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기술사 서적(해설집)

산업위생관리기술사(2025, 필기/면접대비)

by 멀티엔지니어 2024. 8. 8.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2025년 필기/면접대비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서적을 5차에 걸쳐 전면 개정작업과 재편집하여 최근 2025년까지 출제문제풀이, 예상문제, 참고자료를 업데이트하여 판매하니 edn@engineerdata.net으로 문의하시거나 033-452-9081으로 전화를 주시면 상세하게 안내하여 드리며 시간이 지나면 모두가 불리합니다. 서적분량과 기억력 쇠퇴, 회사에서의 위기 의식이 귀하를 후회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도전하세요.

감사합니다.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 - 목 차 -

- 머리말(효율적인 공부방법, 준비요령, 답안작성, 시험전략, 면접대비요령)

- 답안지 양식(응시자용)

1. ACGIH 노출기준 중 Excursion Limits(적용대상, 정의 또는 개념) 1

2. Cyclohexanone 2

3. Acetone 2

4. H2SO4 2

5. 발암성 확인물질(A1) 중에서 5가지 물질과 노출기준(TWA)(노동부 고시기준) 3

6. 밀폐공간 작업시 작업장내 안전담당자가 확인해야 할 가스종류와 적정농도 3

7. 화학물질등급과 대책정보(Control Banding) 4

8. 산업안전 보건법에서 정하는 근골격계 부담작업의 종류와 유해성 조사방법 5

9. 소음원의 음력수준(sound power level)과 dB(단, 자유음장이라 가정함) 9

10. GC로 유해물질분석할 때 검출기와 분석가능물질 12

11. 국소배기장치에서 송풍기의 풍량과 회전수 변화에 따른 유지비(전기사용량) 16

12. 먼지는 크기에 따라 흡입성 분진(IPM), 흉곽성 분진(TPM), 호흡성 분진(RPM) 16

13. 소음의 주파수를 말할 때는 보통 중심주파수와 1000㎐라고 할 때 옥타브밴드와 ⅓옥타브 밴드에서 각각 주파수 범위 17

14. 음의 SPL 과 PWL 17

15. 전체환기시스템의 응용한계와 설계의 기본원칙 18

16. 전체환기 시스템의 지배 방정식 20

17. 국소배기장치의 설계순서 25

18. 국소배기장치의 검사항목에 따른 검사방법, 판정기준 26

19. 소음성난청의 판정기준(DI)과 소음성난청 보상기준(6분법) 29

20. 고온으로 인한 질환의 종류를 열거하고 질환별 원인, 증상 및 대처요령 31

21. 시료분석시 LOD(Limit of Detection)와 LOQ(Limit of Quantification)를

설명하고 불검출(ND)와 미량농도(trace)를 LOD와 LOQ를 연관하여 설명 36

22.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2008년 7월 21일~8월 31일까지 어떤 물질에 대하여 직업병 발생 경보를 발령 37

23.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노동부 고시 2007. 1. 5)에 의한 측정대상 오염물질 중 6가지 종류와 관리기준, 채취방법 38

24. 신장독성의 유해물질은 수은(Hg), 카드뮴(Cd), 납(Pb) 40

25.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대상 유해물질에 의한 건강장해의 예방에서 단기작업과 임시작업의 의미를 설명하고 제외되는 작업 41

26. 기중유해물질의 체내흡수량과 허용농도추정를 위한 분배계수(Partition Coefficient, PC) 41

27.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작업환경측정 신뢰성 평가대상 42

28. 폐의 정화작용 중 기관지의 방어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을 3가지 이상 43

29. 전신피로의 생리학적 원인 3가지 44

30. 작업환경측정의 측정사항 44

31. 대개 보통소음계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5가지 45

32. 예비공기조의 적합한 기준 45

33. 올바른 VDT 작업자세에 대하여 5가지이상 45

34. 청력역치 48

35. 골전도 49

36. 폐쇄효과 49

37. 기도전도 49

38. 카타온도계에 대하여 측정항목, 측정방법, 측정단위 49

39. 특수환경과 장애 50

40. 분진 및 유기용제취급작업장의 국소배기 시설 중 포위식, 외부식 후드의 제어풍속 52

41. 공기정화장치 중 분진을 제거하는 장치의 종류와 원리 및 성능을 5가지 55

42. 흡광광도법(Absorptiometric Analysis) 56

43. 연소, 합성, 분해시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에 의해서 발생되는 기체상의 물질. 64

