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엔지니어데이터넷(www.engineerdata.net) 입니다.
135회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출제문제를 참고하시고 귀하의 목표가 성취되시기를 기원하며 출제문제를 풀이한 기술사 서적(해설집)을 구입을 원하시면 이메일 edn@engineerdata.net 혹은 033-452-9081으로 문의하시면 이메일로 답변을 드리거나 전화로 상담하여 드리겠습니다. 21세기는 능력이 있어야 행복을 유지하며 미래가 있으며 지금의 순간이 바쁘고 시련과 역경이 있더라도 도전은 자신에게 희망이 될 수가 있으며 귀하의 목표가 성취되시기를 기원하며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 서적을 판매하니 문의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늘.... 행복하세요.
기술사 효율적인 준비방법 : https://engineerdata.tistory.com/25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술사(www.engineerdata.net)
기술사 135회 제 1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국가 지오이드모델(KNGeoid24)
2. 중력이상(Gravity Anomaly)
3. 수평선과 지평선
4. 정확도와 정밀도
5.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6. 건설측량 설계기준(KDS 12 00 00)
7. 완화곡선
8. 지성선
9.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10.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11. 축척별(1/50000, 1/10000, 1/5000, 1/1000) 수치지도 도엽코드 및 도곽의 크기
12.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13. 지형도 제작 시 해안선의 높이 기준
기술사 135회 제 2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GNSS 측량의 기본원리와 현장관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수준측량에서 발생하는 오차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하천측량의 수심측량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스마트 건설과 BIM의 개념, 현황 및 고정밀 공간정보의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위성영상 해상도(Resolution)의 개념과 해상도별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디지털 항공사진 카메라의 검정장 설치기준과 검정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술사 135회 제 3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GNSS 신호 단절지역에서의 의사위성(Pseudolite) 측위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국가기준점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적용받지 아니하는 측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터널측량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국내 위성영상의 종류와 전처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 분야 안전관리 필요성과 세부 관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술사 135회 제 4교시(시험시간:100분)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트래버스 조정법에서 간이조정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위한 측량 작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측량 작업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원격탐사를 이용한 지형도 제작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시 지하시설물(구조물형) 정보를 제작하는 작업 순서와 제작 시
적용되는 측량방식 중 지하현장측량과 보조측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홍수에 대비한 재해정보지도의 제작 절차와 활용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과년도 출제문제(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5회 토목품질시험기술사(서적) (0) | 2025.02.20 |
---|---|
135회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서적) (0) | 2025.02.20 |
135회 축산기술사(서적) (0) | 2025.02.20 |
135회 철도신호기술사(서적) (0) | 2025.02.20 |
135회 철도기술사(서적) (0) | 2025.02.20 |
댓글