(Plate Tectonics)의 관점에서 판(plate)들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지는 세 가지 경계부(plate boundary)의 종류 360

333. 고화되지 않은 해양퇴적물의 입도를 파이(phi)단위로 표현하는 식 361

334. 조석의 조화분해 362

335. 조석의 조화상수에 따른 비조화상수인 대조차, 평균조차, 소조차 및 조석형태수를 계산하고 조석의 형태를 설명 363

336. 해일의 종류와 발생 원인 364

337. 해양환경측정망에 대하여 설명하고, 측정망 중 4가지를 제시 364

338. 유해해양생물과 해양생태계교란생물을 정의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생물 365

339. 해양생태계에서 발생하는 갯녹음 현상을 정의하고,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 365

340. 바다의 1차 생산력 측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을 2가지 366

341. 국토해양부(현 해양수산부) 고시 제 2011-344(2011.6.30.)에 의하면 생태기반 해수수질기준을 따른 수질평가지수(Water Quality Index)에 활용되는 수질항목 5가지 366

342. 해수의 부유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3가지 366

343. 보상심도(compensation depth)와 임계수심(critical depth)의 차이 367

344. 하구(estuary)와 coastal basin 367

345. 우리나라에서 조류발전에 적합한 대표적인 장소 3군데를 선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 368

346. 영해(territorial sea)와 영해기점, 영해기선을 정의하고 각각 설명 369

347. 수로조사를 실시할 때 ①표고 및 지형, ②수심, ③교량에 대한 각각의 수로측량 기준 369

348. 구조물 설계에 사용되는 파랑자료 획득을 위한 수압식, 초음파식 및 부이식 파고계 370

349. 취득한 1개월 조석 자료를 이용하여 기본수준면(datum level)을 결정시 기준면 결정과정 371

350. 갯벌의 형성과정과 기능적인 역할 371

351. 조석관측 방법 중 레이다식(radar type)과 레이저식(laser type)에 대하여 설명 372

352. 인공신경망을 활용한 해양자료 분석방법 373

353. 용승수역(upwelling area)과 전선수역(frontal area)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 특성 374

354. 해저유전이 형성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조건 374

355. 연안해역의 환경기준 항목 중 유기물 오염지표 성분 4가지에 대하여 설명 375

356. 해양에서 무인해양관측시스템인 수중 글라이더(glider)와 수중 드론(drone)의 활용 376

357. 자연해빈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장래 지형변화 예측법 376

.

.

.

396. 바다골재채취 및 바다골재채취단지 지정을 위한 해역이용평가서 작성 시 조사항목 401

397. 저서동물의 서식위치에 따른 구분 402

398. 다중빔 음향측심기(multi-beam echosounder)의 검보정(calibration)항목과 검보정 현장을 선택 할 때 유의해야 할 점 402

399.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수집된 해양자료로부터 해양환경을 예측하기 위한 프로세스 404

400. 연안에서 델타(delta)가 형성되는 조건 405

401. 퇴적물공정시험기준에 의한 산 휘발성 황화물(AVS) 측정의 시료보관 및 전처리과정 406

402. 해저면(海底面)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 중 사이드스캔소나(side scan sonar)의 작동원리 406

403. 조간대 저서생물의 조사항목과 조사방법 407

404. 반려해변제도(해변입양제도) 408

405. 해역이용사업자 등이 사업계획에 대한 면허 등을 받은 후 사업계획을 변경할 경우 해양수산부장관에게 알려야 하는 해당되는 내용 408

406. 해상풍력사업 진행 시 해양환경영향평가 및 해역이용협의 대상사업을 구분하여 설명 408

407. 메탄 하이드레이트(Methane Hydrate) 409

408. 해양수산부가 평택·당진항을 시작으로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을 위해 추진하는 수소항만 409

409. 수중데이터센터의 장점과 우리나라가 수중데이터센터 개발에 유리한 이유 410

410. 부영양화가 해양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410

411. 해양환경관리법 제15조에 근거한 환경보전해역과 특별관리해역 411

412. 한·일 대륙붕 공동개발협정(1974)이 현재까지 이행되지 못하는 이유와 우리나라의 대처방안 412. 해양음향토모그라피(ocean acoustic tomography)의 원리와 조사할 수 있는 해양관측항목 412

413. 해양바이오매스(marine biomass) 에너지 개념과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인정받는 이유 413

414. 생물군집의 생태학적 우점도지수, 종다양성지수(H'), 균등도지수(J), 풍부도지수(R)를 설명 414

415. 해빈에 인위적으로 모래를 공급하는 양빈(beach nourishment)의 장점과 단점 414

416. 그레이(gray) 수소, 그린(green) 수소의 개념과 해상풍력과의 협업을 통한 청정 에너지원으로의 발전방향 415

417. 경골어류와 연골어류의 수심유지를 위한 밀도극복기작과 호흡방법 417

418. 서남해 EEZ 골재채취단지의 지형적 복원 방안과 문제점 418

419. 해수수질의 생활환경기준과 생태기반 해수수질기준 418

421. 소파층(sofar layer) 형성 기작과 중요성을 설명 419

422. Bruun Rule에 대하여 설명 419

423. 평형해빈단면(equilibrium beach profile)에 대하여 설명 420

424.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의 물리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420

425. 항만법에 제시된 "항만시설" 중 "기본시설"과 "항만친수시설"에 대하여 설명 421

426. 해수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얻는 에너지의 종류 3가지를 제시하고 원리를 설명 421

427. 우리나라 위성인 아리랑 5호와 천리안 2B호를 활용한 해양관측 대상과 방법 그리고 차이점 422

428. 이안류(rip current)의 발생 기작과 형태 그리고 위험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대한 대책 423

429. 해양생태축의 정의와 우리나라 핵심 5대 해양생태축에 대하여 설명하고 해양 생태축 설정·관리의 필요성을 제시 424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