44. 공기 중의 유기용제를 채취하는 활성탄과 실리카겔의 측정방법과 용도(장기연속시료 채취방법) 67

45. 공기 중 금속입자물질의 여과에 의한 채취원리에 대하여 3가지 71

46. 작업성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직접적 요인과 간접적 요인 73

47.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주가 근골격계부담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게 할 때 근로자에게 유해성 등을 주지해야 하는 사항과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프로그램을 수립시행 하여야하는 사항 81

48.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를 분류하고 용도 및 건강장해 82

49. 호흡용 보호구(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송기마스크) 83

50. 소음기(消音器)의 종류와 특성 88

51.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진동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93

52. (물질안전보건자료, MSDS)를 작성하여 취급근로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 또는 비치하여야 할 주요 내용 4가지 94

53. 석면의 대체섬유중 인조유리질 섬유(인조광물섬유) 4종류와 사용처 94

54. 포집된 분진의 시료분석에서 물리적 분석을 위한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SEM) 및 투과전자현미경(TEM) 101

55. 국소배기장치의 올바른 설치기법 103

56. 시간당 필요 환기량 105

57. 국소배기시설에서 적절한 송풍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먼저 파악해야 할 요인 5가지 105

58. 보호구의 기능 107

59. 생물학적 모니터링(Biological monitoring)을 실시할 때 시료 채취시기 107

60.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 108

61. 보호구의 구비조건에 대하여 5가지 108

6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의 의무 108

63. 보호구의 종류 109

64. 공기중 석면 섬유측정을 위하여 시료 채취시 사용되는 여과지(filter) 종류와 조건, 카세트(cassette) 조건, 공기채취유량 범위 110

65. 작업환경시료의 채취 및 분석을 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중 ‘분석방법’에서 발생 가능한 오차 111

66. 세정식 집진장치원리와 점검사항 113

67. 송풍기의 고장 진단 절차와 안전예방 117

68. 송풍기의 체크 리스트 117

69. 송풍기의 고장 진단과 대책 121

70. 환기시스템의 점검과 성능저하대책 126

71. 송풍기의 점검 및 검사시 안전대책 128

72. 송풍기의 성능부족의 원인과 대책 128

73. VOC 배출 저감기술 130

74. 유체기계의 소음 발생 메커니즘 139

75. 유해물질의 분석을 위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관(column)의 띠넓힘 현상과 반 딤터 그림의 소용돌이 확산, 세로확산 및 비평형 물질 전달의 세가지 요소를 설명하고, 요소들의 영향 변수 140

76. 밀폐공간의 공기 중 산소농도 측정 관련 산소농도 측정시 유의사항과 밀폐작업 설비조건(4가지)에서 측정방법 144

77. 환기시 일반적인 주의사항 145

78. 이동식 환기장치 146

79. 환기시설의 적용제외 146

80. 작업장소에 따른 환기량 146

81. 가스상 물질 147

82.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 GC) 149

83. 갈석면 150

84. 검량선(calibration curve) 151

85.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 LOD) 151

86. 오차의 종류 152

87.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HPLC) 153

88. 고정상 154

89. 공기역학적 직경 155

90. 규폐증 155

91. 근골격계질환(musculoskeletal disease) 156

92. 근로자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 158

93. 기하정규분포(log-normal distribution) 159

94. 기하평균(geometric mean) 159

95. 나일론사이클론(nylon cyclone) 160

96. 노출기준 161

97. 다단직경분립충돌기(cascade impactor) 162

98. 다핵방향족탄화수소(poly-aromatic hydrocarbons ; PAHs) 236

99. 독력학(toxicokinetics) 164

100. 등면적직경(projected area diameter) 165

.

.

.

