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년도 출제문제(기출문제)

136회 도시계획기술사(서적)

by 멀티엔지니어 2025. 6. 16.

★제136회 도시계획기술사 문제지.pdf
0.40MB

 

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136회 도시계획기술사 출제문제를 참고하시고 귀하의 목표가 성취되시기를 기원하며 출제문제를 풀이한 기술사 서적(해설집)을 구입을 원하시면 이메일 edn@engineerdata.net 혹은 033-452-9081으로 문의하시면 이메일로 답변을 드리거나 전화로 상담하여 드리겠습니다. 21세기는 능력이 있어야 행복을 유지하며 미래가 있으며 지금의 순간이 바쁘고 시련과 역경이 있더라도 도전은 자신에게 희망이 될 수가 있으며 귀하의 목표가 성취되시기를 기원하며 도시계획기술사 서적을 판매하니 문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늘.... 행복하세요.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도시계획기술사(www.engineerdata.net)

 

기술사 136회 제 1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특별건축구역

2. 모듈러 조닝(Modular Zoning)

3. 공중권(Air Rights)

4. 님비(NIMBY)

5. 시니어 레지던스(Senior Residence)

6. 광역교통개선대책

7. 국가공간정보통합플랫폼(K-GeoP)

8. 공모형 PF(Project Financing)

9. 입지적정화계획

10. 도시의 3대 구성요소

11. 공공기여 가이드라인(국토교통부, 2025년 3월)

12. 도시유형(도시‧군기본계획 수립지침)

13. 도시·군관리계획도서(도시‧군관리계획 수립지침)

 

기술사 136회 제 2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지구단위계획제도의 도입배경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경관협정제도의 개념과 주요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구역 지정 대상 및 규모, 대상지역이 둘 이상의 용도

지역에 걸치는 경우의 지정기준, 구역 경계 설정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자연보전권역 안에서의 연접개발 적용지침」개정(2025.1.6.)과 관련하여 연접개발의 개념, 개정 배경, 주요 내용 및 향후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관련 정책과 제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용도지역을 모두 열거(세분 포함)하고, 용도지역제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술사 136회 제 3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경관분석의 주요 기법과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상 산업유통형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및 기반시설의 수립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노후거점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과 관련하여 추진 배경, 지정 대상, 추진 현황, 기대효과 및 향후 개선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도시재생사업의 ‘기초생활인프라’에 대하여 범위(마을단위, 지역거점단위)와 공급계획 수립 시 고려사항(인구밀도, 입지조건, 시설의 규모 측면)을 설명하시오.

5.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구현하기 위해 설치한 ‘지방시대위원회’의 중점 과제로 추진 중인 4대 특구의 추진 배경 및 추진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도시지역 및 지구단위계획구역 내에서 도시·군계획시설로 결정해야 하는 의무시설의 종류를 열거하고, 도시·군계획시설사업의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술사 136회 제 4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지방자치법」에 따른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정의와 목적, 기대효과(행정, 인구, 지역균형측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주민이 입안을 제안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도시재생전략계획 수립과 관련하여 작성기준, 도시재생활성화 지역 지정 세부기준, 수립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의 도입 배경, 주요 내용, 기대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의 건폐율 완화 및 용적률 완화(도시·군계획조례 결정 사항 제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다음 각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그림 생략

①「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조(정의)에 따른 도시·군관리계획 내용

② 다음의 도면에서 기성시가지에 위치한 1BL∼4BL(블록)의 여건을 파악하고 도시·군관리계획 수립지침에 근거하여 블록별로 필요한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내용

③ 다음의 도면에서 7개 도시계획도로(“가”∼“라”, “A”∼“C”)의 결정 조서(규모, 기능, 연장, 기점, 종점만 표시)와 도로 표기

※ 생략된 부분은 첨부 파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