201. 바람냉각지수 310

202. 열평형식에 근거한 지표(열스트레스 지수, 작용온도, 신유효온도) 310

203. 생물학적모니터링과 환경모니터링 결과가 불일치하는 주요원인 314

204. 인체실험 자료의 제한적 조건 315

205. 악취의 특징 중 Weber-Fechner의 법칙 316

206. 집진기를 중심으로 전단에 설치되는 I.D FAN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317

207.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생리적 영향 317

208. 집진장치 선정시 고려사항 8가지(원심력 집진기) 318

209.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강렬한 소음작업작업 319

210. 국소배기장치 설치 후 정압측정 실시시기와 사용되는 측정기구, 측정위치 및 정압공 설치 시 주의사항 319

211. 국소배기 시스템설계시 필요한 최소 덕트속도는 이론치 또는 실험치보다 높아야 하는 이유 321

212. 국소배기시스템 설계 시 성능부족현상과 대책 및 보충용 공기(make-up air) 321

213. 다중 이용시설 환기설비의 구조 및 설치기준 323

214. 인간공학(ergonomics)과 1991년 들기작업 지침을 적용할 수 없는 작업 324

215. 개인보호구의 차음효과를 예측방법 328

216. 신체적활동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 근육의 에너지 재합성과정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고, 전신피로의 생리학적 원인 329

217. 공기 중 MDI의 시료채취 및 분석과정 330

218. 작업환경측정 331

219.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한 대상 유해인자 333

220. 폴리우레탄수지(TDI) 제조작업의 건강장애와 피해예방 및 작업환경관리 334

221. 차음(방음)보호구 종류 및 착용시 주의사항 336

222. 눈 보호구 종류 및 착용시 주의사항 337

223. 기타 보호구 종류 및 착용시 주의사항(머리, 얼굴, 손, 발, 안전대) 338

224.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작업과 건강장해 예방조치 338

225. 곤충 및 동물 매개 감염병과 감염 노출위험작업 시 예방조치 339

226. ACGIH의 발암물질 구분 340

227. 실제 작업장에서의 차음효과 예측방법(NIOSH, 미국 EPA, 미국 OSHA) 341

228. ACGIH(1991)의 작업대사량(work metabolic rate)에 따라 작업강도(work load) 342

229. 산업현장에서 재해발생시 조치순서 342

230. ILO의 산업재해정도 343

231. ACGIH에서 작업조건과 작업공정에 따라 권고하는 제어속도 344

232. 송풍기의 성능곡선 345

233. 물질선정 위한 증기의 포화증기농도(ppm)를 계산한 후 증기유해성지수(Vapor Hazard Index, VHI) 계산 347

234. 납 노출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어나는 반응과 농도 348

235. 인체 측정항목 및 측정방법 351

236. 나노물질 제조·취급 근로자에 대한 작업환경관리 361

237.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소음관련 용어 정의 362

238.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석면의 제조 또는 사용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때에 석면분진의 발산 및 근로자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작업수칙을 정하여 이를 작업근로자에게 널리 알려야 할 내용을 11가지로 규정 363

239. MSDS와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의 관계를 설명하고, GHS제도 도입시 기대되는 효과와 변화 364

240. 총 먼지와 용접 흄의 채취기구 및 위치, 채취방법 365

241. 집진장치의 집진율(η)을 계산하고, 총집진율(%) 366

242. 직무스트레스(Job stress)의 유발요인 367

243. 무산소성(혐기성) 대사와 유산소성(호기성)대사 368

244. 근골격계 유해요인 평가도구인 OWAS의 개념과 RULA의 정의 및 평가표 사용법 369

245.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의 사용방법 374

246. Strain Index(작업긴장도 지수)의 사용법 374

247. 인력운반작업(Manual material handling: MMH)과 요통의 예방 377

248. NIOSH Lifting Equation의 적용방법 378

249. 고용노동부는 1999년부터 업무상 질병을[직업병]과 [작업관련성 질병]으로 구분 397

250. 실내공기오염 문제와 관련하여 빌딩 증후군의 정의 및 증상 380

.

.

.

300. 연소보일러 시스템에서 보일러 후단에 설치하는 유해가스 처리설비에 대해 설명 412

301. 작업장의 특성은 공정도면과 공정보고서를 보면 알 수 있는데 공정도면을 파악하는 목적 414

302. 호흡성 미세 먼지 측정항목과 기준 및 측정방법 414

303. 실내오염물질인 라돈의 물리적 특성, 인체에 미치는 영향 및 측정방법 415

304. 나노입자의 직경/산업보건 분야에서 나노입자가 특별히 중요한 이유/나노입자의 노출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 415

305. 석면의 종류에 따른 성분 스펙트럼 416

306.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에서 사업주가 위험성평가할 때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실시계획서에 작성되는 5개 항목 418

307. 고성능 필터(HEPA filter)의 성능조건 및 글로브 백 작업(Glove bag operation) 419

308.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게 하는 경우 작업 배치 전 근로자에게 알려야 하는 내용 5가지 419

309. 전체환기장치가 설치된 유기화합물 취급사업장 중 밀폐설비나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3가지 419

310. 용접작업에서 발생하는 가스상 물질 4가지과 스테인리스강용접의 6가 크롬이 발생하는 용접 420

3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맨홀작업에 대한 특별안전-보건교육 주요내용 421

312. 소음성 난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가지 421

313. 덕트의 접속부위가 적합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조건 422

314. 국소배기장치 운영과 관련하여 공기시스템이 필요한 이유 422

315. 배출구 등 공기를 취급하는 시설이나 장비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지침과 배출구의 일반적인 설치규칙인 15-3-15 423

316. 뇌심혈관질환 예방과 건강증진사업 423

317. 수은중독 425

318. 무기산 화학물질 5가지에 대한 무기산 포집과 분석방법 425

319. 불산을 취급하는 공정에서 안전보건기술지침(KOSHA GUIDE)에 따라 공정의 근원적인 안전확보를 위해 필요한 7개 항목 426

320. 재해사례연구 진행단계 428

321. 의료기관 근로자의 공기매개 감염병에 대한 관리지침(KOSHA guide)중 공기매개경계(airborne precaution)의 일반적인 지침 428

322. 산업안전보건법 제24조(보건조치)에는 근로자의 건강장해를 유발할 수 있는 6가지 항목의 유해요인 428

323. 어떤 특정소음원에 대하여 A특성,B특성,C특성으로 각각 측정한 소음수치가 거의 같았다면 이 소음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주파수 관점에서 설명 429

324. 레이저(laser)란 무엇이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 430

325. 지난 2016년 2월 개정되어 2016년 8월 16일 시행 예정인 유해인자별 노출농도의 허용기준(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81조의 4관련)의 개정시 6개 물질의 허용기준의 노출농도가 개정되었다. 그 개정된 허용기준의 노출농도에 대하여 5가지 설명 431

326. 최근 국내에서 사회적문제를 일으켜 국정조사가 실시되고 있는 가습기 살균제 원료물질의 종류 431

327.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도급금지 유해작업의 종류 3가지 432

32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의한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교육의 실시시기 432

329. 산업환기에서 사용하는 원심형 송풍기 종류와 특징 433

330. 실내오염물질의 제거 방법 중 베이크-아웃(Bake-out)환기법의 원리와 방법 및 적용에 따른 유의사항 433

331. 닥트 재질의 선정과 닥트의 접속 방법에 대하여 산업환기 설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의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 434

332. 산업환기 설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에 의한 국소배기장치 신규설치에 따른 사용전 점 검사항, 국소배기장치 개조 및 수리 후 사용전 점검 사항 435

333. 후드에 대한 환기량(m3/min)계산식을 설명하고, 외부식 장방형 후드와 외부식 슬롯트형 후드에 대한 플렌지(lange)설치에 따른 효과를 설명 435

343. 용접의 종류별 특징과 유해성 436

344.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의 3항(구성성분 및 함유량에 대한 정보)작성 시 영업비밀 인정제외 화학물질의 범위 4가지와 부정경쟁 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영업비밀의 요건 438

345.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8호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에 의한 발암성, 생식세포 변 이원성, 생식독성 정보는 법상 규제 목적이 아닌 정보제공 목적으로 표시하는 발암성물질의 정보제공 5개 기관과 생식 세포 변이원성 및 생식독성 물질 분류에 사용하는 정보제공 기관을 우리 말과 원어로 설명 439

346.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시행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의 내용 중에서 밀폐 공간 출입 전 확인사항과 밀폐 공간에서의 작업방법 439

347. 최근(2016년)개정된 특수건강 진단항목 중 ‘야간작업 ’의 실시대상 조건과 개정배경 440

348. 노출기준 설정 화학물질에 피부(skin)표시가 되어 있는 물질의 특성 440

349. 일산화탄소 중독의 발병기전을 설명하고, 우리나라 노출기준(TWA, STEL) 440

350. 뇌ㆍ심혈관질환 발병 고위험군 판정자중 작업 전환 고려가 필요한 현재 종사업무중 순환기계 장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업무 4가지를 설명 441

.

.

.

401. 작업환경측정에서 노출 평가 대상 근로자를 유해인자 노출특성의 유사성(similarity)에 따라 분류(설정)하고 각 그룹에서 측정 대상 근로자 표본을 선정방법 488

40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기화합물의 경우,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와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함유한 제제(혼합물)의 관리범위의 차이점 489

403.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신설된 라돈의 노출기준(작업장 기준) 489

404. 자기반응성 물질 및 혼합물과 흡인 유해성의 정의 490

405. LOD(Limit Of Detection, 검출한계)와 LOQ(Limit Of Quantitation, 정량한계)의 개념 및 LOD와 LOQ간의 관계를 설명 490

406. 상대위험비(Relative Risk, RR) 및 교차비(Odds Ratio, OR)를 정의하고, 계산 예 491

407. 유해성·위험성 평가의 정의 492

408.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상 유해인자별 보건관리전문기관에 보건관리 업무를 위탁할 수 있는 사업 유형 5가지 492

409. 사후관리 조치의 정의 492

410. 산소결핍 발생이 우려되는 밀폐공간에서 근로자가 작업을 하고 있는 경우 사업주가 조치해야 사항 3가지 492

411. 옥외작업 근로자의 분진에 의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2017년 12월 추가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분진작업을 설명 493

412. 송풍기의 상사법칙과 Six in and Three Out규칙 494

413.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에서 규정한 허가대상 유해물질 5가지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허가대상 유해물질에 대하여 적용되는 가스상태와 입자상태의 제어풍속 및 포위식(부스식)과 외부식(리시버식) 후드별 제어풍속의 측정위치 495

414. 작업환경측정 및 지정측정기관 평가 등에 관한 고시의 개정내용에 따른 고열의 측정방법 496

415. 고용노동부의 사무실 공기관리 지침에는 미세먼지(PM10)의 측정횟수/시료 채취시간/시료 채취방법/분석방법/관리기준 496

416.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 대상 3가지/안전보건공단의 작업환경측정 신뢰성평가 방법 또는 절차/ 지방고용노동관서장의 조치사항 497

417. 호흡용 보호구의 밀착시험 중 정성적 밀착시험과 자가음압 밀착검사에 대하여 설명 498

41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작업에 근로자가 종사할 경우, 사업주가 조치해야 할 6가지 사항 499

419. 산업안전보건 기준에서 유기화합물 취급 특별장소 7가지/임시작업과 단시간작업의 정의 및 제외사항/허용소비량을 구하는 방법과 이 경우 작업장 공기의 부피 개념 500

420. 고용노동부고시 제2018-62호「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관련된 발암성물질의 정보제공 5개 기관과 생식세포 변이원성 및 생식 독성 물질 분류에 사용하는 정보제공 기관을 Full Name 500

421.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평가에 관한 규정」에 제안된 화학물질을 포함하여 유해성 위험성 평가대상 화학물질을 선정하는 경우에 고려할 사항 5가지 501

422. 손, 손목 부위의 근골격계질환중 수근관증후군을 측정 할 수 있는 객관적 검사방법 3가지 501

423. 고용노동부고시 제2017-54호「안전검사 절차에 관한 고시」에 의한 국소배기장치 자율검사 프로그램 인정에 필요한 검사장비 보유기준 502

424. 밝기의 단위인 촉광(candle)과 루멘(lumen) 및 후드캔들(footcandle)과 럭스(lux),램버트(lambert) 503

425. 3가크롬과 6가크롬이 인체에 미치는 독성의 차이 3가지 503

426. 광물성 분진에 노출시 유발되는 폐조직의 병리학적 변화를 분류하여 설명하고, 각각 해당되는 진폐증의 종류 3가지 504

427. 고용노동부고시 제2018-62호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의해 노출기준이 TWA에 설정되어 있고 STEL에도 Ceiling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유해 물질 505

428. 생명이나 건강에 즉각적으로 위험을 초래하는 농도로서 그 이상의 농도에서 30분간 노출되면 사망 또는 회복이 불가능한 건강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 505

429. 고용노동부「안전검사 고시」에 근거한 배풍기/벨트/안전덮개/덕트 접속부/접지설비에 대한 국소배기장치 안전검사 기준 505

430. 일반적인 레시바식(receiving)후드에서 유량비법에 의한 필요송풍량 계산순서 506

431. 전기집진기 운전 시 발생되는 문제점 5가지와 각각의 원인 및 방지대책 507

432.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소음성 난청 “판정기준과 인정기준/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뇌심혈관질환 인정기준 3가지/ 뇌심혈관질환의 가중요인 7가지 508

433.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석시 내부 표준물질의 요구사항 5가지와 표준물 첨가법을 실시하는 경우 고려사항 5가지 509

434. 실효음압(Root-Mean-Square Sound Pressure)과 음압수준(Sound Pressure Level)을 각각 식을 쓰고 설명 510

435. 작업환경측정대상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기준의 합리적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 4가지 510

436. 석면해체・제거작업시 조치 사항 511

437. 극저주파에 의한 근로자의 건강영향 512

438.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 평가의 원칙과 일치율 평가 512

439.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의한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기계․기구 및 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대상범위 513

440. 사무실 공기관리지침에 따라 공기정화시설을 갖춘 사무실에서 준수하여야 할 사무실의 환기기준에서 근로자 1인당 필요한 최소 외기량/시간당 환기횟수 513

44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담당자의 업무 5가지 514

44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소음으로 인하여 근로자에게 소음성 난청 등의 건강장해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주의 조치사항 4가지 514

44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주의 조치사항 4가지 514

444. 벤젠의 허용기준에 대한 시간가중평균값(TWA)과 단시간 노출값(STEL) 514

445.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서 Skin 표시 물질의 의미 515

44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의 방사선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편에서 정의하고 있는 방사선과 방사성물질 515

447.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 따라 유해성ㆍ위험성 평가의 대상이 되는 유해인자의 선정기준 3가지 사항 515

44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른 특별관리물질을 정의하고, 유기화합물에 해당하는 특별관리물질 5가지 515

449. 전신피로의 정도를 평가하려면 근로자가 작업을 마친 직후 회복기의 심박수(heart rate, beats/min)를 측정하여 3가지의 수치를 산출시 심한 전신피로 상태라고 판단하는 기준 516

450. 국소배기장치에서 헤미온(Hemeon)의 무효점 이론(null point theory)/제어속도를 결정하는 4가지 인자 516

.

.

.

482. 소음에 대한 작업환경 측정 시 1일 작업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보정노출기준 계산식 536

483.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에서 원자흡광광도법(AAS)으로 분석 할 수 있는 유해인자 10가지 536

484.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에서 질병자의 근로금지에 해당하는 사항 3가지와 2020. 7. 1. 이후 적용되는 톨루엔에 대한 특수건강진단 제1차 검사항목 중 생물학적 노출지표 검사 항목 537

485.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상 혼합물의 분류방법으로 가교 원리를 적용하여 분류가 가능할 경우에 희석/뱃치(batch)/농축/내삽 538

486.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과 관련하여 분진작업장소에 회전체의 제어풍속 538

487. 사업장 근골격계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개선사항/보존기간 539

488. NIOSH의 직무스트레스의 정의/직무스트레스의 요인 5가지/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한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을 위한 조치사항 6가지 540

489. 산업안전보건법상 고객의 폭언 등으로 인하여 고객응대 근로자에게 건강장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현저한 우려가 있는 경우 사업주의 필요한 조치사항 4가지 541

490. 직장에서의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발병위험도평가 및 사후관리 지침에 의하면 사업주 는 근로자들에게 정기적으로 뇌․심혈관질환 교육과 상담시 보건 교육과 상담 내용을 4가지 541

49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업주가 허가대상 유해물질을 제조하거나 사용 하는 작업장에서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하여야 할 사항 5가지 541

492. 소음성 난청과 노인성 난청의 차이 542

493. 자연환기는 열이 발생하는 적합한 환기 방식으로 효율을 제고방안 542

49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전체 환기장치가 설치된 유기화합물 취급작업장 중에서 밀폐설비나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유기화합물의 설비특례 요건 543

.

.

.

508. 국소배기장치에서 후드 설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오류 2가지 553

509.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 등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4호)에 의하여 1일 작업 시간이 8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입자상물질과 소음의 보정노출기준 계산식 554

51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관리대상 유해물질 관련 국소배기장치후드의 제어풍속 554

51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로서 고용노동부고시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에 의해 노출기준이 TWA에 설정되어 있고 STEL에도 Ceiling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유해물질과 STEL에 Ceiling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유해물질 중 5가지 555

512. 국소배기장치의 덕트 재료(유기화합물과 산류) 555

513. 작업장에는 각종 금속류 및 유기화합물질이 근로자가 노출시 작업환경 측정시 발생되는 용접흄의 발생기전 3단계와 금속열의 정의 및 원인물질과 유해물질이 활성탄에 흡착되는 흡착과정 3단계를 쓰고,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 555

514. 안전검사 절차에 관한 고시(고용노동부 고시 제2020-42호)에 따라 유해물질(49종)의 국소배기장치는 안전검사시 대상유해인자와 안전검사를 실시할 의무가 있는 유해인자 556

515. 직업성 질환의 진단 및 예방, 발생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상 역학조사의 대상 4가지 및 절차 2가지 557

516. 건강장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의 직업성질환 조기발견 및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위하여 일정 요건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건강관리카드를 발급대상 557

.

.

.

535. 도급승인의 신청과 안전보건에 관한 평가에 관련된 도급승인 신청 시 제출서류(3가지),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종합평가와 관련된 내용(6가지) 571

536. 라돈에 관련된 고용노동부 고시「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의거 작업장내 라돈의 노출기준, 작업장 라돈 보건관리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H-215-2021)의거 라돈의 측정 및 평가 가능한 사람 4명, 단시간 측정 및 장시간 측정 기간 572

537. 이산화탄소가 충전된 소화용기 보관 장소에 대한 방호구역 등의 점검을 위해 출입하는 경우에 필요한 조치사항 5가지 573

538. 작업환경측정 예비조사에서 예비조사 주요 목적 2가지, 조사방법, 통계적 변이를 고려할 때 SEG(Similar exposure groups)의 노출을 대표할 수 있는 최소 시료채취자 수는 몇 명인지 쓰고, 시료 수를 추가하여야 하는 경우, 근로자 노출평가를 위하여 생물학적 모니터링 시료채취가 필요한 경우 574

539. 2023.8.18.부터 50인 미만 사업장 중 휴게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사업장 574

540. 고열작업환경 측정 및 평가 시 착용복장(여름작업복, 상하가 붙은 면 작업복, 겨울작업복)에 따른 WBGT 기준보정값 575

541. 기술지침에 작성된 조리기구별 후드 면풍속설계기준을 작성 578

542. 고용노동부 고시 중 화학물질 및 물리적 인자의 노출기준과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서 생식독성 물질 576

543. 밀폐공간에서의 작업과 허가 및 관리대상유해물질의 제조 또는 취급작업에서의 특별교육 내용 577

544.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에 따르면 덕트 접속부의 설계 577

545. 근로자가 하루 9시간 10분 동안 소음에 노출될 경우 보정 노출기준 계산 578

546. KOSHA GUIDE의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에 명시된 국소배기장치 검사시기 4가지, 국소배기장치의 가동 원칙 5가지, 국소배기장치 옥외에 설치하는 배기구의 설치구조 578

547. 보충용 공기(make-up air) 공급 시 고려해야 할 사항 5가지 579

548. 단체급식시설 환기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에서 자연 급기구 또는 강제 급기시설 설치 방법 5가지 579

549. 작업장내 입자상 및 가스상 물질을 측정하는 경우 시료 채취 시 작업장내 고려해야 할 조건 들을 설명 580

550.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전리방사선의 정의와 전리방사선 중 α선 및 β선, γ선 및 X선에 대한 특성 및 전리방사선의 건강영향에는 결정론적 건강영향과 확률론적 건강영향 581

551. 누적 외상성 질환(CTDs: Cumulative Trauma Disorders)의 정의, NIOSH에 의한 작업과 관련된 CTDs 4가지, CTDs 예방을 위한 공학적 개선방안 4가지와 관리적 개선방안 4가지 582

.

.

.

- 부 록 -

 

1. 과년도 출제문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